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운동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
1.1. 작업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분야
작업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분야는 다음과 같다.
작업치료사는 신체적ㆍ정신적 기능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한 작업요법적 치료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감각ㆍ지각ㆍ활동 훈련, 삼킴장애 재활치료, 인지 재활치료, 일상생활 훈련, 운전 재활훈련, 직업 재활훈련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작업수행능력 분석ㆍ평가, 작업요법적 치료에 필요한 기기의 사용ㆍ관리, 팔보조기 제작 및 팔보조기를 사용한 훈련 등의 업무도 수행한다. 그 밖에 신체적ㆍ정신적 기능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한 작업요법적 훈련ㆍ치료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즉, 작업치료사는 사고, 질병, 성장문제, 노화 과정, 사회 정서적 문제들을 지닌 사람들의 장애를 최소화시키고, 일상적인 역할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게 실제적인 일상생활 동작 훈련, 감각통합치료 등을 제공하여 최대한으로 자신의 능력을 회복하도록 도와서 일상생활 역할 및 독립성을 증진시켜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치료하고 교육하는 것이다.
1.2. 물리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분야
물리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분야는 다음과 같다.
물리치료사는 신체의 교정 및 재활을 위한 물리요법적 치료를 수행한다. 주요 업무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요법적 기능훈련 및 재활훈련을 실시한다. 근골격계, 신경계, 피부계 등 다양한 신체 기능의 저하나 장애를 겪는 대상자들에게 운동치료, 보행훈련, 관절가동성 증진 훈련 등의 물리요법적 기능훈련과 재활훈련을 제공한다.
둘째, 기계 및 기구를 이용한 물리요법적 치료를 실시한다. 열치료, 전기치료, 광선치료, 수치료, 도수치료 등 다양한 물리치료 기술과 기구들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치료 및 재활을 돕는다.
셋째, 도수치료를 실시한다. 기구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행하는 도수치료를 통해 관절가동범위 증진, 근력강화 등을 도모한다.
넷째, 도수근력(손근력)과 관절가동범위 검사를 실시한다. 대상자의 근력과 관절가동범위를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적절한 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다섯째, 마사지 치료를 실시한다. 근육이나 관절의 긴장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마사지 치료를 제공한다.
여섯째, 물리요법적 치료에 필요한 기기와 약품의 사용 및 관리를 담당한다. 열, 전기, 광선, 수 등의 물리적 모달리티를 사용하기 위한 기기와 약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과 관리를 책임진다.
일곱째, 신체 교정운동을 실시한다. 자세와 움직임의 교정을 위한 다양한 신체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물리요법적 교육을 제공한다. 대상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의 필요성, 방법, 주의사항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이와 같이 물리치료사는 다양한 신체적 장애와 질병에 대해 물리요법적 접근을 통해 기능 회복과 재활 증진에 기여한다.
1.3. 운동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분야
운동치료사의 역할 및 업무분야는 다음과 같다.
운동치료사는 운동을 활용하여 각종 질병과 합병증을 예방 및 완화하고, 일상생활로의 재활에 도움을 주며 건강관리와 증진, 유지 방법을 지도한다. 운동치료사는 신체의 각 부분에 적용한 운동의 종류에 따라 변형교정, 관절 기능 개선, 근력 증진, 지구력 증진, 근육-운동기관의 협응성 증진, 운동속도 등을 향상시키고 신체의 균형과 기능을 개선한다.
구체적인 업무분야로는 운동처방, 운동지도, 그리고 Feedback에 의한 운동프로그램 관리 등이 있다. 먼저 운동처방 업무에서 운동치료사는 문진과 시진, 과학적 검사를 통한 대상자의 체력수준과 건강상태 측정 및 이를 통한 진단을 수행한다. 이때 유아, 노인, 장애인 등 대상자의 연령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