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쿨롱의 법칙 중앙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의 목적
1.2. 실험 장비 및 관련 이론
2. 실험 방법
2.1. 실험 절차
3. 실험 결과
3.1. 실험 1: 지름 150mm 원판 전극, 전극 간격 10mm
3.2. 실험 2: 지름 150mm 원판 전극, 전극 간격 15mm
3.3. 실험 3: 지름 150mm 원판 전극, 전극 간격 20mm
3.4. 실험 4: 지름 125mm 원판 전극, 전극 간격 10mm
4. 결과 분석
4.1. 대전체의 전하량에 따른 전기력 변화
4.2. 대전체 간 거리에 따른 전기력 변화
5. 오차 분석 및 검토
5.1. 실험 설정의 한계
5.2. 실험 환경의 영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의 목적
실험의 목적은 축전판 사이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력과 두 축전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축전판의 질량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이용하여 쿨롱의 법칙을 이해하는 것이다.""
1.2. 실험 장비 및 관련 이론
전기 실험에 사용되는 장비들은 다음과 같다. 전원 공급기(Power Supply)는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쿨롱의 법칙 실험을 위해 0~6000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쿨롱의 법칙 실험을 위한 아크릴 상자에는 전극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저울은 두 전극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질량의 변화로 측정한다. 원판형 축전기는 직경이 150mm와 125mm인 두 가지를 사용하며, 금속 막대는 축전기를 방전시키는 데 사용한다.
관련 이론으로는 다음과 같다. 전하는 전기적 성질을 띠는 입자로, 양전하와 음전하로 구분된다. 전하가 이동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쿨롱의 법칙은 두 점전하 사이의 전기력이 전하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대전 현상은 외부의 영향으로 물질의 전하가 불균형해지면서 발생한다. 전기용량은 두 도체 사이에 저장된 전하량과 전압의 비로 정의된다.""
2. 실험 방법
2.1. 실험 절차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안전을 위해 장갑을 착용한다. 전원의 스위치는 OFF로 두고 Power supply와 원판형 축전기를 고압선을 이용해 연결한다. 단자는 0~6000V에 맞추어 연결한다. 전자저울의 평형을 조절하고 두 축전판이 서로 평형이 되도록 한다. 이때, 고압선과 저울의 전원선이 저울에 닿지 않도록 잘 정리한다. 두 극판 사이의 간격은 Micrometer를 조절하여 저울을 통해 극판이 맞닿는지를 확인한 뒤 10mm의 간격이 되도록 한다. 영점을 맞추어 무게를 0으로 한다. 전압 조절 다이얼이 최소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전원 스위치를 ON한다. 전압을 500~5000V까지 500V 간격으로 증가시키며 그 때마다 전자저울에 나타나는 질량값을 기록한다. 5000V까지 측정하고 전압조절 다이얼을 최소로 한 후 전원을 OFF하고 금속막대를 접촉하여 축전기를 완전히 방전시킨다. Micrometer를 사용하여 두 극판사이의 간격을 15mm, 20mm로 변경하여 실험을 반복한다.
3. 실험 결과
3.1. 실험 1: 지름 150mm 원판 전극, 전극 간격 10mm
지름 150mm 원판 전극, 전극 간격 10mm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압(V)이 3000V에서 10000V까지 500V씩 증가함에 따라 두 대전된 원판 전극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이 점...
참고 자료
이공학도를 위한 물리학 실험,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동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일반물리학 실험, 최용수 오기영 공저, ㈜북스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