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대교 구조 시스템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강대교 구조 시스템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살예방정책
2.1. 자살의 원인
2.2. 정부의 자살예방정책
2.2.1.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2009~2013)
2.3. 서울시 '생명의 다리' 사업

3. 생명의 다리 사례 분석
3.1. 생명의 다리 소개
3.2. 생명의 다리 사업 배경
3.3. 생명의 다리 설치 결과
3.4. 생명의 다리의 효과

4. 국내외 자살예방정책 사례
4.1. 일본의 자살예방정책
4.2. 핀란드의 자살예방정책

5. 향후 자살예방정책 방향
5.1. 자살예방을 위한 개인적 원인 규명
5.2. 자살예방을 위한 인적자원 투입
5.3. 사회적 합의를 통한 자살예방정책 수립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에 사는 사람들에게 자살이라는 것은 굉장히 친숙하고 가까이 있는 존재이다. 우리나라 뉴스에는 항상 자살과 관련된 사건들이 보도된다. 그들의 자살이유를 보면 참으로 다양하다. 빛에 내몰린 사람, 부부싸움을 한 사람, 성적이 안 좋은 사람, 악성 댓글에 상처받은 사람,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림을 받은 사람 등 많은 사람들이 그들 개개인의 다양한 이유로 자살을 선택한다. 지금 어딘가 에서도 자살을 시도하려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이처럼 자살문제가 우리 사회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만큼 한국의 자살문제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우리나라 연간 총 자살자 수는 2011년 기준 1만 5906명으로, 하루 평균 43.6명, 33분에 한 명꼴로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자리를 8년 연속 지켰다는 것은 명명백백히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며, 2011년 세계보건기구 집계에 따르면 높은 자살률로 유명한 리투아니아를 제치고 대한민국이 자살률 전 세계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말하는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의미한다. 한국의 자살률을 살펴보면, 1995년 11.8명에서 2008년 26명, 2009년 31명, 2010년 31.2명으로 계속적으로 증가되어 왔고, 이것은 OECD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이다. WHO는 2010년 기준으로 지구적 자살률을 인구 10만명 당 16명으로 보고 있으며, 지난 45년 동안 자살률이 세계적으로 60% 상승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에서의 자살률은 최근 10년간 45%가 증가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매우 가파른 상승률이다. 그리고 자살은 10대~30대의 연령층에서 사망률 1위를 점하고 있고 40대~50대 에서는 사망원인 2위가 자살이다. 이것은 한국 자살률의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자살문제는 대내적으로 대외적으로 심각하고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살예방과 관련한 정책적 뒷받침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최근 서울시에서는 자살예방과 관련하여 한 가지 정책을 펼쳤다. 그것이 바로 마포대교에 설치한 '생명의 다리' 사업이다. '생명의 다리' 사업은 자살사고가 제일 빈번하게 발생하는 마포대교에 실시한 정책사업 이었으나 안타깝게도 '생명의 다리' 설치 후 자살률이 더 증가하는 기괴한 일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 정책은 가장 최근에 실시된 자살예방 정책이고 실패한 정책이기에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생명의 다리'가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 파악해보고, 향후 우리 정부가 자살예방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2. 자살예방정책
2.1. 자살의 원인

자살의 원인은 크게 개인적인 요인, 사회적인 요인, 그리고 가정적인 요인으로 나뉜다.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정신적 질환, 우울증, 절망감, 충동성 등이 있다.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자살 위험이 높은 편이며, 특히 우울증은 자살의 가장 큰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절망감과 무력감 또한 자살 충동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충동적으로 자살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적인 요인으로는 사회적 고립, 경제적 어려움, 취업 실패 등이 있다. 가족과 친구, 직장 동료 등과의 단절은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게 하여 자살 위험성을 높인다. 또한 경제적 어려움, 실직, 부채 등의 문제에 시달리는 경우에도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가정적인 요인으로는 가정 폭력, 학대, 이혼 등이 있다. 가족 간의 갈등이나 폭력 경험은 개인에게 상처와 트라우마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자살 위험성을 높인다. 이혼 및 별거 등의 가정 해체 경험 역시 자살의 위험 요인이 된다.

이처럼 자살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사회, 가정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2.2. 정부의 자살예방정책
2.2.1.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2009~2013)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2009~2013)은 보건복지부가 2008년 12월에 수립한 자살예방정책이다. 이 정책은 자살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 개인 및 사회적 대응역량 강화,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 강화 등 총 10대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자살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안전행정부가 자살예방 캠페인 및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둘째, 개인 및 사회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 부처가 협력하여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왔다. 셋째,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 강화를 위해 보건복지부, 국방부, 법무부가 관련 대책을 수립하였다.

이 외에도 자살 수단에 대한 접근성 감소, 자살에 대한 대중매체의 책임 강화, 지역사회 기반 자살예방 인력에 대한 교육체계 강화,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조성, 자살예방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구축, 자살예방을 위한 연구·감시체계 구축, 근거기반 자살예방정책 개발 등 다양한 과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은 사회 전반...


참고 자료

다카하시 요시토모, 『고독의 병 자살의 심리학』, 2007
토머스 조이너,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 2012
국회예산정책처, 『자살예방정책토론회』 2013.
이영경, 『한국인의 자살 문제와 윤리적 성찰』 2012.
김정희, 『객관적 자살현상과 학계의 자살관심현상에 대한 반추적 소고』 2011.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2012』 2013.
정은영, 『자살행동관련 변인의 탐색』 2007.
이다인, 『자살관련 변인에 대한 개별성관계성 및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의 영향검증』 2006.
안영애,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2012.
통계청 홈페이지 :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서울시 홈페이지 : http://www.seoul.go.kr/main/index.html
생명의다리 홈페이지 : http://www.bridgeoflife.co.kr/mapo/intro.html
이데일리「성재기 일주일에 1명꼴 마포대교 자살시도 1위 불명예」 http://www.1119999.net/bbs/board.php botable=table1wrid=1075
뉴스1「성재기 투신한 마포대교…CCTV 40개 있었지만…」 http://news1.kr/articles/1258711
디오데오 뉴스「경기도 심리적 부검 사업 지지」 http://www.diodeo.com/comuser/news/newsview.asp newscode=156258
조선일보 「故 성재기 베르테르효과 …마포대교 투신 급증」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dir/2013/08/06/2013080603390.html
국민일보 「성재기 투신으로 본 ‘자살률 1위 국가’라는 오명」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 page=1gCode=socarcid=0007411460cp=nv
조선일보 「시신 발견 남성연대 성재기 대표는 누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dir/2013/07/29/2013072902537.html
성진규, 「광주 건물 붕괴사고로 17명 사상... 문 대통령 '신속 조사' 주문」,BBC뉴스, 2021-06-10 https://www.bbc.com/korean/news-57423228
황혜진, 「“방화대교 설계대로 시공안해 상판 붕괴”」, 헤럴드경제, 2013-09-10 http://mbiz.heraldcorp.com/view.php?ud=20130910000111
김준현, 「충주 사방댐 거푸집 붕괴사고 '국가건설기준 미준수'」, 국토일보, 2021-07-31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38396
셉테드 : 범죄예방설계 Timothy D. Crowe Lawrence J. Fennelly [공]저 한국셉테드학회 편찬위원회 역. 2016
CPTED와 범죄과학 : 범죄예방환경설계 박현호 저. 2014
환경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 : 建築 第56卷 第12號, 2012.12, 50-51 (2 pages) 강부성, 2012
아동성범죄 예방을 위한 단독주택지 외부공간의 CPTED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3권 제1호(통권 제59집), pp.3-4, 김아람, 정성원, 201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