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국문학사 개관
1.1. 식민지 시대와 청교도 주의 및 그 유산
식민지 시대와 청교도 주의 및 그 유산은 미국 문학사의 첫 장을 이루는 중요한 토대라고 할 수 있다. 신대륙 발견 이후 유럽, 특히 영국으로부터 맹렬한 박해를 피해 피신해온 청교도들은 1620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미국 동부 플리머스에 정착하면서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하였다. 이들은 엄격한 신앙심과 검소한 생활 태도로 빠르게 정착하였으며, 그들의 종교적 열정과 윤리관은 이후 미국 문학의 주요 모티프가 되었다.
청교도들은 신앙심과 종교적 엄격함을 중시하여 신구약 성경을 엄격히 해석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그들은 '신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구절을 근거로 금욕적이고 금欲적인 태도를 견지했으며, 이는 이후 미국 문학에서 죄책감과 자기 성찰의 주제로 자주 등장하게 된다. 특히 죄악과 구원에 대한 강한 집착, 마녀재판과 같은 종교적 광신에 경도되었던 특성은 호손의 "주홍 글자"와 같은 주요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청교도들은 식민지 시대 내내 엄격한 공동체 윤리와 사회적 규율을 추구했다. 그들은 개인의 자유보다는 공동체의 안녕을 더 중시했으며, 이러한 집단주의적 성향은 이후 미국 개인주의의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그들의 금욕적이고 금欲적인 삶의 자세는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낳았고, 이는 미국 문학에서 이상향의 추구와 현실 도피의 주제로 자주 다루어졌다.
한편 청교도들은 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하버드 대학을 설립하는 등 지적 전통을 축적했다. 이는 이후 미국 문학이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발달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또한 그들의 엄격한 윤리관과 종교적 열정은 미국 문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호손, 멜빌 등의 주요 작가들이 청교도 전통을 소재로 삼아 작품을 창작했다.
요컨대 청교도 주의와 그들의 신앙과 삶의 방식은 미국 문학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윤리관, 이상주의, 현실과의 갈등 등은 이후 수많은 작가들의 주요 주제가 되었으며, 미국 문학의 독특한 색채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1.2. 정치적 독립과 문화적 독립: Washington Irving
워싱턴 어빙은 19세기 The Romantic Period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그는 미국 독립의 자식답게 최초의 참된 미국적 이야기 작가이자 근대적 의미의 단편소설 형식을 완성한 작가로 인정을 받았다. 그는 구세계와 신세계의 문학적 중개자로서 국제적으로 높은 명성을 얻었던 최초의 미국 작가이기도 하다.
어빙은 1783년 스코틀랜드 이민자 출신의 부유한 상인의 11번째 아들로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는 개인적으로 법학을 공부했지만, 1802-1803년 "Jonathan Oldstle, Gent"라는 필명으로 형이 주관하던 신문에 편지 형식의 풍자적인 에세이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그는 도시 사회에 대한 경쾌한 풍자적 문체로 자신의 특성을 잘 드러냈다. 이후 1804-1806년 2년간 유럽을 여행하고 돌아와 형과 문인들과 어울리며 1807-1808년 "Salmagundi"라는 일련의 풍자적 에세이를 발표하였다. 1809년 "History of New York"을 완성하여 익살스러운 풍자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그 후 1815년 영국으로 건너가 작가 월터 스콧과 출판사 존 머레이 등과 교유하면서 1819-1820년 "Sketch Book"을 발표하여 영국과 미국 양쪽에서 모두 호평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그는 구세계와 신세계를 오가며 1824-1832년 "Tales of a Traveller", "The Life of Columbus", "The Alhambra" 등을 내면서 점차 역사, 전기, 기행문 작가로 전향하게 된다. 그는 1832년 미국으로 돌아와 서부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A Tour on the Prairies" 등 관련 저작을 집필하였다.
특히 어빙은 미국 단편 소설 발달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 "Rip Van Winkle"은 당시로서는 최초의 미국 단편소설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후 단편 소설의 형식을 완성시킨 포나 호손 등의 작가들은 어빙의 기초작업에 크게 의지했다고 한다.
"Rip Van Winkle"은 식민지 시대의 영국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한 미국의 새로운 모습을 대비시켜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 립 반 윙클은 영국의 압제와 아내의 압제를 벗어나기 위해 산으로 도망가 20년간 잠들었다가 깨어나 본 세상은 완전히 달라져 있었다. 영국의 국기가 내려졌고 독립영웅 워싱턴의 초상이 걸려있는 호텔이 들어섰으며, 한가롭고 고요했던 마을은 분주하고 논쟁적인 모습으로 바뀌어 있었다. 이처럼 "Rip Van Winkle"은 과거 식민지 시대에서 미국의 독립과 자유, 그리고 새로운 민주주의적 분위기로의 전환을 잘 보여주고 있다.
다른 작품 "The Sketch Book"에서도 어빙은 구세계 유럽과 신세계 미국을 오가며 양측의 문화를 절묘하게 융합시켰다. 그는 미국 문학의 한계를 뛰어넘어 국제적 명성을 얻은 최초의 작가로 평가받는다. 어빙은 신대륙 미국의 정체성 형성에 큰 역할을 했으며, 그의 작품 속 익살과 풍자는 이후 호손, 멜빌 등 미국 문학의 주요 작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1.3. 19C 미국 고전작품의 시기: Hawthorne과 Melville
19세기 미국 문학사에 있어 나사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과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은 가장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호손과 멜빌은 각자의 독특한 방식으로 당시 미국 사회와 인간의 내면세계를 파헤쳐 고전작품을 남겼다.
먼저 나사니엘 호손은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가로 꼽힌다. 그는 청교도주의와 그 유산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호손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청교도적 죄의식에 시달린다. 그의 대표작 『주홍 글자』는 청교도 사회의 도덕률이 개인의 내면에 끼친 영향을 잘 보여준다. 주인공 에스터 프린이 저지른 간통죄로 인해 겪어야 했던 고통과 내적 갈등이 생생하게 묘사된다. 호손은 인간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죄의식과 도덕률의 문제를 상징적이고 알레고리적인 기법으로 탐구했다.
한편 허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