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민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권과 시민권의 차이
1.1. 인권의 특성
1.2. 시민권의 개념
2. 국민연금의 이해
2.1. 한국의 노후소득보장제도
2.2. 공적연금제도의 개혁
2.3. 국민연금제도의 도입
3. 시민권 이론과 발전
3.1. 시민권의 발전 단계
3.2. 한국 시민권 발전과 연금제도
4. 시민권과 인권의 관계
4.1. 인권과 시민권의 차이점
4.2. 인권의 내재적 특성
5. 일하고 쉴 권리
5.1. 세계인권선언문의 관련 조항
5.2. 한국의 현실과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권과 시민권의 차이
1.1. 인권의 특성
인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은 천부적이고 자연성을 가진다. 인권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부여받는 하늘로부터의 권리로서, 어떤 상황에서도 구속받거나 포기할 수 없는 본질적이고 절대적인 권리이다.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자격과 가치에 기반한 권리이기 때문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차별 없이 동등하게 누려야 하는 보편적인 권리인 것이다.
둘째, 인권은 신성불가침성을 지닌다. 인권은 그 어떤 권력이나 힘에 의해서도 침해될 수 없는 신성한 권리이다. 국가권력이나 타인의 권력 등 그 어떠한 권력에 의해서도 침해받거나 포기될 수 없는 절대적이고 불가양도적인 권리인 것이다. 따라서 국가는 개인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할 의무가 있다.
셋째, 인권은 양도불가능한 권리이다. 인권은 개인의 인격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어 누구도 자신의 인권을 양도할 수 없다. 타인에게 자신의 인권을 팔거나 포기할 수 없으며, 국가권력이나 어떤 단체에 의해서도 강제로 박탈당할 수 없다. 인권은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양도될 수 없는 것이다.
넷째, 인권은 보편성을 지닌다. 인권은 모든 인간에게 평등하게 적용되는 권리로서, 인종, 성별, 나이, 국적, 종교, 지위 등에 따른 차별 없이 동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인권은 문화나 전통에 구애받지 않는 보편적인 가치이며, 모든 인간이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인 것이다.
따라서 인권은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천부적이고 자연적인 권리로서, 그 어떤 상황에서도 침해될 수 없는 신성불가침성과 양도불가능성, 그리고 모든 인간에게 평등하게 적용되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시민권의 개념
시민권은 민주적 정치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가질 수 있는 지위와 자격, 권리와 의무를 법에 의해 보장받는 기본적인 권리이다. 시민권은 정치적인 공동체와 시민의 관계를 규정하며, 시민의 자질과 능력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즉, 시민으로서 지켜야 할 도덕적인 규범과 정치참여, 시민의 자질 등과 같은 능동적인 요소까지 포함된다.
이를 통해 시민권은 인권과는 구별되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인권이 인간이면 누구나 천부적으로 가지는 보편적이고 초월적인 권리라면, 시민권은 특정 정치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법적으로 보장되는 권리이다. 따라서 시민권은 정치공동체 내에서 행사되는 권리이기 때문에 포기가 가능하고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인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포기할 수 없는 절대적인 권리이다.
2. 국민연금의 이해
2.1. 한국의 노후소득보장제도
한국의 노후소득보장제도는 공공부조, 공적연금, 국민연금 제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공부조는 1961년 1...
참고 자료
강성호, 한덕희. (2015). 공적연금 확대과정에서 연금소득보장과 복지재정과의 상호관계. 지역산업연구, 38(1), pp. 21-45.
국민연금블로그. (2018.04.26.). [출처] 전쟁을 겪어도 연금은 지급된다! 독일의 연금. NPS
박승주. (2016).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효율적인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재무설계 방안을 중심으로(석사학위). 한국교통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충주.
정용길. (2003). 공공부조의 원칙에서 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생활보호제도의 비교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대구.
T. H. Marshall(김윤태 역. 2013), 시민권과 복지국가. 이학사:서울
유해숙 김영빈, 학교사회복지,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공용, 인권법, 인권교육 활성방안, 2019
이승협, 기업과 노동의 사회 책임, 집문당, 2020.
박주현, 사회복지정책론, 어가, 2021.
구정우, 인권도 차별이 되나요? (나는 괜찮다고 여겼던 당신을 위한 인권사회학) , 북스톤, 2019.
국가인권위원회 홈페이지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