본문내용
1. 자궁선근증 개요
1.1. 정의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1.2. 원인
자궁선근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분분하다. 가장 유력한 학설로는 자궁내막의 기저부위가 직접 자궁근층으로 침윤하거나 팽창되는 것이다"".[1]
그 외에도 자궁근층의 미분화된 중배엽층의 화생 및 비정상적인 위치의 muller관이나 중신관 조직으로 인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1]
또한 유전적 요인, 외상,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전이 등도 자궁선근증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1]
한편 고에스트로겐 혈증 역시 자궁선근증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에스트로겐의 증가와 프로스타글란딘의 증가가 자궁내막의 양적 증가와 난소 기능 장애를 유발하기 때문이다"".[1]
1.3. 증상 및 징후
자궁선근증의 대표적인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환자 대부분 자궁선근증을 가지고 있어도 무증상적으로 지내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생리 주기에 맞추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증상으로는 40~50대의 경산부에서 기능장애성 자궁출혈, 월경곤란증, 월경과다 등이 있다. 월경곤란증의 경우 팽창된 자궁내막이 자궁근 수축으로 인해 동통을 유발하며 산통의 성격을 가진다. 내진 소견상 크고 단단하며 민감한 자궁이 촉지된다. 월경과다의 경우 생리양이 많으며 생리 기간이 길어진다(7일 이상). 이는 자궁 강(cavity) 내의 자궁내막의 양적 증가와 난소의 기능장애, Estrogen의 증가와 Prostaglandin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관계를 할 때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변비가 심한 경우도 있다. 또한 생리 시작 1주일 전부터 심한 생리통이 시작되어 생리가 끝난 후에도 일정기간 지속되는 특징이 있다. 생리통은 rectum, lower sacral region으로 통증이 연관되기도 한다. 약 80%에서 다른 질환과 동반되는데, 자궁근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다""
1.4. 진단 방법
자궁선근증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궁선근증을 진단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은 없다. 단지 내진상 전반적으로 커진 자궁, 속발성 월경곤란증, 비정상 자궁출혈, 월경 과다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수술에 대한 적응증을 고려할 수 있다. 그 밖에 경질 초음파 검사상 자궁비대 정도, 자궁의 비재칭성, 자궁의 근육층 내의 낭종 유무 등을 통해 자궁선근증을 진단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자궁선근증이 심하여 자궁근육층이 두꺼워진 경우는 초음파상에서도 자궁근종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자기공명 단층촬영, 종양 표지물질인 CA125를 참고로 측정하여 심한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자궁근육층 세침생검을 통해 자궁근육층 내의 침윤 깊이에 따라 grade 1-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내진을 하는 경우 자궁이 약간 커져 있으며, 자궁 내 장치나 골반 출혈이 없이 자궁의 압통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부분적 압통 시 자궁선근증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월경통이 있으며 월경혈의 과다 및 자궁팽대가 있으면 진단이 용이하다. 이소성 자궁내막이 자궁내막과 누를 형성한 경우 자궁내 조영술로 섬세한 불규칙성 또는 자궁 내막의 scalloping을 관찰할 수 있다. 초음파검사로 이소성 자궁내막이 자궁근층에서 초음파 투과성의 양상으로 관찰될 수 있다.
종합하면, 자궁선근증은 특별한 진단 방법이 없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