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한내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건강한 내 몸 만들기
1.1. 서론
1.2. 체형 지수계산법 적용
1.2.1. 주관적 체형평가
1.2.2. BMI
1.2.3. ABSI
1.3. 자세 체형 평가
1.4. 운동을 시작할 땐 목표점부터 확실하게 정하자!
1.5. 꾸준하게 할 수 있다면 식단 병행
1.6.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건강한 내 몸 만들기
1.1. 서론
나는 내 나이에 체격이 꽤 좋은 사람이다. 그는 키가 182 센티미터이고 몸무게가 79.2 킬로그램이었다. 체지방지수가 10.2kg임을 감안하면 체중의 대부분은 지방보다 근육이 강한 남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BMI 계산식(체중/(키*높이)에 의한 값이 23.5이기 때문에 정상 범주인 25 안에 들어 있어 매우 정상적이고 이상적인 체형임을 알 수 있다. 건강훈련을 즐기지는 않지만 아침마다 출근하기 전 간단한 조깅과 턱걸이, 팔굽혀펴기로 하루를 시작하는 습관이 6년간 이어진 결실이다. 하지만 키와 몸무게만으로 건강 요인을 계산하기는 어렵다. 자세가 올바르지 않으면 척추측만증 또는 척추측만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담을 요청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체형 평가를 실시한 결과 요가, 필라테스 등 교정을 위한 운동요법으로 재활이 크게 늘었다. 이제, 그 운동 자체는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1.2. 체형 지수계산법 적용
1.2.1. 주관적 체형평가
주관적 체형평가란, 1점부터 5점까지의 리커트 척도를 통해 나의 체형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을 평가 및 수록한 검사지의 평가 결과를 의미한다. 평가의 척도 및 독립변수를 무엇으로 생각할지에 따라 그 답안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개 1) 신체의 비만도 생각 2) 근육에 대한 생각 3) 운동 및 자기관리 성실도 4)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들을 포함한다. 위의 평가 점수들은 범주형 결과 값에서 부정적인 결과(1점)가 높을수록 자신의 체형에 대한 신뢰감 및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한다. 대상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비만한 사람들일수록 운동 및 자기관리의 성실도가 낮은 편으로 나오며, 자신의 건강에...
참고 자료
이기봉 저, “체육측정평가 (체육교사와 스포츠 지도자를 위한)”,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7.
전동혁, <제 6의 맛 '지방 맛' 있다, 못 느끼면 비만 위험>. mbc뉴스, 2015-08-18.https://imnews.imbc.com/replay/2015/nwdesk/article/3752705_3027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