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PICO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09.24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PICO"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산모의 모유수유 증진 프로그램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PICO 질문 도출
1.3.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의 효과
1.3.1. 모유수유 실천율
1.3.2. 모유수유 지속률
1.3.3.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1.3.4. 모아애착

2. 신생아 채혈 시 음악요법을 통한 통증 완화
2.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2. PICO 질문 도출
2.3. 음악요법의 효과
2.3.1. 통증 행동 반응
2.3.2. 울음 지속 시간

3. 고열 환아의 체온 조절 간호중재
3.1. 임상사례 소개
3.2. PICO 질문 도출
3.3. 간호중재 방법
3.3.1. 미온수 스펀지 목욕
3.3.2. 옷 얇게 입히기 및 방 환기
3.4. 체온 정상화 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산모의 모유수유 증진 프로그램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모유수유는 신체발달, 정서적 유대감 강화 및 정서발달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숙아 대부분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아 각종 의료기기의 적용 등으로 직접모유수유를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미숙아와 같이 취약한 영아의 산모는 모유수유 지연, 스트레스 등으로 퇴원 전에 모유수유를 중단할 가능성이 높고 퇴원 후의 모유수유 지속률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실 영아의 산모들이 직접모유수유를 지속하도록 직접모유수유프로그램을 시행할 경우 모유수유 실천율, 모유수유 지속률,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및 모아애착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1.2. PICO 질문 도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대상자 선정기준에 충족하는) 미숙아 어머니에게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을 적용할 경우, 모유수유 실천율, 모유수유 지속률,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모아애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이다.


1.3.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의 효과
1.3.1. 모유수유 실천율

미숙아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직접모유수유 실천율은 77.4%로, 대조군의 20.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이 미숙아 산모의 직접모유수유 실천율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실험군의 직접모유수유 실천율이 대조군에 비해 3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은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이 미숙아 산모의 모유수유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숙아 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율 증진을 위해서는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과 같은 체계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2. 모유수유 지속률

미숙아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모유수유 지속률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원 시의 1차 사후조사에서 실험군의 모유수유 지속률은 90.3%인 반면 대조군은 58.6%였다. 퇴원 한 달 후의 2차 사후조사에서도 실험군 83.9%, 대조군 37.9%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들의 모유수유 지속률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1.3.3.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모유수유 자기효능감은 미숙아 산모가 모유수유를 실천하고 지속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다. 실험군의 경우 사전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점수가 56.87±12.38점에서 퇴원 시 1차 사후조사에서 68.97±11.55점으로 증가하였고, 퇴원 한 달 후인 2차 조사에서는 70.87±15.06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사전 54.59±13.92점, 1차 사후에서 50.41±13.81점, 퇴원 한 달 후인 2차 조사에서 42.10±15.74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모유수유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참고 자료

강지현·손현미·변신연·한규민,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를 위한 직접모유수유 프로그램의 효과: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Effect of Direct Breastfeeding Program for Premature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대한간호학회지, v.51 no.1, 2021년, pp.119 - 132
고지은(2006). “음악감상이 신생아 채혈 시 통증행동반응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p. 39-46
유재경 (2001), 음악적 자극에 대한 신생아의 반응 및 선호도, 학위논문(석사)-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요법이 신생아의 발뒤꿈치 천자시 심박동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및 얼굴표정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music therapy on heart rate, respiration rate, oxygen saturation and facial expressions in neonatal infants under heel puncture, 송연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신생아에서 채혈 시 음악제공이 통증행동 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ring Music on Pain Response during Blood Sampling 오혜린, 2013, vol.20,no.4,pp. 470-475 (6 pages)
Pattinson D, Fitzgerald M. The neurobiology of infant pain: development of excitatory and inhibitory neurotransmission in the spinal dorsal horn. Reg Anesth Pain Med 2004;29:36-44.
신생아의 침습적 절차에 따른 통증 반응 = Pain Reaction of Neonates on Invasive Procedure, 김정은,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0
신희선, 김동희. (2003). 간호사의 아동 통증 중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9(2), 140-148.
송경애 등(2021). 개정판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p. 362~367
송경애 등(2021).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 463~474
열·냉요법 The Korean nurse 제29권 제2호, 1990년, p.16~2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