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 삶에서 감정 코칭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1.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1.2. 심리학의 학문적 특성
2. 심리학의 필요성
2.1. 인간 행동과 마음에 대한 과학적 이해
2.2. 개인의 자기 이해와 삶의 질 향상
2.3. 사회적 문제 해결과 정신 건강
3. 심리학의 다양한 적용 분야
3.1. 직업심리학
3.2. 범죄심리학
3.3. 건강심리학
4. 심리학의 주요 분야
4.1. 기초심리학
4.2. 응용심리학
4.3. 한국심리학회 산하 분과학회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1.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는 다음과 같다.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마음(정신과정)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독일의 종교개혁가 필립 멜란히톤이 처음으로 "psychology"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심리학이 시작되었다. "psyche"는 마음, 영혼 또는 정신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이고 "logos"는 담론, 연구를 의미하는 말이 합쳐져 "마음의 연구"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1879년 독일의 분트가 라이프찌 대학에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하면서 심리학이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분트는 의식 연구를 통해 심리학의 영역을 시도했으며, 이로써 19세기 현대 심리학의 독립과 출발점이 되었다. 분트를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초기 심리학자들은 정확성을 위해 행동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이후 정신과정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었다. 최근에는 기억 구조와 같은 인지적 측면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대를 거치며 심리학에 대한 정의는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눈에 보이지 않는 인간의 마음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려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처럼 과학은 현대 심리학에 정체성을 부여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심리학은 생물체의 의식 현상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 심리학의 학문적 특성
심리학의 학문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마음(정신과정)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 및 그 행동에 관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며, 개인의 심리적 과정 이외에도 신체기능을 제어하는 생리적 과정, 개인 간 관계와 사회적 과정까지 연구 대상이 된다. 즉, 심리학은 개인의 마음, 행동, 정신과정 전반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학은 19세기 말 철학에서 분리되어 발전한 학문으로, 다른 학문에 비해 역사가 비교적 짧다. 심리학은 실험실에서 객관적인 조건을 형성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관찰되는 인간의 행동을 측정함으로써 그 배후에 있는 마음의 과정과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즉, 심리학은 개인의 시각, 성격 구조, 기억 등과 같은 인지적 특성에서 행동의 원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리학은 인간이 관여되는 모든 분야에 직·간접적으로 학문적 뒷받침을 제공한다. 특히 정보화 사회가 발달하면서 인간의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들이 중요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에는 감각, 지각, 사고, 성격, 지능, 적성 등의 인간 특징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 행동의 기저 원리를 밝히는 심리학은 미래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 심리학의 필요성
2.1. 인간 행동과 마음에 대한 과학적 이해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마음에 관련된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고, 예측하고, 조절해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첫째,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마음에 관련된 현상을 과학적으로 기술, 설명, 예측, 조절하여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그러한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며, 특정 상황에서 일어날 행동을 예측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심리학은 인간의 내적 과정인 마음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제공한다""
인간의 지각, 기억, 사고, 정서, 동기 등 다양한 마음의 작용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결과는 인간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마음과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하고 통찰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심리학은 인간 행동과 마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
참고 자료
박세영, 심리학개론,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7
현성용. 현대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5.
재미있는 심리학 사전, 왜 심리학을 공부하는가?, 한국직업능력교육협회
Valeria Sabater, https://wonderfulmind.co.kr/10-reasons-to-study-psychology/, 원더풀마인드, 2022
김직호, 심리학개론 교안, 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2022
한국심리학회, https://www.koreanpsychology.or.kr/user/sub01_6.asp
김남일, 심리학개론, 동화기술, 2015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Korea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Association, 韓國社會-性格心理學會]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문화 및 사회문제심리학회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and Culture Social Issues, 韓國文化-社會問題心理學會]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인지 및 생물심리학회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韓國認知-生物心理學會]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권대훈, 심리학의이해, 국회전자도서관
김문성, 심리학개론, 스마트북, 2014
요즘 MZ세대들에게 첫인사는? … ‘MBTI가 어떻게 되세요?’, 김가현, 소비자 평가, 2022.08.29.
이은경, 2008, 한국십진분류법 심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p.5~9
오민정, 2003, 조직의 물리적인 환경, 개인의 심리적 상태, 그리고 조직 및 직무태도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p.15~16
주성욱, 2007,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편견과 집단의 문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p.71~72
강현식(2019). 《한번 읽으면 절대로 잊지 않는 심리학 공부》. 메이트북스.
강현식(2021). 《저는 심리학이 처음인데요》. 한빛비즈.
이재형. 암 유병자 200만 시대…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공감’《서울와이어》. 2012.03.07.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63836 (검색:2022.3.12)
허용회. 심리학은 사회적으로 쓸모없는 학문인가?.《ㅍㅍㅅㅅ》. 2017.12.29. https://ppss.kr/archives/147035 (검색:202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