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욕구 조사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사회복지 욕구 조사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문제 분석
2.1. 사회문제의 규정
2.2. 문제분석의 기준
2.3. 문제분석의 내용

3. 욕구사정
3.1. 욕구의 개념
3.2. 욕구사정의 정치
3.3. 욕구의 확인과 추산
3.4. 욕구의 유형

4. 욕구사정의 기법
4.1. 기존자료(이차자료)의 활용
4.2. 서비스 제공기관의 자료
4.3. 주요 정보제공자 조사
4.4. 지역사회 서베이
4.5. 지역사회 포럼
4.6. 욕구사정 기법의 선택

5. 욕구사정의 활용
5.1. 결과분석 활용의 문제점
5.2. 욕구사정의 정치적 합리성

6. 지역사회복지 욕구 조사기법
6.1. 지역사회복지 욕구 개념
6.2. 지역사회복지 욕구 조사기법
6.3. 부천 고강동 지역 분석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리적 범위 내의 사람들이 개인 또는 공동의 가치, 문화, 동질성, 상호작용, 이해관계에 기초하여 형성된 사회적 단위이다. 지역사회는 생산·분배·소비, 사회화, 사회통제, 사회통합, 상호부조, 방어, 의사소통의 기능을 한다. 이처럼 지역사회는 기본적인 사회적 단위고, 다양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대해서 연구하는 일은 필수적이라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사회복지 욕구 조사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부천 고강동에 대입하여 조사해 본다.


2. 사회문제 분석
2.1. 사회문제의 규정

사회문제의 규정은 단순히 어떤 비정상적인 상황들이 사회문제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확인 과정을 거쳐서야 비로소 사회문제로서 인식된다는 것이다. 즉, 사람들이 그들이 갖는 환경의 조건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써 규정된 것이 사회문제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열악한 건강상태, 실업, 낮은 소득, 신체 학대 등의 상황들이 포함된다. 이처럼 사회문제란 단순한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문제로 규정된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2.2. 문제분석의 기준

문제분석의 기준이란 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확인되어야 할 사회문제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의미하며, 크게 사회에 대한 문제와 개인에 대한 문제, 그리고 문제의 존재나 유포에 기여하는 요인들로 구분된다.""

첫째, 사회에 대한 문제는 사회자원과 비용의 문제, 사회구성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 사회통합과 같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위협 등을 포함한다.""

둘째, 개인에 대한 문제는 건강과 체면유지를 위한 최저기준의 박탈, 학대와 착취의 위협, 완전한 사회적 참여에 대한 장애 등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문제의 존재나 유포에 기여하는 요인들에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 역사적, 정치적 요인들과 생물학적·물리적, 행동적,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조건들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문제분석의 기준을 통해 사회문제의 본질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효과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된다.""


2.3. 문제분석의 내용

문제분석의 내용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먼저 사회에 존재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나 조건들을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문제상황에서 고통을 받는 대상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 문제로부터 이득을 얻는 집단이 누구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그 문제를 누가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지, 반대로 문제로 보지 않는 집단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문제의 근본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 또한 중요하다. 현재 그 문제를 다루고 있는 프로그램들의 현황과 그 프로그램을 중단할 경우 예상되는 결과를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더불어 사회변화의 목표가 무엇인지, 그리고 욕구와 자원 간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거나 장애가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분석의 내용들은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되며, 보다 효과적이고 적절한 프로그램 기획을 가능하게 한다.""


3. 욕구사정
3.1. 욕구의 개념

욕구의 개념은 인간의 욕구를 설명하는 두 가지 접근방법인 심리학적 접근과 사회학적 접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심리학적 접근에서는 개인이 갖는 보편적인 욕구의 유형을 확인하는데 주목한다. 대표적인 예로 매슬로우(A. Maslow, 1954)의 인간욕구 단계설을 들 수 있다. 매슬로우는 인간 욕구를 ① 생존의 욕구(물리/신체적 욕구), ② 안전 및 안정의 욕구, ③ 소속과 사랑의 욕구, ④ 자존, 존경의 욕구, ⑤ 자아실현의 욕구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비록 개인적인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인간에게는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 유형이 공통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반면 사회학적 접근은 인간 욕구의 차별성과 사회문화적 결정요인에 주목한다.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욕구는 분배의 개념으로 해석되며,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자원배분의 근거가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개인이나 집단이 갖는 결핍이나 박탈이 사회의 정치경제적 역학관계를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되고 자원 배분의 대상이 되는 상태가 욕구인 것이다."

이처럼 욕구에 대한 심리학적, 사회학적 접근은 서로 다른 관점을 제공하지만, 욕구가 인간과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3.2. 욕구사정의 정치

욕구사정의 정치적 성격은 다음과 같다.

욕구사정은 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과정의 일부로, 기존의 지역사회주민의 문제와 목표를 설정하는 데 활용된다. 욕구사정은 사회적 확인 과정을 거쳐 사회문제로 규정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들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욕구사정은 개인의 결핍이나 박탈이 사회의 정치경제적 역...


참고 자료

네이버지도/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https://map.naver.com/v5/search/%EA%B2%BD%EA%B8%B0%EB%8F%84%20%EB%B6%80%EC%B2%9C%EC%8B%9C%20%EA%B3%A0%EA%B0%95%EB%8F%99?c=14296758.3843216,4323993.7563622,15,0,0,2,dh
부천시, 고강지역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도시경쟁력 강화/제주교통복지신문/임의순/2021.10.1
https://www.jejutwn.com/news/article.html?no=95497
고강동의 비애 '上 항공기 소음- 下 민자고속도로 피해/부천매일/김정온/2018.10.11.
http://www.bcmaeil.com/bcmaeil/news.html?news_num=9359
한겨례, 저출산이 ‘문제’인 진짜 이유,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505.html
이데일리, [육아전쟁]밑빠진 독에 물붓는 저출산대책…해법은 '아빠육아',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11&newsid=01256246609596224&DCD=A00701&OutLnkChk=Y
신복기, 박경일 외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
남일재, 문명주 외 저,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정민사 2011
강용규, 김형수 외 저,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
강종수 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학지사 2011
김영종 저,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