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은 뇌혈관이 혈전이나 색전 등으로 막히게 되어 혈류를 차단하여 해당부위의 뇌조직을 손상시키는 질병이다. 뇌혈관이 막히게 되면 막힌 부위 이후의 뇌조직은 산소와 영양분을 받을 수 없어 뇌조직의 손상이 생기게 된다. 뇌조직은 한 번 망가지게 되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겪기 때문에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1.1.2. 뇌경색의 원인
뇌경색의 원인은 크게 혈전성 뇌경색, 색전성 뇌경색, 혈류역학적 뇌경색, 열공성 뇌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혈전성 뇌경색은 죽상 동맥 경화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해당 부위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여 뇌조직이 괴사하는 경우이다. 이는 나이가 많고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성 심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 잘 발생한다. 둘째, 색전성 뇌경색은 동맥 내 혈전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색전이 뇌동맥을 따라 흘러가다가 어딘가에 걸려 막히면서 그 아래 뇌조직이 괴사하는 경우이다. 셋째, 혈류역학적 뇌경색은 동맥 경화로 인해 전반적인 뇌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중심부의 큰 혈관에는 어느 정도 혈액이 공급되지만 주변부의 작은 혈관으로는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경색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넷째, 열공성 뇌경색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서 뇌 깊부 작은 관통동맥에 혈전이 생겨 1.5cm 이하의 작은 경색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처럼 뇌경색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동맥경화증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1.1.3. 뇌경색의 종류
뇌경색의 종류에는 혈전성 뇌경색, 색전성 뇌경색, 혈류역학적 뇌경색, 열공성 뇌경색 등이 있다.
첫째, 혈전성 뇌경색은 죽상 동맥 경화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흘러갈 피가 부족해지고 산소가 모자라 뇌조직이 괴사하는 경우이다. 주로 나이가 많고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잘 생긴다. 뇌출혈과 달리 쉬고 있을 때나 잠잘 때 잘 발생한다.
둘째, 색전성 뇌경색은 죽상동맥경화가 있는 동맥에서 떨어져 나온 혈전 조각이 뇌동맥을 막아서 발생한다. 죽상 동맥경화 병변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혈전 조각이 뇌동맥을 따라 흘러가다가 어딘가에 걸려 뇌혈관을 막기 때문에 그 아래 뇌조직이 괴사한다.
셋째, 혈류역학적 뇌경색은 죽상 경화로 동맥이 전체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히거나, 저혈압이나 출혈 등으로 뇌의 전체적인 혈액 순환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 이 경우 뇌 중심에 있는 큰 혈관에는 어느 정도 혈액이 흐르지만 주변 부위의 작은 혈관에 피가 부족해져서 그 부위의 뇌조직이 괴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열공성 뇌경색은 죽상 동맥 경화나 고혈압, 당뇨병 등이 있는 환자에게서 잘 생긴다. 뇌의 중심 부위에 있는 작은 관통 동맥에 아주 작은 혈전이 생겨서 그 부위에 작은 경색이 발생하는데, 주로 1.5cm 이하의 작은 경색이 특징이다.
이처럼 뇌경색은 발생 기전과 원인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