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미생물 실습균주 S.aureus, S.epidermidis, M. luteus"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균 분리 및 동정
1.1. 실험 목적 및 균주 소개
1.2. 포도알균과 미세알균의 생화학적 특성
1.2.1. Coagulase test
1.2.2. Mannitol salt agar test
1.2.3. DNase test
1.2.4. O-F test
1.3. 세균의 혈청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검사
1.3.1. 색소 생산 시험
1.3.2. Anaerobic bacteria 배양 특성
1.3.3. Optochin & Bacitracin 감수성 검사
1.4. Corynebacterium 특성 분석
1.4.1. Blood agar와 Chocolate potassium tellurite agar 비교
1.4.2. Gram 염색 및 이염과립 염색
1.5. 식수의 세균학적 검사
1.5.1. 대장균군 지수검사
1.5.2. 확인 실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균 분리 및 동정
1.1. 실험 목적 및 균주 소개
이 실험의 목적은 모두 catalase 양성인 알균 중에서 생화학적 성상에 따라 Staphylococcus와 Micrococcus로 구분되는 각 균주들을 동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agulase test, mannitol salt agar test, DNase test, O-F test 등의 다양한 생화학적 검사를 수행한다.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다음과 같다.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는 인간이나 동물의 피부, 소화관에 상재하는 균으로 농양, 식중독, 폐렴, 수막염,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균이다. Staphylococcus epidermidis(표피포도상구균)는 coagulase 음성 포도알균의 대표적인 균주로, 주로 쌍이나 사련으로 배열되며 집락은 S.aureus보다 작고 회백색이다. Micrococcus luteus는 노란색 또는 크림색의 집락을 형성하는 그람양성 알균으로, coagulase 음성이므로 Staphylococcus와 구분된다.
이번 실험을 통해 이들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정확한 균 동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2. 포도알균과 미세알균의 생화학적 특성
1.2.1. Coagulase test
Coagulase test는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을 다른 포도알균 종(Staphylococcus species)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실험 중 하나이다. 이 실험은 S. aureus가 생산하는 응고효소(coagulase)의 작용 원리를 이용한다.
S. aureus에는 두 가지 형태의 coagulase가 존재한다. 하나는 세포 결합형(bound coagulase 또는 clumping factor)이고, 다른 하나는 유리형(free coagulase)이다. Coagulase test에는 슬라이드법과 시험관법이 있는데, 슬라이드법은 주로 세포 결합형 coagulase를, 시험관법은 유리형 coagulase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슬라이드법 coagulase 시험은 S. aureus의 clumping factor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빠르고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MRSA(methicillin-resistant S. aureus)의 경우 25%까지 위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MRSA의 세포벽 구조 변형으로 인해 clumping factor의 양과 결합력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시험관법 coagulase 시험은 유리형과 결합형 coagulase를 모두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슬라이드법보다 정확하지만 2-5%의 위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DNase test와 Mannitol salt agar test를 병행하여 S. aureus를 동정한다.
MRSA의 경우 슬라이드법과 시험관법 모두에서 coagulase 음성 반응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방법 선택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cefoxitin disk diffusion test나 MRSA 선별을 위한 latex 응집 시험 등의 추가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요약하면, coagulase test는 S. aureus를 다른 포도알균 종으로부터 감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실험이지만, 일부 MRSA 균주에서 위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어 다른 확인 실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Mannitol salt agar test
Mannitol salt agar는 S.aureus를 잠정 동정하는 선택 겸 감별 배지이다. 이 배지는 mannitol 10%, NaCl 7.5%, phenol red 0.025%로 조성되어 있다. 고농도의 식염은 피부나 점막에 서식하는 다른 세균들의 증식을 억제한다. 황색포도알균은 7.5% NaCl에 내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농도의 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다. S.aureus가 mannitol을 발효하여 산을 생성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지시약 phenol red가 배지에 첨가되었다. 그래서 mannitol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면 yellow colony 생성 및 주변 배지 색상이 노란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 MSA 배지는...
참고 자료
Laboratory Testing | MRSA | CDC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감염증..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미생물학백과)
제6정개정판 최신진단미생물학 p168
네이버 이우주의학사전 황색포도상구균
http://www.pcjoin.com/notebook/4013
https://en.wikipedia.org/wiki/Micrococcus_luteus
[출처] 황색포도상구균 Coagulase 실험|작성자 진성유니텍
https://www.slideshare.net/MicrobeswithMorgan/bacteriology-44766669
[출처] coagulase test|작성자 Vjin -
https://microbenotes.com/coagulase-test-principle-procedure-and-result-interpretation/
http://www.bacteriainphotos.com/Mannitol_Salt_Agar.html
제 6개정판 진단 최신미생물학 p 166
임상미생물학 실습 – 고려의학
https://microbenotes.com/dnase-test-agar-principle-procedure-and-result-interpretation/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98285&cid=60408&categoryId=55558
대한미생물학회, 『의학미생물학실습』, 서흥출판사, 제 5판, 2005.
Patrick R. Murray 외 2명, Medical Microbiology, 6/ed, 2009, ELSEV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