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사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09.23
4,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만주사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주사변의 배경과 전개
1.1. 일본의 중국 침략 정책
1.2. 동방회의와 만주 침략 계획
1.3. 만보산 사건과 중촌 사건
1.4. 유조구 사건과 만주사변의 발발
1.5. 만주국의 수립

2. 만주사변에 대한 각국의 대응
2.1. 일본 정부의 입장
2.2. 중국 국민정부의 정책
2.3. 국제연맹의 조사단 활동
2.4. 중국 공산당의 대응

3. 만주사변의 결과와 영향
3.1. 일본의 대륙 침략 본격화와 파시즘 체제 전환
3.2. 중국 국민정부의 발전 기회 상실
3.3. 제2차 국공합작 체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주사변의 배경과 전개
1.1. 일본의 중국 침략 정책

일본의 중국 침략 정책은 1880년대부터 대두되기 시작했다. 일본은 청일전쟁 직전부터 한반도와 중국을 자국의 "생명선"이라 주장하며 이를 무력으로 보위하고자 했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은 하관(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여 대만과 요동을 획득하게 되었으나, 요동은 3국 간섭으로 청에게 되돌려주었다.

한편 만주지역에서 러시아의 진출이 두드러지자 일본의 불만이 커졌다. 이에 일본은 영국과 동맹을 체결하여 러일전쟁을 일으켰고, 그 결과 러시아가 중국에서 획득한 요동반도 조차권을 획득하고 남만주 철도를 차지하였으며 한국에 대한 직접 통치권을 획득하게 되었다.

일본은 만주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기 위해 1906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정부기관의 기능을 수행하며 만주를 경영하는 침략기관으로 활용했다. 또한 관동대도독부를 설치하여 일본 천황이 직접 군부 요직을 장악하도록 했다. 관동군은 일본의 중국 침략에 있어 선봉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2. 동방회의와 만주 침략 계획

일본 정부는 1927년 6월 27일 외무성 차관인 삼격을 비롯한 중국주재 외교관, 관동장관 및 관동군 사령관 등과 육·해군 차관급이 참석한 '동방회의'를 소집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주중국 외교관들의 철저한 정세 분석과 대책을 협의하는 형식을 취하였는데, 시작부터 끝까지 철저한 준비 아래 이루어졌다. 여론을 의식하여 절대 비밀로 하기 위해, 외무성 참여차관 한 사람을 지정하여 구두로만 회의내용을 발표하도록 하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이 회의에서 이른바 중국에 대한 정책 강령을 확정하였는데, 중국에서 일본의 권익과 일본인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본은 자위조치를 취할 것이며, 만몽지역의 정치적 안정을 위하여 동삼성 실력파에게 적당한 지지를 보낼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만일 만몽지역의 치안이 혼란해지면 적당한 조치를 취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회의에서 만몽에 대하여 적극적인 정책을 확정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하여 8월 15일에 일본정부는 외무성 정무차관 삼격의 주재 아래 주중국공사, 관동청장관 등이 대련에서 '대련회의'를 소집하였다. 이 대련회의에서는 만주에서 강경수단을 실행하도록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 회의 내용을 근거로 중국을 정복하려면 먼저 만몽을 정복하여야 하며, 만일 세계를 정복하려면 반드시 중국을 먼저 정복하여야 한다는 '전중진절(전중내각이 천황에게 올린 의견)'을 제출하였다.

이처럼 동방회의의 소집은 일본 제국주의가 중국을 침략하려는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어가는 것이었으며, 중국의 만몽에 대한 대규모의 침략 시기가 가까워왔음을 예고하고 있었다.


1.3. 만보산 사건과 중촌 사건

만보산 사건은 일본이 만주침략을 실천에 옮기기 위하여 구실을 만들고자 일으킨 사건이었다. 1931년 4월에 장농도전공사(長農稻田公司)의 지배인인 학영덕(薛永德)이 만보산지구의 땅 500경을 10년동안 빌리기로 하였다. 그런데 그는 현정부의 허락도 받지 않고 이 땅을 조선인들에게 빌려주어 농사를 짓게 하였다. 이에 중국 농민들이 현정부에 도움을 요청하자 현정부는 5월 31일에 경찰을 만보산으로 보내 조선인들의 작업을 중지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장춘주재 일본영사관에서도 경찰을 보내 조선인들의 작업을 지지하고 계속하게 하였다. 중국 지방정부는 분규를 피하기 위하여 일본 영사관과 교섭을 벌였지만 일본 영사는 이를 거절하였다. 오히려 더 많은 조선인을 끌어들여 수로를 파고 둑을 쌓는 일을 돕도록 하였다. 결국 7월 1일에 만보산 일대의 농민 500여명이 불법적으로 파 놓은 수로를 메우기 시작하면서 쌍방이 충돌하게 되었다. 일본은 이 충돌을 이용하여 북만주지역으로 출병하려는 기회를 만들고자 하였고, 국내에서도 배화운동(排華運動)이 일어나 많은 중국인이 살해되고 부상당하였다. 일본이 만보산 사건을 일으킨 것은 무력으로 만주를 점거하기 위한 구실을 만드는 것과 만주지역에서의 일본제국주의 세력을 증가시키려는 목적이었다.

