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시인의 시대적 배경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09.23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정지용 시인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지용의 생애
2.1. 고독한 유년 시절
2.2.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
2.3. 객지 생활의 고독
2.4. 자녀의 잇따른 죽음

3. 시대적 배경: 모더니즘

4. 정지용의 시의 변모 과정
4.1. 초기 시 세계
4.1.1. 전통주의 시: 고향의 상실과 그리움
4.1.2. 이미지즘 시
4.1.2.1. 근대의 이미지: 근대적 공간에서의 비애
4.1.2.2. 바다의 이미지 - 양면성의 공간
4.2. 중기 시 세계: 카톨리시즘 바탕의 시
4.3. 후기 시 세계: 동양 전통 자연관 바탕의 산수시

5. 문학사적 의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지용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김기림에 의해 '최초의 모더니스트'로 평가되며 우리에게 모더니즘 시인의 대표로 인식되어왔다. 이 때문에 그는 전통과 단절한 채 서구의 문학을 이식한 시인이라는 평가가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정지용의 시 세계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지 않고, 1930년대의 작품에만 한정시키는 데서 온 오류이다. 그의 시 세계는 시기에 따라 변모해 간다. 모더니즘적인 작품뿐만이 아닌 동시, 민요 시, 종교 시, 동양적 자연 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활동을 통해 폭넓은 시 세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정지용의 시 세계를 20년대 후반에서 해방 전에 이르기까지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의 문학사적 위치를 점검해 보고, 그의 시를 3단계로 - 즉, 초기 시, 중기 시, 그리고 후기 시로 나누어 그의 문학 세계의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2. 정지용의 생애
2.1. 고독한 유년 시절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에서 한의사 부모 사이에 태어난 맏아들이었다. 그는 무척 가난한 환경 속에서 엄격한 아버지 아래에서 유년기를 보내야 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환경 속 형제들마저 없었던 그의 어린 시절은 무척 외로웠을 것으로 짐작된다. 정지용은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해 "갑자기 나는 소년쩍 고독하고 슬프고 원통한 기억이 진저리가 나도록 싫어진다. 다시 예전 소년시절로 돌아가는 수가 있다면 나는 지금 이대로 늙어가는 것이 차라리 좋지 예전 나의 소년은 싫다."라고 말할 정도로 괴로운 기억을 지니고 있었다. 이처럼 가난한 환경 속 엄격한 아버지와 함께 보냈던 그의 어린 시절은 그의 성격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2.2.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

정지용의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유년 시절은 그에게 아름다운 꿈과 동경의 세계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구제하고 있는 듯하다. 정지용은 태어난 고향인 옥천이 전설이 넘치는 그러한 공간이었다. 그의 동시에서는 이러한 전설이나 민요가 바탕이 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정지용의 시 <바다1>에는 "푸른 도마뱀떼 같이 재재 발렀다"라는 구절이 등장하는데, 이는 전설이나 민간 설화 속에서 흔히 보이는 신비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민간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정지용의 유년 시절은 그의 창작 세계에서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3. 객지 생활의 고독

정지용은 17세인 1918년 휘문고보에 진학하게 되는데, 그 사이에 4년이라는 공백 기간이 생긴다. 그는 이 기간에 그의 처가 쪽 친척댁에 보내져 한학을 공부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기간은 그에게 상당히 고통스러웠던 시절인 것 같다. 어린 나이 때 고향을 벗어나 남의 집에서 공부하는 일이 마냥 편안했을 리 없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의 산문에서 여러 번 '나의 몸서리가 떨리도록 고독하고 가난하던 소년'이라고 나타나는 부분은 그의 가난했던 가정환경과 그로 인해서 객지 생활을 견뎌야 했던 괴로운 시절에 해당하는 말이다"이다.


2.4. 자녀의 잇따른 죽음

정지용은 4대 독자였기에 대를 잇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바람으로 인해 12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송재숙과 결혼하게 된다. 그와 그의 부인 사이에는 10명이 넘는 자녀가 태어났지만, 모두 태어나면서 또는 어린 나이에 죽고 4남매만 장성하게 된다. 그의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죽음을 암시하는 이미지가 자주 나타나는데, 이는 자신의 자녀의 죽음에 따른 아버지로서의 애끓는 심정의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로는 「릉라종」, 「일막」, 「산도사」, 「새벽 로고스」 등이 있다. 그의 시 발표 편수가 1928년부터 6년이 지난 1934년 무렵까지 현저히 줄어든 사실로 비추어볼 때 그는 사랑하는 자녀들...


참고 자료

강화신, 정지용 시의 변모과정 연구,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권명희, 정지용 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김영미, 정지용 시에 나타난 죽음 초월 양상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김윤식, 한국 현대시론 비판, 일지사, 1975
김재근, 이미지즘 연구, 정음사, 1973
유종호, 현대시의 오십년, 사상계, 1962
이양하, 바라든 지용시집, 조선일보, 1935
이철희, 정지용시 연구 ; 바다와 산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대인대학교, 1984
임화, 담천하의 시단1년, 신동아, 1935
정지용, 정지용 전집, 민음사, 2016
황준호, T.S. 엘리엇의 황무지 또다시 읽기, 현대영미시연구 제14권 제2호, 2008
위키백과 ‘박태원’
이광호(2013)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시선 주체와 문학사적 의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박태상(2017) 『박태원의 삶과 문학』 한국문화사
정현숙(1993) 『박태원문학연구』 국학자료원
위키백과 ‘정지용’
박태상저 (2010)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유종호 『정지용의 당대수용과 비판』,『문학포럼-정지용 시인 탄생 100주년 기념』 옥천군 옥천문화원지용회, 2002, 5
정지용, “대단치 않은 이야기”, 「散文」, 同志社, 1949, 150쪽.
김동근,「1930년대 시의 담론체계 연구」, 전남대학교, 1996. 142쪽.
한계전,「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326쪽.
최유찬,「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실천문학사, 1997, 306쪽.
김기림,「‘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1939. 101쪽.
문진아, 「정지용 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1993, 270쪽.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지형도』, 푸른사상, 2005, 175쪽.
유종호, 「시는 언어로 빚는다」,(유종호 전집5『문학의 즐거움』), 민음사, 1995, 128~129쪽.
김종태,「정지용 시의 문명 인식」, 『한국시학연구 제7호』, 2002. 119쪽.
금동철, 정지용의 시「백록담」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2009. 57쪽
鄭芝溶(정지용)의 詩(시)세계, <동아일보>,1988년 1월 19일, 제 6면.
이석우,「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 평전」,푸른사상, 128쪽.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