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퍼플 카우(Purple Cow) 마케팅의 이해
1.1. 퍼플 카우 마케팅의 정의
퍼플 카우 마케팅이란 독특하고 이야기할 만한 가치가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마케팅 기법이다. 일반적인 상품들이 단순히 "좋다(very good)"는 수준이라면, 퍼플 카우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주목을 끌 수 있는 "리마커블(remarkable)"한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퍼플 카우 마케팅은 평범한 노란색 소들 사이에서 보라색 소가 나타나는 것처럼, 시장에서 두드러지고 화제가 될 만한 독특한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관심과 입소문을 이끌어내는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전통적인 4P 마케팅과 퍼플 카우 마케팅의 차이
전통적인 4P 마케팅과 퍼플 카우 마케팅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4P 마케팅은 제품(Product), 가격(Pricing), 유통(Place), 판촉(Promotion)의 4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업은 이 4가지 요소를 잘 조합하여 제품을 시장에 효과적으로 출시하고자 한다. 즉, 전통적인 4P 마케팅은 기업 중심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퍼플 카우 마케팅은 제품 자체가 독특하고 리마커블(remarkable)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퍼플 카우 마케팅에서는 제품이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고, 예외적이며, 새롭고 흥미롭게 여겨져야 한다. 이를 통해 스니저(sneezers)라고 불리는 소수의 핵심 고객들이 제품에 대해 입소문을 내도록 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즉, 퍼플 카우 마케팅은 소비자 중심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4P 마케팅이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면, 퍼플 카우 마케팅은 특정 세분 시장의 열성적인 고객을 타깃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4P 마케팅은 기업 내부의 자원을 활용하는 데 집중하는 반면, 퍼플 카우 마케팅은 제품 자체의 리마커블함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입소문이 확산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전통적인 4P 마케팅이 기업 중심적이고 대중 지향적인 접근법이라면, 퍼플 카우 마케팅은 소비자 중심적이고 세분 시장 지향적인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다.
1.3. 리마커블(remarkable) 상품의 중요성
이 책의 키워드, 주목해야 할 단어는 리마커블(remarkable; 이야기할 만하다는 뜻)이다. 리마커블 마케팅이란 눈가림이 아니라 그 자체로 주목할 만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기술 혹은 상품 자체가 리마커블 하지 않으면 눈에 띄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다. 리마커블의 반대말은 베리 굿(very good)이다. 아주 좋다는 것은 아무런 할 말이 없게 만든다. 요즘의 고객은 만족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감동, 기절까지 나아간다. 그래도 고객은 말이 없다. 그들은 친절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떠드는 소수의 심정에 포커스를 맞출 필요가 있다. 떠드는 것을 좋아하는 고객에게 귀속 말을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떠드는 소수를 오피니언 리더라 한다. 소매업에서는 얼리 어답터라 하고 이 책에는 스니저, 오타쿠라고 한다. 이 책의 리마커블 한 점은 마케팅 책이 광고보다 제품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마케터들은 4P 중 보통 프로모션 전략에 집중한다. 제품은 자신들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책은 다르다. 프로모션이 리마커블한 게 아니라 제품이 리마커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프로모션 기법의 리마커블은 단기적 충격만 줄 뿐이다. 제품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려야 한다. 리마커블이 제품시장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노동시장으로 시각을 돌리면 이런 결론이 나온다. 부단하게 리마커블해져라. 누런소, 검정소가 되지 말고 보라색 소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튀지말고 차별화할 일이다. 그런 아슬아슬한 균형을 잡는 것이 개인의 노하우다. 어떤 제품의 미래가 리마커블할 것 같지 않을 때, 사람들이 다시 한 번 그 제품에 열광하는 일이 벌어질 것 같지 않을 때, 그때가 바로 게임의 법칙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때이다. 죽어가는 제품에 투자하지 말고 거기서 챙긴 이익을 가지고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데 투자해야 한다. 이처럼 리마커블은 제품뿐만 아니라 개인의 노력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져야 하는 것이다."
2. 성공적인 퍼플 카우 만들기
2.1. 타깃 고객 파악
타깃 고객 파악은 퍼플 카우 마케팅의 핵심 단계 중 하나이다. 저자는 기존 대중 상품 마케팅의 한계를 지적하며, 차별화된 타깃 고객을 선정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저자는 전통적인 4P 마케팅 믹스 전략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고 지적한다.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매스 마케팅 방식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낭비에 그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신 리마커블한 제품으로 특정 타깃 고객을 공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대중 시장을 세 가지 집단으로 구분한다. 먼저 이노베이터와 얼리 어답터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집단이다. 특히 얼리 어답터들은 규모가 크고 구매력이 있어 중요한 타깃이 된다. 반면 전기 및 후기 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