중촌 사건은 1931년 6월 초, 일본 참모본부가 군사간첩 중촌진태랑(中村震太郞) 대위를 만주의 홍안령 지구로 파견하여 군사적인 정찰을 하도록 한 사건이다. 중촌진태랑은 제대한 기병 조장출신의 정삼연태랑(井杉延太郞)과 길 안내를 맡은 몽고인, 중국인으로 가장한 백러시아인 한명과 함께 홍안령 일대를 조사하던 중 6월 26일 흥안령구의 사공부(邊公府)에서 당지에 주둔하고 있던 중국군에게 체포되었다. 당시 중국군은 중촌 등을 석방하면 중국에게 불리한 지도와 조사내용을 가져갈 것 같고, 한편으로 중국에게 배상을 요구할 것이므로 그 결과는 좋지 않다고 여겨 비밀리에 처형하고 흔적을 없애기로 하였다. 일본측이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은 7월 중순경이었다. 일본은 이 사건을 최대한 확대하여 이용할 계획을 세웠다. 만주에서 발행하고 있는 기관지를 통해...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B%A5%98%ED%83%B8%EC%98%A4%ED%9B%84_%EC%82%AC%EA%B1%B4
https://namu.wiki/w/%EB%A5%98%ED%83%B8%EC%98%A4%ED%9B%84%20%EC%82%AC%EA%B1%B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9831&cid=62048&categoryId=62048
https://namu.wiki/w/%EB%A7%8C%EC%A3%BC%EC%82%AC%EB%B3%8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33049&cid=62059&categoryId=62059#TABLE_OF_CONTENT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6321&cid=51420&categoryId=51420
https://namu.wiki/w/%ED%99%94%EB%B6%81%EB%B6%84%EB%A6%AC%EA%B3%B5%EC%9E%91
https://namu.wiki/w/%EA%B8%B0%EB%8F%99%EC%82%AC%EB%B3%80
https://namu.wiki/w/%EC%A7%80%EB%91%A5%EB%B0%A9%EA%B3%B5%EC%9E%90%EC%B9%98%EC%A0%95%EB%B6%80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91%A5%EB%B0%A9%EA%B3%B5%EC%9E%90%EC%B9%98%EC%A0%95%EB%B6%8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2338&cid=40942&categoryId=33399
강창일 ․ 하종문, 2008『한권으로 보는 일본사 101장면』가람기획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이규원 옮김, 2005『천황과 도쿄대2』청아람미디어
아사오 나오히로 외 역음/이계황 외 옮김, 2000 『새로 쓴 일본사』창작과 비평사
야스다 히로시 지음/ 하종문.이애숙 옮김, 2009『세천황 이야기』역사비평사
요네타니 마사후미 지음/조은미 옮김, 2010『아시아-일본』그린비
유신순 저/신승하 역, 1994『만주사변기의 중일외교사』고려원
카와이야츠시/원지연 옮김, 1997『하룻밤에 읽는 일본사』중앙M&L
한도 가즈토시, 2010『쇼와사 1』루비박스
곽홍무, 2003「만철과 만주사변(9.18사변)」아시아문화 19
김채수, 2008「근세 일본에서의 국체사상의 성립과 유교의 역할」일본문화연구25
오카자키 히사히코, 2004「정부 주도의 내셔럴리즘처럼 위험한 존재는 없다」『일본포럼』63
전상숙, 2005「일본파시즘기 사상통제정책과 전향」한국정치학회보 39
홍현길, 2006,「일본 우익사상의 기저에 관한 연구 :우익사상의 형성에 대한 국체사상과 유교사상의 고찰」일본문화연구20
http://ko.wikipedia.org 《위키백과 학국어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