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케이스 중앙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 건강 현황 및 건강증진 사업
1.1. 지역사회 노인 건강 현황
1.2. 노인 건강문제와 관리 필요성
1.3. 노인 건강증진 사업 방향 및 전략
1.4.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 사업 추진
2. 치매 환자 건강관리
2.1. 치매의 정의 및 진행 과정
2.2. 치매 증상에 대한 간호 진단
2.3. 치매 환자 건강관리 전략
2.4. 노인성 질환 연계 관리
3. 청소년 금연 사업
3.1. 청소년 흡연 실태
3.2. 청소년 금연 사업 방향 및 전략
3.3. 금연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3.4. 학교 연계 금연 지원 활동
4. 뇌출혈 환자 관리
4.1. 뇌출혈의 정의 및 원인
4.2. 뇌출혈 증상 및 합병증
4.3. 뇌출혈 환자 치료 및 재활
4.4. 한의학적 치료 접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 건강 현황 및 건강증진 사업
1.1. 지역사회 노인 건강 현황
홍성군의 노인 건강 현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홍성군의 노인인구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9년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17,729명으로 전체 인구의 20.23%를 차지했으며, 2012년에는 18,599명으로 전체 인구의 21.12%를 차지해 충남 평균(15.19%)과 전국 평균(11.51%)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는 홍성군의 인구 구조가 급격히 고령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노인의 건강행태를 살펴보면,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과 걷기 실천율이 전국 및 충남 평균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2010년 기준 홍성군의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충남 평균(20.6%)보다 크게 낮은 15.4%였으며, 걷기 실천율도 24.1%로 충남 평균(36.1%)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특히 노인층의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과 걷기 실천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등이 부족했음을 시사한다.
비만율 또한 2010년 22.4%에서 2012년 24.3%로 증가하였고, 이는 충남 평균(24.2%)보다 높은 수준이다. 노인층의 비만율도 충남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반면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유병률은 충남 및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08년 기준 홍성군의 고혈압 유병률은 130.6%로 충남 119.1%, 전국 98.9%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당뇨병 유병률도 48.7%로 충남 44.6%, 전국 39.0%보다 높았다.
이처럼 홍성군 노인의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유병률이 전국 및 충남 평균에 비해 좋지 않은 편이다. 이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홍성군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 노인 건강증진 사업 추진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1.2. 노인 건강문제와 관리 필요성
노인 건강문제는 노화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저하로 발생하며, 이는 만성질환의 증가와 함께 동반된다. 특히 노인들은 복합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노인의 주요 건강문제로는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요실금, 말기신장질환, 치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노화에 따른 장기의 생리적 기능 약화, 면역력 저하, 영양 불균형 등으로 발생한다. 또한 노인의 경우 복합 만성질환으로 인한 투약 부작용, 낙상, 영양실조, 우울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노인 건강관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이다. 전체 인구에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노인 의료비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를 통해 의료비 절감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건강 악화로 인한 삶의 질 저하이다. 만성질환과 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이는 우울, 고립감 등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가족과 사회의 부담 증가이다. 건강한 노인일수록 가족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지만, 건강이 악화된 노인일수록 가족과 사회가 부양해야 하는 부담이 커진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만성질환 관리, 영양 개선, 운동 증진, 정신건강 관리 등 다각도의 건강관리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건강한 노년을 보내고 의료비 지출을 줄이며, 가족과 사회의 부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1.3. 노인 건강증진 사업 방향 및 전략
노인 건강증진 사업 방향 및 전략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성 질환 및 만성질환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치매 등 노인층의 유병률이 높은 질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재활, 요양 등의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므로 예방적 차원의 노인 건강증진 사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노인 건강증진 사업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사회적 건강까지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노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문제와 더불어 우울, 자살, 치매 등의 정신건강 문제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고독, 소외감 등의 사회적 문제도 노인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신체, 정신, 사회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 건강증진 사업은 지역사회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생활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 내 인프라와 자원을 활용하여 노인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경로당, 노인복지관, 보건소 등 지역사회 내 자원을 활용하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
넷째, 노인 건강증진 사업은 생애주기별 접근이 필요하다. 노년기 건강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장년기부터의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중장년층부터 노년층까지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생애전환기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 건강증진 사업은 통합적이고 협력적인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노인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보건, 복지,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부, 지자체, 지역사회 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여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향과 전략 하에 노인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한다면, 고령화 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Ⅰ(2011). 유호신 외12명. 수문사.
지역사회간호학Ⅱ(2011). 유호신 외12명. 수문사.
양현경,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금연성공 요인분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논문, 2009.
양해규, 「금연교육이 청소년의 흡연 지식,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9.
최중호, 「청소년 금연프로그램의 참여가 흡연 지식,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논문, 2006.
http://www.nosmokeguide.or.kr/ 금연길라잡이
http://www.nosmoke.or.kr/ 청소년금연짱
http://www.kash.or.kr/ 한국금연협의회
http://www.nosmokingnara.org/zbxe/?mid=index 금연나라
http://blog.naver.com/boljac?Redirect=Log&logNo=170367519 청소년흡연설문지
http://kosis.kr/index/index.jsp 국가통계포털
http://www.hongseong.go.kr/business/health/ 홍성군보건소
홍순기, 한용표, 허철, 이병우. 고혈압성 뇌출혈의 치료. 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5,14(4);671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순환, 신경내과학. 군자출판사. 2013
박인범, 김상우, 김철홍, 서정철. 동자침과 풍지혈 자락의 혈압강하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3.20(1);13-21
당뇨병 치료의 교육지침. KNDP. 2008.
유종삼, 김동희, 박종오, 남궁욱, 홍석. 가미희첨탕이 고혈압 및 뇌손상에 미치는 효과, J Korean Oriedntal Med. 2003;24(3):72-83
Aoki N:Lumboperitoneal shunt:Clinical applications, complications, and comparison with ventriculoperitoneal shunt. Neurosurgery 26:998-1004, 1990
백일서, 이창명, 김영태, 하호균. 수두증 션트수술후 감염. J Korean Neursurg Soc 27:476-480,1998
안점우, 김정연. 외상성 뇌손상 후 수두증 발생 환자 1례에 대한 임상고찰. J Oriental Rehab Med 2002 : 12(1) : 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