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색종 간호교육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09.25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흑색종 간호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악성 흑색종 Malignant melanoma
2.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2. 간호사정
2.2.1. 간호력
2.2.2. 수술 경과 및 활력징후
2.2.3. 임상검사 결과
2.2.4. 약물치료
2.3. 간호진단

3. 기저세포암 Basal cell cancer
3.1. 질병의 정의
3.2. 원인
3.3. 증상
3.4. 진단
3.5. 치료방법 및 간호중재

4. 직장암 Rectal cancer
4.1. 질병의 정의
4.2. 원인
4.3. 임상증상
4.4. 진단검사
4.5. 치료 및 간호

5. 호스피스 완화의료
5.1. 죽음에 대한 반응 단계

6. 간호사례
6.1. 일반정보
6.2. 입원상태 및 병력
6.3. 건강정보
6.4. 신체기관 문진
6.5. 정신적, 정서적 상태
6.6. 임상병리검사
6.7. X-ray 및 특수검사
6.8. 치료 및 간호
6.9. 간호사정 도구 사용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18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최근 악성 흑색종의 신환자 발생 건수가 1992년 121명, 2002년 266명, 2012년 520명(인구 10만 명당 1명 환자 발생)으로 20년 만에 4.3배의 증가를 보이며 2015년 570명의 신환자가 발생하였으며 흑색종의 호발연령인 국내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되고 있다. 흑색종의 호발연령이 60세 이상의 고령인 점을 감안할 때 1990년 한국에서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7.65%, 2000년 11.22%이다가 2010년 15.85%, 2015년 18.62%로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한다면, 흑색종 신환자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통계를 통해 악성 흑색종이 무엇인지 인지하는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연구로 채택하게 되었다.


2. 악성 흑색종 Malignant melanoma
2.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8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최근 악성 흑색종의 신환자 발생 건수가 1992년 121명, 2002년 266명, 2012년 520명(인구 10만 명당 1명 환자 발생)으로 20년 만에 4.3배의 증가를 보이며 2015년 570명의 신환자가 발생하였으며 흑색종의 호발연령인 국내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되고 있다. 이에 흑색종의 호발연령이 60세 이상의 고령인 점을 감안할 때 악성 흑색종이 무엇인지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연구로 채택하게 되었다.


2.2. 간호사정
2.2.1. 간호력

성명 김OO은 58세 남성으로, 2018년 5월 9일부터 5월 15일까지 OO대학교병원 OO병동에 입원하였다. 그는 malignant melanoma of skin, unspecified 진단을 받고 병원에 내원하였다.

김OO 씨의 일반정보를 살펴보면, 고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종교는 없다고 한다. 30년간 하루 1갑 양의 흡연을 해왔으나 음주는 하지 않는다. 과거력에서는 특이사항이 없었으며, 수술 경험도 없었다. 가족력에서는 뇌졸중으로 사망한 모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약물이나 음식은 없었다.

입원 경위를 보면, 약 10년 전 점으로 인식하여 방치하다가 최근 소량의 출혈이 있어 local 병원을 방문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malignant melanoma 진단을 받아 R/O melanoma, foot, Lt. 의심 하에 wide resection을 위해 입원하였다고 한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체온 36.8도, 맥박 72회/분, 호흡 20회/분, 혈압 138/72mmHg였다. 전반적인 신체 상태를 살펴보면, 기형은 없었으나 "쑤시는 듯한" 하지 통증을 호소하였고 NRS 6점으로 측정되었다. 식욕은 보통 수준이었고, 낙상 경험은 없었다. 하지만 활동 상태는 자유롭지 못한 편이었다. 대변은 1회/1일, 소변은 5회/1일이었다. 피부, 소화기계, 순환기계, 호흡기계, 신경계 등의 다른 신체기관에서는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명료한 의식 상태를 보였고,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도 있었다. 의사소통도 원만한 상태였다. 정서 상태는 안정적이었으나, 건강 상태의 저하와 관련된 환경변화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2.2.2. 수술 경과 및 활력징후

