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WS 클라우드시스템 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와 종류
1.2. AWS의 시장 지배력
2. AWS의 주요 서비스
2.1. 컴퓨팅 서비스
2.1.1. Amazon EC2
2.1.2. Amazon Auto Scaling
2.1.3. Amazon Lightsail
2.1.4. Amazon WorkSpaces
2.2. 네트워킹 서비스
2.2.1. Amazon Route 53
2.2.2. Amazon VPC
2.2.3. AWS Direct Connect
2.2.4. Amazon ELB
2.3. 스토리지 서비스
2.3.1. Amazon S3
2.3.2. Amazon Glacier
2.3.3. Amazon EBS
3. 미래 클라우드 서비스의 전망
3.1. 코로나19 팬데믹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부상
3.2. 비용 절감에서 이윤 창출로의 진화
3.3. 일반 대중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확대
4. 결론
4.1. AWS의 시장 지배력과 국내 기업의 추격
4.2. 멀티 클라우드 전략의 부상
4.3.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인화 추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와 종류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상에 유틸리티 데이터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를 사용하는 등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말한다. 이는 개인이나 기업이 물리적 데이터 센터를 직접 구축하거나 서버를 구입, 소유, 유지, 관리하는 대신 AWS, MS 애저 등과 같은 공급자로부터 컴퓨팅 파워,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의 기술 서비스를 구매하고 엑세스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전반적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물리적 형태로 존재하던 스토리지, 서버 등의 인프라를 가상환경에서 신속하게 할당받아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둘째,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IaaS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 속에서 사용자 자신의 사업에 맞춰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마지막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1.2. AWS의 시장 지배력
AWS의 시장 지배력은 매우 강력하다. 2006년 시작된 AWS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넓은 범위의 클라우드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되었다. AWS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40.8%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2위인 MS 애저(19%)의 두 배가 넘는 수치이며, 3위 구글 클라우드(6%)와 비교해도 압도적인 격차를 보인다.
AWS의 시장 지배력은 오랜 기간의 선도자 지위, 방대한 서비스 기능, 높은 고객 충성도 등에 기반한다.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선구자로서 가상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분석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또한 지속적인 신규 서비스 출시와 기존 서비스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왔다.
이와 더불어 AWS는 기업, 정부, 교육 기관 등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이 높고 안정성이 우수한 서비스로 인해 높은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막대한 자금력과 R&D 투자로 신기술 개발을 주도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처럼 AWS의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은 현재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1위 기업의 지위를 굳건히 하고 있다. 향후에도 AWS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지켜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2. AWS의 주요 서비스
2.1. 컴퓨팅 서비스
2.1.1. Amazon EC2
Amazon EC2는 AWS가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 서비스로, 대표적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이다. Amazon EC2를 통해 사용자는 인터넷에 연결된 가상 서버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클라우드에서 컴퓨팅 파워의 규모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EC2의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용량을 쉽게 구매하고 구성할 수 있으며,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포괄적인 제어권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인프라를 관리하는 복잡성을 줄이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된다. Amazon EC2는 다양한 인스턴스 유형, 네트워킹, 보안 그룹, 스냅샷, 오토 스케일링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또한 Linux, Windows,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필요에 따라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상 인프라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요약하면, Amazon EC2는 클라우드에서 가상 서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인 컴퓨팅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2.1.2. Amazon Auto Scaling
Amazon Auto Scaling은 Amazon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시작하고 종료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로드를 처리하기에 적절한 Amazon EC2 인스턴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요 변화에 따라 손쉽게 컴퓨팅 용량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Amazon Auto Scaling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 첫째, 애플리케이션의 수요 변화에 맞추어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시작하고 종료한다. 둘째, 로드 밸런싱과 통합되어 트래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셋째, 여러 Availability Zone에 걸쳐 인스턴스를 배포하여 내결함성을 높인다. 넷째, 예약 태스크 및 정책 기반 조정을 통해 피크 시간대에 대비할 수 있다. 다섯째, CloudWatch 알람과 연동되어 인스턴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Amazon Auto Scaling은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 배치 처리 작업,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등에서 사용자 수요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하고 축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용 효율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합적으로 Amazon Auto Scaling은 AWS 컴퓨팅 서비스의 핵심 기능으로, 사용자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2.1.3. Amazon Lightsail
Amazon Lightsail은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사설 서버(VPS) 서비스이다. Lightsail은 개발자와 소규모 기업이 웹 사이트와 웹 애플...
참고 자료
김현성, 정재훈 (2019).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기술 및 이슈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논문지.
이정우 (2020).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의 동향과 전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박지환, 홍성준 (2022). "클라우드 컴퓨팅의 미래: 분산 컴퓨팅과 친환경 클라우드". 정보과학회지.
aws,https://aws.amazon.com/ko/products/?pg=WICC-N, 2021.03.19. 참고
Microsoft Azure,https://azure.microsoft.com/ko-kr/overview/what-is-cloud-computing/
위키백과, 경영정보시스템,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C%98%81_%EC%A0%95%EB%B3%B4_%EC%8B%9C%EC%8A%A4%ED%85%9C , 2021.03.20.참고
Paige Baltzan 지음/ 『경영 정보 시스템』,생능, 2016.02.05발행
David M. Kroenke, Randall J. Boyle,『경영정보시스템 사례로 배우는』,
시그마프레스, 2018.06.27출판
유투브, 얄팍한 코딩사전,https://www.youtube.com/watch?v=IH7mUwunzlo,
유투브, 투자하는 프로그래머,https://www.youtube.com/watch?v=IWQER-FL4Is,
itworld, IT 전문가들이 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단점 5가지, 2021.03.22.
유투브, Amazon Web Services Korea, https://www.youtube.com/watch?v=gh7e5Y7nffM
김동원. “[스페셜리포트]② "뜬구름 말고 진짜 구름 잡아라"...클라우드 공급사의 시장 쟁탈전 본격화”. AI타임스. 21.07.28 작성. 21.12.01 접속.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9858
Scott Carey. “AWS가 클라우드를 주도하는 이유”. IT WORLD. 20.11.18 작성. 21.12.01 접속. https://www.itworld.co.kr/news/172474
데이비드 섀키츠 외2(2019).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의 5가지 방향성”. Global Insights. 2019 No.13 7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