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패션의 이해
1.1. 패션의 일반적 정의
패션은 라틴어 'factio'에서 유래한 것으로, "창조하다(to make)"의 뜻을 내포하며 유행하다(과정), 유행(대상)을 의미한다. 패션은 시대의 사상, 행위 및 습관, 오락, 습관 등 모든 인간생활영역에 있어서 사회적 가치평가이며 변화하는 대인관계뿐 아니라 인간과 인공품(물질문화) 사이의 변화를 반영한다. 또한 삶의 원동력인 동시에 삶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1.2. 패션에 대한 이론
패션에 대한 이론에는 창조와 모방의 순환설, 계급차별화의 기능, 소비사회에 있어서 물신주의(fetishism), 브랜드지향성 등을 포함하는 Radical theory, 주기론, 생성, 성장, 소멸의 이론을 담고 있는 Evolution theory, 자아표현이론, 취미의 차별화, 패션의식이 있는 멋쟁이의 취향의 문제를 다루는 Symbolic Interaction theory가 있다"
패션은 개인들로 하여금 사고하는 방법과 일상생활을 편성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하나의 논리를 만들어낸다. 비록 패션이 시시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현대적 의식의 형성에 있어서 패션은 매우 중요하다. 패션은 단지 물질문화를 범주화하고 등급을 매기는 것에 관한 것일 뿐 아니라, 욕망의 조작, 이에 따른 즐거움 그리고 상상력의 유희이다.
2. 20세기의 패션 동향
2.1. 20세기 패션의 영향 요인
20세기 패션의 영향 요인은 다음과 같다"
기술 혁명(Technology R.)은 합성섬유, 합성염료, 신소재, 컴퓨터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대량생산, 기성복체재, 패션에 있어서 민주화를 가져왔다. 또한 교통통신, 정보의 발달로 인한 문화적 접촉 증대, 지구촌 스타일의 가속화 현상이 나타났다. 도시화에 따른 실용적, 기능적 패션의 강조, 기계가 노동대치, 여가 증대로 인한 취미생활 및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패션의 일상화 등이 특징이다.
사회계층 혁명(Social Class R.)은 교육의 증대와 부의 확산으로 인한 확고한 사회계층의 와해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하우트 쿠튀르에서 프레타포르테로의 전이, 소비문화 촉진, 다양한 취향의 선택 등이 나타났다.
청년 문화 혁명(Youth R.)에서는 청소년 문화의 탄생으로 Teds, Mods, Hippies, Punks, New Waves, Cyber Punks 등 거리패션이 출현하였다.
여성 해방 혁명(Feminine R.)은 사회참여도 증가, 실용적인 캐주얼복, Unisex Look, Androgynous Look, Genderless Look 등의 성 역할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기술, 사회계층, 청년 문화, 여성 해방의 혁명적 변화는 20세기 내내 패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2.2. 모더니즘 패션
모더니즘 패션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기에 나타난 미학적 현대성의 일종으로, 새로운 것, 혁신적인 것, 새로운 조형질서의 모색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모더니즘 패션은 이성에 기반하여 인간주체가 자기 바깥세계를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역사를 진보 발전시킨다는 객관성의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 과학과 기술의 도움으로 가장 진보된 형태의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적 순수함을 강조하며, 직선적이고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가 지배적이었다. 샤넬의 가디건 수트, 테일러드 수트, 미니멀리즘 복식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모더니즘 패션은 일상 삶에서 학습되는 다양한 경험이 집단적인 제어를 통해 단일하고 보편적, 획일적인 삶의 형태로 취해질 수 있다는 신념이 반영되었다. 따라서 사물의 기능적 효용성만을 강조하며, 윤리적·도덕적 생산원리와 노동의 윤리 타락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더니즘 패션은 단일하고 획일적인 세계적 보편주의를 추구하였고, 파리를 중심으로 전 세계로 패션이 확산되는 중앙집권적 중심화현상이 나타났다.
2.3. 포스트모더니즘 패션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은 1960년대 이후 대중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나타난 또 다른 미학적 현대성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의 모더니즘 질서를 해체하고 분산시키려는 특성을 갖는데, 이는 시공을 초월하는 새로운 미적 이상형을 추구한다.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은 일상적인 지식의 감각적인 영사막 뒤에 무엇인가 활력이 있다고 생각하며, 상징적이고 표현주의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초현실주의와 팝아트적 복식이 나타나는데,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