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조사의 필요성
사회복지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현상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사회과학의 분야보다도 사회복지는 응용과학과 실천과학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는 편이다. 응용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는 인간의 욕구 충족을 위하여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현상 등 복잡한 체계를 연구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 지식을 사용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실천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는 실제 현장에서 실천이 이루어지는 분야이다. 이러한 특성이 동시에 작용하는 사회복지는, 인간과 인간관계, 사회현상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총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회복지의 목적을 실질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바로 사회복지조사이다. 조사는 특정한 현상에 대한 파악, 해결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절차로 실천적으로 지식을 탐구하는 활동이다.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와 조사를 결합하여, 사회복지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작용하며 개개인의 복지 욕구 충족,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지식탐구의 절차라고 할 수 있다.
1.2. 연구 주제 소개
이 연구에서는 '한부모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다루고자 한다. 한부모 가정의 부모는 경제활동과 가사, 육아를 모두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서 상당한 신체적, 정신적 피로를 느끼며 이러한 부담은 자녀에게 영향을 미쳐 한부모 가정 아동의 성장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한부모 가정 지원에 대한 경각심을 이끌어내고 실질적인 급여 지원, 프로그램 제공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이번 과제에서는 한부모 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2. 네 가지 변수 (네 가지 측정의 수준)
2.1. 변수의 종류와 분류
변수의 종류와 분류는 다음과 같다""
변수는 질적 변수와 양적 변수로 구분된다. 질적 변수는 명목척도와 순서척도로 나뉘며, 양적 변수는 등간척도와 비율척도로 나뉜다.
명목척도는 변수 간 차이점을 나타내는 순서나 크기의 개념이 없는 척도이다. 이 척도에서는 변수 간 분류만이 가능할 뿐 변수 간 크기나 순서를 비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성별, 거주지역, 결혼 여부 등이 명목척도에 해당한다.
순서척도는 변수 간 크기나 순서의 개념은 있지만 그 차이의 크기는 알 수 없는 척도이다. 예를 들어 교육 수준(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사회계층(하-중하-중-중상-상) 등이 순서척도에 해당한다.
등간척도는 변수 간 차이의 크기가 동일한 척도이다. 예를 들어 온도, 점수, 소득 수준 등이 등간척도에 해당한다. 등간척도는 순서척도와 마찬가지로 변수 간 크기나 순서를 비교할 수 있지만, 각 변수 간 차이의 크기가 동일하다는 특징이 있다.
비율척도는 변수 간 차이의 크기뿐만 아니라 절대적인 0의 개념이 있는 척도이다. 예를 들어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