수술 경과 및 활력징후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경과
MM/DD 18:00 Wide resection: free flap (op position: supine position)
① wide resection - Lt. heel lateral aspect에 이전 수술 부위에서 약 2.5cm 떨어진 부위로 marking 시행, skin incision - 주변 soft tissue 포함하여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포함 wide resection 시행
② Lymphnode dissection using Gamma counter - Lt. inguinal area 전이 의심 부위 위로 gamma counter로 check, 5cm 길이의 vertical skin incision - skin과 subcutaneous tissue를 dissection하고, great saphenous vein 주변으로 검은색 2.5cm 가량의 lymphnode 확인함 - 가장 큰 검은색 lymph node 제거, 주변 lymphnode resection 후 biopsy 의뢰
③ wound closure - N/S irrigation 후 LN biopsy sit 통상적 방법으로 wound 봉합, silicone insertion - 수술 후 compression dressing 시행

MM/DD 21:00 post-op 절대안정, 3일 금식 처방, Rt. thigh dx(donor) Hemovac(2개) 사용 중

2) 활력징후
YYYY.MM.DD. BP 130/80 P 70 R 20 T 36.8
YYYY.MM.DD. BP 120/85 P 76 R 20 T 36.7
YYYY.MM.DD. BP 122/80 P 80 R 20 T 36.9
YYYY.MM.DD. BP 131/60 P 77 R 20 T 36.5
YYYY.MM.DD. 17:20 (pre-op) BP 126/60 P 66 R 20 T 36.9
YYYY.MM.DD. 21:00 (post-op) BP 128/69 P 80 R 20 T 36.2

즉, 수술 경과에 따라 수술 전후 환자의 활력징후 변화를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기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수술 후 절대안정 및 금식 처방을 내리고, 활력징후 안정화를 위해 노력한 것으로 확인된다.


2.2.3. 임상검사 결과

임상검사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의 혈액검사 수치에 여러 이상이 관찰되었다. 우선, 백혈구(WBC) 수치가 11.69로 정상범위(4.8-10.8)를 초과하여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이나 염증 반응이 있음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또한 적혈구(RBC) 수치가 4.27로 정상범위(4.7-6.1)보다 감소되어 있으며, 헤모글로빈(Hb) 수치 역시 13.2로 낮은 편이다. 이는 빈혈의 증거로 볼 수 있다.

혈소판(PLT) 수치는 161로 정상범위(130-450)에 있어 크게 이상은 없지만, 평균적혈구용적(MCV)과 평균적혈구혈색소(MCH)가 각각 90.2, 30.9로 정상범위(80-94, 27-31)를 약간 벗어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빈혈의 유형이 미성숙적혈구증가증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생화학검사에서는 간기능과 신장기능 수치에 이상이 관찰되었다. AST 122, ALT 215로 증가되어 있어 간 손상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BUN 32.5, creatinine 1.6으로 신장기능장애도 확인된다. 특히 BUN/creatinine비가 20.31로 높아 신장기능 저하가 심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보면 대상자는 감염, 빈혈, 간기능 및 신장기능 저하 등의 복합적인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소견이라 할 수 있다.


2.2.4. 약물치료

OO대학교병원 OO병동에 입원 중인 악성 흑색종 환자의 약물치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자는 마약성 진통제인 울티안주 1mg을 주사로 투여받았다. 울티안주는 레미펜타닐염산염이 주성분이며, 마취유도 및 유지, 중환자의 진통 및 진정 목적으로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서맥, 저산소증, 무호흡, 구역 및 구토, 가려움증 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 자료

황옥남, 유약숙 외 2명 「성인간호학(하)」제7판 현문사 2018.
박은영, 송미령 외 3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엘스비어
대한 피부암학회, 대한피부과학회 공저「한국인의 피부암」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대한의학서적 피부과학」제6판
Cutaneous Melanoma. Bailey EC, Sober AJ, Tsao H, Mihm MC, Johnson TM. in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8th ed.
Stebbins WG, Garibyan L, Sober AJ. Sentinal lymph node biopsy and melanoma: 2010 update Part1. J Am Acad Dermatol 2010;62:723-6.
이석종, 이수정, 피부흑색종.   J Korean Med Assoc. 2018 Nov;61(11):662-669.   
이재훈, Lee JH, 외상성 연부조직 손상의 치료: 유리 피판술. J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0 Apr:257-262.
약학정보원


성인간호 하권 (763~764p) / 현문사 / 황옥남외 /
성인간호 상권 (316~317p, 423~432p) / 현문사 / 황옥남외 /
국가 암 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997&menu_seq=5009
암병원 / 서울아산병원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7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 2015년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MEG GULANICK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 3판. 서울 : 현문사.
김수경 외. (2015).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제7판. 정담미디어.
조경숙 외. (2016).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조경숙 외. (2016).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지식백과, 피부암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