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삼성전자 판매 신용등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분식회계와 기업가치평가
1.1. 분식회계의 개념 및 유형
1.2. 분식회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1.3. 분식회계 사례 분석
1.4. 분식회계 방지를 위한 제도적 대책
2. 기업의 안전성과 활동성 분석
2.1. 부채비율과 매출채권회전율의 개념 및 중요성
2.2.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부채비율 및 매출채권회전율 분석
2.3. 분석 결과 해석 및 시사점
3. CRM을 통한 고객관리 혁신
3.1. CRM의 개념 및 중요성
3.2. 교보생명의 CRM 추진 과정
3.3. CRM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접근
3.4. CRM 시스템 구축 및 활용 사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분식회계와 기업가치평가
1.1. 분식회계의 개념 및 유형
분식회계란 기업의 재무 상태나 경영성과가 실제보다 더 좋아 보이도록 조작하는 회계를 의미한다. 즉, 좋게 보이도록 분칠한다, 화장을 한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분식회계는 의도적으로 자산이나 이익은 크게 부풀리고 부채를 적게 계산하는 등 재무 상태의 변동을 조작한다. 이는 회계의 목적인 '합리적 의사결정'에 반하는 행동으로, 주주나 채권자 등의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판단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분식회계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공매출액 계상으로,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매출을 장부에 기록하는 것이다. 둘째, 자산 과대계상으로, 실제보다 더 많은 자산을 장부에 인식하는 것이다. 셋째, 부채 과소계상으로, 부채를 고의적으로 누락시키는 것이다. 넷째, 비용 과소계상으로, 실제 발생한 비용을 적게 기록하거나 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다섯째, 내부거래 누락으로, 자회사나 관계사와의 거래 내역을 고의적으로 누락시키는 것이다. 여섯째, 회계변경으로, 긍정적 결과를 위해 고의적으로 회계 처리 방식을 변경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익유연화로, 회계 원칙을 준수하면서도 경영자의 재량에 따라 이익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분식회계는 고의성을 가지고 회계 정보를 왜곡시키는 행위로,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1.2. 분식회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식회계는 기업의 재무 상태나 경영성과를 실제보다 더 좋게 보이도록 고의적으로 회계처리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식회계로 인해 기업의 가치는 왜곡될 수밖에 없다"".
첫째, 분식회계는 기업가치 증대와 주가상승을 초래한다"". 재무 상태나 성과를 부풀린 분식회계로 인해 기업의 가치가 실제보다 높게 평가되면,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 특히 주가와 같은 경우 주식을 사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주가가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분식회계는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분식회계로 인해 기업의 신용평가등급이 높아지면, 대출 등의 차입비용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유동비율, 부채비율 등 재무비율 수치를 조작하여 긍정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분식회계를 통해 기업은 조세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법인세를 신고하는 자진신고납세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이익을 줄이는 분식회계를 통해 조세부담을 낮출 수 있게 된다"".
결국 분식회계는 기업가치의 증대, 비용절감, 조세부담 완화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거짓으로 기업의 실체를 왜곡하는 행위이므로, 궁극적으로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1.3. 분식회계 사례 분석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익명의 방모직물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은 2014년 매출액 과대계상으로 인한 분식회계 논란을 겪었다. 기업이 2014년 매출액을 53.4억 원이라고 보고했으나, 감리 후 실제 매출액은 47.8억 원으로 5.6억 원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기업의 분식회계 행위는 크게 두 가지로 드러났다. 첫째, 4분기에 5.6억 원의 가공매출을 인식했다. 둘째, 매출원가를 2.4억 원 과소 계상했다. 즉,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매출을 고의적으로 인식하고 비용도 낮게 계상하여 매출액과 이익을 부풀린 것이다.
또한 이 기...
참고 자료
일회성 비용은 털어내고, 실적 가시성은 더해가고, LG전자, 미리에셋증권, 2022.04.08.
삼성전자 13조4000억원… 전년보다 3조5000억원 증가, 한국경제, 2022.03.21.
[재무건전성 우려]삼성전자·LG전자 뺀 주요 기업 ‘부채비율’ 모두 악화…“코로나가 두렵다”, 문수호, 매일일보, 2020.06.23.
"사업 재검토" 작년 LG전자 스마트폰 '빚' 자산 2배 넘겼다, 임재덕, 아시아타임, 2021.03.05.
LG전자, 스마트폰 완전히 지웠다… 임원 전원 퇴사·조직도 정리, 김양혁, 조선비즈, 2022.05.18.
매출 신기록 갈아치운 LG전자, 수익성은 ‘물음표’, 이일호, 블로터, 2022,01.27
원현희,『분식회계에 관한 고찰』, 2019.
조정현,『주가와 분식회계 위험에 관한 연구』, 2017.
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842879.html
김경락,『금감원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혐의 인정”』, 한겨레, 201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