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들러 상황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1.1. 상황 요인
1.1.1.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
1.1.2. 과업 구조
1.1.3. 리더의 직위 권한
1.2. 리더십 유형 분류
1.2.1. 과업지향적 리더십
1.2.2. 관계지향적 리더십
1.3. 리더십 유형과 상황의 적합관계
1.3.1. 최적의 상황
1.3.2. 비호의적 상황
1.3.3. 중간 상황
1.4. 리더십 향상 방안
1.4.1. 리더 교체
1.4.2. 상황 개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1.1. 상황 요인
1.1.1.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리더를 지원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리더와 구성원 간의 호의성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소시오메트릭 구조와 집단분위기의 척도를 통해 측정된다.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가 좋을수록 리더십 상황이 리더에게 더 호의적이 된다. 반대로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리더십 상황이 리더에게 비호의적이 된다. 피들러는 이러한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가 리더십 유효성에 중요한 상황적 요인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1.1.2. 과업 구조
과업 구조는 구성원들이 맡은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는 정도를 말하며, 이는 목표의 명확성, 목표에 이르는 수단의 다양성 정도, 의사결정의 검증가능성, 의사결정의 특정성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구조화된 과업은 목표와 수행절차가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단순하고 반복적이지만, 비구조화된 과업은 목표가 불분명하고 수행절차가 복잡하며 다양한 방법이 요구된다.
과업 구조화의 정도에 따라 리더십 유형의 효과성이 달라지는데,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과업중심의 리더십이 효과적이지만, 과업이 비구조화된 경우에는 인간관계중심의 리더십이 보다 효과적이다. 과업이 구조화되어 있다면 리더는 명확한 지시와 통제를 통해 조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만, 과업이 비구조화되어 있다면 구성원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간관계중심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따라서 과업 구조는 리더십 유형 선택의 중요한 상황요인이 되며,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를 위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3. 리더의 직위 권한
리더의 직위 권한은 리더의 공식적인 직위에 따른 권한의 크기를 의미한다. 리더가 자신의 조직 내에서 갖고 있는 직위에 의한 권한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구성원에 대한 보상과 처벌을 행사할 수 있는 재량권의 크기에 따라 평가된다. 리더의 직위 권한이 강할수록 리더십 행사가 용이하며, 리더에게 호의적인 상황이 된다.
피들러는 리더의 직위 권한을 리더십이 이루어지는 상황의 호의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보았다. 리더의...
참고 자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