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배달 수요가 늘어나면서 오토바이 불법 행위 건수 역시 급증하고 있다. 제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이륜차 집중단속 결과 3173건의 위반 행위가 적발되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9% 증가한 수치로 이미 지난해 총 단속 건수 2219건을 추월하고 있다. 최근 기사에는 덤프 트럭에 치여 사망하게된 사건을 볼 수 있었다. 최근 심각해진 오토바이 사건 사고들을 보면서 오토바이 사고로 척수 손상을 입게 된 환자에 대한 간호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여 선택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척수 손상의 원인은 대부분 외상이 차지하며, 자동차나 오토바이 사고, 폭행, 낙상, 운동 시 사고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특히 청년층 남성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고, 노령층에서도 발생하는 추세이다. 음주나 약물 사용, 안전벨트 미착용 등이 척수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발생 부위는 경추 손상이 가장 많으며, 이는 운동 범위가 넓어 손상률이 높기 때문이다. 척수 손상의 정도는 완전 절단에서부터 경상의 손상까지 다양하며, 초기 손상 이후 2차적 손상이 진행되면서 신경학적 결손이 악화될 수 있다. 척수 손상 환자들은 운동, 감각,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로 인해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겪게 되며, 이로 인한 역할상실과 자아개념의 변화, 경제적 손실 등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척수 손상 환자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재활을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 본론
2.1. 척수 손상 환자의 정의 및 원인
척수 손상은 가벼운 굴곡과 신전으로 인한 손상에서부터 영구적인 사지마비를 초래하는 완전 척수 절단까지 다양하게 발생된다"" 외상이 흔한 원인이며 자동차나 오토바이 사고, 폭행, 낙상, 운동 시 사고 (축구, 다이빙, 스키) 등이 원인이다"" 미국에서 위험성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16 ~ 30세 사이의 젊은 남성이며, 척추 손상 환자의 80%가 남자이다"" 노인층에서 척추 손상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부분 낙상과 관련이 있다"" 발생 빈도가 가장 흔한 부위는 C₁-₂, C₄-?, T₁₁-₁₂ L₄-? 척추이며, 다른 척추보다 움직임의 범위가 넓으므로 경추손상이 50% 이상이다"" 대부분의 척추 손상은 외부 손상에 의해서 초래되나 척추 협착이나 관절염, 골다공증 같은 만성 질환에서 척추 손상의 위험이 증가된다""
2.2. 척수 손상의 병태생리
척수 손상의 병태생리는 1차 손상과 2차 손상으로 구분된다""
1차 손상이란 척수에 직접적인 물리적 힘이 가해져 발생하는 손상으로, 대표적으로 척수 진탕, 척수 좌상, 척수 열상, 척수 절단, 혈관 손상 등이 있다"" 척수 진탕은 축구 등의 스포츠와 관련된 손상으로 심하게 부딪히거나 밀렸을 때 발생하며, 일시적인 기능 장애 후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척수 좌상은 압박에 의해 발생하며 척수 내 출혈로 인해 피멍과 부종이 초래된다"" 척수 열상은 총상이나 자상에 의해 척수가 찢어지는 것이며, 척수 절단은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절단되어 하부의 신경학적 기능이 상실된다"" 혈관 손상은 척수로 가는 혈류가 감소되어 허혈을 초래한다""
2차 손상은 초기 손상 후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손상으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백질과 백질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한다"" 2차 손상의 과정에서 세포사멸, 염증, 자유 라디칼 생성, 흥분성 아미노산의 축적 등이 발생하여 이차적인 손상을 야기한다""
1차 손상 유형에 따라 병태생리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과굴곡 손상은 인대 파열, 추간판 골절 또는 탈골을 초래하고 과신전 손상은 전종인대 파열, 척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