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의 경어법을 높임 대상과 높임 형식에따라 분류하시오. 그리고 한국어 경어법의 긍정적 특징과 부정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경어법
2.1. 높임 대상에 따른 분류
2.1.1. 주체 경어법
2.1.2. 객체 경어법
2.1.3. 상대 경어법
2.2. 높임 형식에 따른 분류
2.2.1. 문법적 경어법
2.2.2. 어휘적 경어법
3.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특성
3.1. 한국어 경어법의 긍정적 특성
3.2. 한국어 경어법의 부정적 특성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는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말의 형태가 크게 변화하는데, 이는 많은 언어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영어나 스페인어 등에서는 존대형이나 높임말을 사용하지만, 그 사용은 한국어만큼 다양하고 세밀하지 않다. 즉, 한국어는 대화 참여자 사이의 나이, 친밀도, 지위 등의 요소와 대화의 격식성에 따라 언어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복잡하고 정교한 경어법(또는 높임법)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높임 형식은 한국어만의 고유한 특징으로, 우리말의 표현력을 높여주고, 상대방에 대한 공손함과 예의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또한, 언어학적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편, 한국어의 경어법은 그 복잡성 때문에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잡성은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높이지만, 반대로 그만큼 한국 사회와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한국어의 표현력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론에서는 한국어 경어법의 유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경어법의 긍정적 특징과 부정적 특징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2. 한국어 경어법
2.1. 높임 대상에 따른 분류
2.1.1. 주체 경어법
주체 경어법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화자가 서술의 주체(대체로 주어)의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에 따라 주어를 어떻게 언어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지를 나타내는 문법 기능이다"" 이러한 경우에서 화자와 청자의 역할은 중요하며, 주체는 화자, 청자 또는 제3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높임의 기본 원칙은 자기 자신이 주어일 경우, 자신을 높이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주체 경어법을 사용하려면 주어는 반드시 이인칭이나 삼인칭이어야 한다"" 게다가, 문법적으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표현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로 서술어에 '-(으)시-'라는 선어말어미를 붙여 사용하게 된다""
단어 선택에 있어서는 상황에 따라 주격 조사 '이/가' 대신 '께서'를 사용하거나 주어 명사에 '-님'을 붙여 존중을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선배님, 잘 지내셨어요?', '어머니, 오늘 아버지께서 일찍 집에 오셨어요', '오빠, 할머니께서 다리가 많이 편찮으셔'와 같은 문장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주체가 화자보다 높임의 대상이 되어야 하지만 청자보다 낮은 경우, 화자는 청자를 고려하여 주체 높임을 실현하지 않는다"" 이를 '압존법'이라고 한다"" 예를...
참고 자료
김혜영. (2024). 사회언어학,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국립국어원. (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체계편, 커뮤니케이션북스.
박지순. (2016).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사티쉬. (2014). 인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경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한국어 경어 체계 연구의 제 문제, <한국인과 한국문화>, 이정민, 심설당, 1982
한국어 경어법의 주요 기능, 이정복, 우리말글, 2011
강현석 외 9명. 사회언어학: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도서출판 경진. 2016.
국립국어원. 표준 언어 예절_경어법. 2011
이경복. 국어 경어법 사용의 전략적 특성. 태학사. 2017
이해림. 한국어 교재의 경어법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이현정. 한국어 교재의 상대경어법 연구 :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