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년층 결혼기피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혼인율 저하와 저출산
2.1. 혼인율 저하의 실태
2.2. 혼인율 저하와 저출산의 원인
2.2.1. 개인적 가치관 변화
2.2.2. 경제적 요인
2.2.3. 가사 및 육아 부담
3. 1인 가구 증가
3.1. 1인 가구 증가의 실태
3.2. 1인 가구 증가의 원인
3.2.1. 사회적 가치관과 규범 변화
3.2.2. 경제적 요인
3.2.3. 인구통계학적 변화
3.2.4. 기술 발전
4. 미래 가족의 변화 예측
4.1. 1인 가구 증가 지속
4.2. 무자녀 가정 증가
4.3. 다양한 가족 구조 보편화
4.4. 성역할 평등 구조 확립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저출생 현상이 심화하면서 신가족경제 관점을 반영한 논의가 확대되었다. 기혼부부의 자녀출산이 압도적으로 높은 한국 사회의 특성상 출생률의 저하가 혼인율의 저하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 저출생 현상은 기혼여성의 출산율 하락보다는 결혼지연과 비혼 등 결혼행태의 변화에서 비롯된 경향이 있다. 신가족경제적 관점에서 결혼행태의 변화 배경을 살펴본 연구들은 경제성장의 둔화와 경기침체의 장기화에 따라 고용 불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주택가격의 폭등과 자녀 양육 및 교육비용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결혼에 따르는 비용이 커진 점을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성인기의 주요 문제 중 혼인율 저하와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논의해 보겠다.
2. 혼인율 저하와 저출산
2.1. 혼인율 저하의 실태
우리나라에서 지난 20년간 미혼자의 결혼의향과 다양한 영향요인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증가했다"이다. 결혼의향은 결혼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와 현실적인 여건이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며, 결혼의향이 높으면 결혼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크다. 즉, 결혼의향은 결혼에 대한 태도와 규범, 현실적인 상황과 결혼 이행을 연결하는 지점이다.
국내 저출생 현상의 원인으로 미혼 남녀의 결혼 지연 및 기피 경향이 지목되면서 결혼패턴의 변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했다. 특히 제도적 결혼의 울타리에서 자녀를 출산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한국사회의 특성상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혼인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확대되었다.
혼인율의 저하는 결혼을 지연하거나 기피하는 추세를 반영한다. 일부 학자들은 개인주의적 가치관과 개인의 성취를 중시하는 태도의 확산, 가족중심적 태도의 약화로 결혼패턴이 변화했다고 설명한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보편화되었음에도 성역할 규범이 더디게 변화하면서 결혼과 자녀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기도 한다. 2000년대 이후 경제성장이 둔화하면서 고용 불안정성은 커졌으나, 결혼 및 자녀출산과 관련된 비용은 증가하면서 결혼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된 결과라는 지적도 있다.
2.2. 혼인율 저하와 저출산의 원인
2.2.1. 개인적 가치관 변화
개인적 가치관 변화는 혼인율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결혼이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즉, 결혼은 더 이상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 아니라 선택의 문제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답한 비율이 남성 14.1%, 여성 6%에 불과했다. 반면 '결혼은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남성 39.2%, 여성 54.9%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에 비해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감소하고 결혼을 선택적인 것으로 보는 인식이 확산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혼관의 변화는 실제 행동으로도 이어져, 초혼 평균연령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남성의 초혼 평균연령은 33.2세, 여성은 30.8세로 10년 전에 비해 각각 1.4세, 1.9세 늦춰졌다. 이는 결혼을 기피하거나 연기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개인의 가치관 변화는 결혼을 필수적인 것으로 여기지 않고 선택의 문제로 인식하게 만듦으로써 혼인율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2. 경제적 요인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도 혼인율 저하와 저출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참고 자료
강유진(2021). 미혼남녀의 결혼이행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김경수(2022). 2021년 합계출산율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김정석(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김혜정(2010). 미혼남녀별 결혼 및 자녀출산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호, 이상헌,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의 원인: 결혼결정의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제 17권 제 3호, 2011, pp.132~137.
오창섭, 최성혁, 저출산 원인의 실증분석: 혼인율 하락과 초혼연령 상승의 경제적 요인, 복지행정논총 제 22권제 1호, 2012, pp.91~125.
반기웅. 2023. 코로나 끝나도 결혼 안한다…지난해 혼인‘역대 최저’. 경향신문. https://m.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303161532001#c2b
2023. 2022년 혼인·이혼 통계. 통계청. file:///C:/Users/happy/Downloads/2022%EB%85%84+%ED%98%BC%EC%9D%B8+%EC%9D%B4%ED%98%BC+%ED%86%B5%EA%B3%84.pdf
2022.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 통계청. file:///C:/Users/happy/Downloads/2022+%ED%86%B5%EA%B3%84%EB%A1%9C+%EB%B3%B4%EB%8A%94+1%EC%9D%B8%EA%B0%80%EA%B5%AC.pdf
응웬티빅튀. 2022. 한국 청년층의 결혼의향 영향요인 및 관련 정책에 관한 연구-경제적 및 비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