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엘리뇨 현상의 정의와 특징
1.1. 엘리뇨의 정의
엘리뇨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엘리뇨(El Nino)란 스페인어로 "남자 아이"를 뜻하며, 남아메리카 페루와 에콰도르 연안의 바다 수온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주로 크리스마스(12월)에 시작되어 이듬해 5월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아기 예수"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다. 엘리뇨 기간 동안 페루 연안의 멸치어장은 해수면온도 상승으로 인해 사라지게 되어, 이 지역 어부들은 일시적으로 일을 멈추고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게 된다. 때로는 엘리뇨가 다음 해 여름까지 또는 그 이상 지속되기도 하여, 어부들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1.2. 엘리뇨 발생의 원인
엘리뇨 발생의 원인은 태평양 열대 지역의 해양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찾을 수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태평양 서쪽에는 따뜻한 바닷물이 존재하고 동쪽에는 차가운 바닷물이 존재하는데, 이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어오는 무역풍의 영향 때문이다. 무역풍은 서쪽의 따뜻한 표층 해수를 동쪽으로 밀어내어 차가운 심층 해수가 용승하게 만든다.
그런데 무역풍이 평년보다 약해지면 서태평양의 따뜻한 표층 해수가 동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태평양 지역의 수온이 평년보다 높아지게 되는데, 이를 엘리뇨 현상이라고 한다. 즉 무역풍의 약화가 엘리뇨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다.
무역풍이 약해지는 이유로는 열대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보통 동태평양에서는 상승기류가 발달하여 저기압이 형성되고, 서태평양에서는 하강기류가 발달하여 고기압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동-서 방향의 대기 순환인 워커 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 워커 순환이 약해지면 무역풍도 약해지게 되는 것이다.
워커 순환이 약해지는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해수면 온도 변화로 인한 대류 활동의 변화, 열대 태평양 상공의 편서풍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해양-대기 상호작용의 변화는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어 3-7년 주기로 엘리뇨와 라니냐가 반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엘리뇨 현상의 영향
엘리뇨 현상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엘리뇨 현상으로 인해 열대 태평양 지역의 기상이 크게 변화하게 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환경 및 사회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우선 엘리뇨 발생 시 동태평양 해역의 수온이 상승하면서 페루와 에콰도르 연안의 어획량이 크게 감소한다. 1982-1983년 엘리뇨 기간 동안 동태평양의 멸치 어장이 사라져 이 지역 어부들의 생계에 큰 타격을 주었다. 또한 서태평양의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인도네시아와 호주 지역에도 가뭄이 발생하였다. 반면 동태평양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남부지역에는 홍수가 빈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엘리뇨 발생은 지구 전체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열대 태평양의 대류 활동이 변화하면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는 가뭄이, 북미와 남미 지역에서는 홍수가 발생한다. 또한 알래스카와 캐나다는 따뜻한 겨울을, 미국 남동부는 추운 겨울을 경험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극端 기후 현상으로 인해 농작물 피해, 산불, 전염병 발생 등 다양한 사회 경제적 문제가 발생한다. 1982-1983년 엘리뇨 당시 페루는 GNP의 12%가 감소하는 등 큰 경제적 손실을 입었고, 미국에서는 수백 명의 폭염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 말라리아, 세균성 이질 등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하였다.
이처럼 엘리뇨 현상은 기후, 생태계,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과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4. 엘리뇨 현상의 발달 추세
엘리뇨 현상의 발달 추세는 1970년대 이후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1970년대 이전까지는 엘리뇨와 라니냐가 주기적으로 발생하였고, 라니냐가 더 강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1977년을 기점으로 라니냐 발생이 크게 줄어들고 엘리뇨 발생이 빈번해졌으며, 엘리뇨의 강도 또한 강해졌다.
1982/1983년과 1986/1987년에는 비교적 강한 엘리뇨가 발생하였고, 1990년부터 1994년까지는 약한 엘리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