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의 의미와 4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척도의 개념과 특성
2.1. 척도의 정의 및 특징
2.2. 척도 수준에 따른 통계분석 방법 결정
3. 척도의 유형
3.1. 질적 척도
3.1.1. 명목척도의 특징과 예시
3.1.2. 서열척도의 특징과 예시
3.2. 양적 척도
3.2.1. 등간척도의 특징과 예시
3.2.2. 비율척도의 특징과 예시
4. 질적 척도와 양적 척도의 비교
4.1. 질적 척도의 특성 및 활용
4.2. 양적 척도의 특성 및 활용
5. 척도 수준에 따른 적절한 통계기법 선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측정은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구성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값을 부여하는 것이며, 척도란 측정의 수준 또는 측정의 방법을 표준화하여 구체화한 값들로 표현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조사는 대부분 인간의 생각이나 태도에 대해서 조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간의 생각이나 태도는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조사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는 척도에 대해서 바른 이해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측정의 수준에 따른 척도 4가지를 실제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를 수량의 의미를 기준으로 두 가지로 대별해서 기술해보도록 하겠다.
2. 척도의 개념과 특성
2.1. 척도의 정의 및 특징
척도는 측정하려는 대상의 속성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로 표현한 것이다. 척도의 정의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는 관찰대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그 값을 숫자로 나타내는 일정한 규칙이다. 이는 질적 자료를 양적 자료로 변환하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척도의 수준에 따라 통계분석 방법이 결정된다. 척도의 수준이 상승할수록 변수가 내포하고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셋째, 척도의 수준이 상승할수록 자료 수집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이 증가하지만, 변수측정에 필요한 비용, 노력, 그리고 변수가 갖는 정보량이 서로 비례한다.
넷째, 척도는 조작화, 계량화, 개념화를 우선시하고, 개별문항은 하나의 연속체를 이루어 단 하나의 개념을 반영한다.
2.2. 척도 수준에 따른 통계분석 방법 결정
척도 수준에 따른 통계분석 방법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변수의 측정수준에 따라 적절한 통계기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독립변수의 측정수준을 보면, 명목척도와 서열척도는 질적 변수에 해당하므로 비모수통계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성별, 종교, 혼인상태와 같은 명목변수의 경우 교차분석이나 카이제곱검정 등의 비모수통계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학력, 직급, 소득수준과 같은 서열변수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 크루스칼-월리스 검정 등의 비모수통계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독립변수가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로 측정된 경우에는 모수통계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령, I...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한국사회복지실천과복지경영(최성균/이준우,파란마음,2017)
6시그마 자격인증원-기초통계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