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연구 과정에서의 윤리적 문제 사례 및 해결방안모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윤리적 문제 상황 분석
2.1.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어려움
2.1.1. 환자 옹호의 어려움
2.1.2. 윤리적 의견 불일치
2.1.3. 윤리적 미성숙함
2.1.4. 윤리적 스트레스
2.2. 노인 간호 현장의 윤리적 문제
2.2.1. 신체구속(억제대 등)
2.2.2. 환자의 의사결정 능력 부재 시 치료방향 결정
2.2.3. 치료 거부
2.2.4. 무리한 치료 요구
2.2.5. 노인 학대
3.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3.1. 윤리 교육 및 윤리 지침서 마련
3.2. 윤리자문서비스 도입
3.3. 노인 인권 보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3.4. 돌봄 제공자와 사회의 인식 개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응급실의 긴박한 상황에서는 간호사가 해답이 명확하지 않은 윤리적 이슈들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할 시간도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응급실 간호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전문적 역량을 발휘하여 윤리적 상황을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어려움을 잘 해결하도록 지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제 임상에서 응급실 간호사가 겪는 윤리적 어려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해결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응급실 간호사가 비판적 사고를 통해 합리적인 윤리적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어려움이 무엇인지부터 분석할 필요가 있다.
2. 윤리적 문제 상황 분석
2.1.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어려움
2.1.1. 환자 옹호의 어려움
임상 현장에서 응급실 간호사들은 누구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윤리적 어려움을 경험한다"". 환자가 종교적 이유로 치료를 거부할 경우에도 최선을 다해 환자에게 조언을 하는 것이 환자를 위하는 것인지, 아니면 환자의 종교적 신념을 존중하여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 더 옳은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임상적 경험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하지 못하고 의사의 치료적 결정만 따라가야 하는 상황에서도 환자와 보호자를 옹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응급실은 중증 상태의 환자에게 집중적으로 의료 인력과 자원이 투입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증 정도가 낮은 환자를 간호하는데 소홀해짐을 경험하면서 중증정도가 낮은 환자의 치료받을 권리를 제대로 옹호하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2.1.2. 윤리적 의견 불일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환자에게 최소한의 심폐소생술은 시행해야 한다는 의사의 입장과 불필요한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는 것이 환자의 존엄성을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간호사, 또는 역으로 환자 치료의 한계를 인정하는 의사와 병원에 온 환자를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는 간호사 간에 의견 불일치를 경험하였다"". 이처럼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행위에 대한 의사와의 윤리적 의견 불일치를 경험하였다고 볼 수 있다""
2.1.3. 윤리적 미성숙함
임상 현장에서 누구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윤리적 어려움을 경험한 응급실 간호사들은 만성 질환자나 노인 환자를 대할 때 급성 질환이나 나이 어린 환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덤덤해짐을 경험하였다. 또한 일부 참여자는 응급실의 바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외과적 감염관리(예: 손 씻기, 무균술)를 원칙적으로 철저하게 지키지 못하는 상황을 윤리적으로 민감하게 인식하기보다는 신속한 업무처리를 위하여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미성숙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만성 질환자나 노인 환자에 대한 간호 행위에서 공감과 배려가 부족하고 업무 수행의 편의성을 우선시하는 태도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2.1.4. 윤리적 스트레스
응급실 간호사들은 임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상황에서 좌절감, 무능함, 절망감, 허탈감, 자괴감과 같은 윤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의사나 동료 간호사의 의료적 실수를 보고도 묵인할 때, 간호사의 권한으로 할 수 없는 처치들(예, 제세동기 사용 여부)로 환자를 도울 수 없을 때 의료진으로서의 좌절감을 느꼈다""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거나 보호자가 없어서 충분한 치료적 혜택을 받지 못한 환자, 가족이 방치한 노인 환자를 간호할 때, 의료시설부족으로 치료를 포기하게 될 때 간호사로서 적극적으로 돕지 못했다는 무능함을 호소하였다"".
2.2. 노인 간호 현장의 윤리적 문제
2.2.1. 신체구속(억제대 등)
노인 간호 현...
참고 자료
국가인권위원회 (2014). 노인 인권 길라잡이.
국민건강보험 (2018). 2017 노인장기 요양보험 통계 연보.
권금주 (2016). 노인인권 관점에서 노인학대 정책 방향 모색. 복지동향, 3.
e-나라지표 (2018). 기대수명(0세 기대여명) 및 유병기간 제외 기대수명(건강수명).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8
김민선, 김초희, 홍진의, 안아름, 최은경, 김범석, ..., 박혜윤 (2017). 한국의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겪는 윤리적 문제 현황 및 임상윤리자문서비스의 필요성 조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0(4), 376-385.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 https://www.koreanurse.or.kr/
대한내과학회 (2015). 내과전공의 의료윤리 사례집. 서울:진기획.
신문고뉴스. 2019.2.26. ‘신체 억제대’라는 이름의 ‘노인 요양’ 슬픈 얼굴. http://m.shinmoongo.net/124874
조선일보. 2017.7.8. 노인 64만명이 "학대 경험"… 0.6%만 신고 통해 도움받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07/2017070701710.html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6). 노인복지시설 인권침해 예방조치 방안 연구.
통계청 (2018). 2018 고령자 통계.
염현이 (2016).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찰.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561-571.
권현 “적십자, 혈액관리법 위반 간호사 ‘감싸기’ 논란” 헬스조선 2017.08.24.
국가법령정보센터 “혈액관리법” https://www.law.go.kr
대한적십자사 “서울남부혈액원” https://www.redcross.or.kr
병원간호사회 “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s://khn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