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고혈압의 정의와 특징
1.1. 고혈압의 정의
일반적으로 혈압은 동맥의 벽에 대항하는 혈액의 압력으로,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내보낼 때 가장 높은 수축기혈압, 심장이 늘어나 혈액을 받아들일 때를 가장 낮은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정상적으로 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20mmHg 미만, 이완기혈압이 80mmHg이나, 고혈압(hypertension)은 2주 동안 최소 2번 이상 다른 시간에 측정한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뜻한다. 고혈압은 일반적인 증상이 없어 혈압을 측정하기 전까지 진단은 어려우나, 뇌졸중이나 관상 동맥질환 등의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1.2. 고혈압의 분류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본태성 고혈압과 2차성 고혈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태성 고혈압은 가장 흔한 고혈압 형태로 전체 고혈압의 90%를 차지한다" 그 원인이 확실하지 않으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차성 고혈압은 신장질환, 내분비 장애, 뇌 장애, 대동맥 협착증, 동정맥류, 임신중독증 등과 같은 기저 질환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2차성 고혈압의 경우 기저 질환을 치료하면 고혈압이 호전될 수 있다"
1.3. 정상 혈압의 기준
정상 혈압의 기준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혈압이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경우 고혈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완기 혈압이 90mmHg 미만, 수축기 혈압이 140mmHg 미만인 경우 정상 혈압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정상 혈압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20-29세의 경우 이완기 혈압 85mmHg 미만, 수축기 혈압 130mmHg 미만이 정상 범위이다. 30-39세에는 이완기 혈압 90mmHg 미만, 수축기 혈압 135mmHg 미만이 정상 혈압에 해당한다. 40-49세에는 이완기 혈압 90mmHg 미만, 수축기 혈압 140mmHg 미만이 정상 수준이다. 50-59세에는 이완기 혈압 95mmHg 미만, 수축기 혈압 145mmHg 미만이 정상 범위로 간주된다. 60세 이상에서는 이완기 혈압 100mmHg 미만, 수축기 혈압 150mmHg 미만이 정상 혈압 기준이 된다.
따라서 정상 혈압 판단 시 연령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고혈압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1.4.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의 원인은 본태성 고혈압과 2차성 고혈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태성 고혈압은 가장 흔한 고혈압 형태로서 전체 고혈압의 90%를 차지한다"" 본태성 고혈압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고염식사, 스트레스, 비만, 흡연, 과도한 음주 등이 있다""
2차성 고혈압은 원인 질환이 명확한 것으로, 신장질환, 내분비 질환, 심혈관질환, 신경성 질환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신질환은 2차성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가 활성화되어 고혈압이 유발된다"" 부신 호르몬 이상과 관련된 내분비 질환인 쿠싱증후군, 부신종양, 갈색세포종 등도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대동맥 협착증이나 동정맥루와 같은 심혈관질환, 뇌종양이나 외상 등의 신경성 질환도 2차성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고혈압의 병태생리
2.1. 교감신경계의 역할
교감신경계는 고혈압의 발병과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교감신경계는 교감신경 말단에서 방출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 동방결절(SA node), 심근, 혈관의 평활근에 있는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심장의 박동수와 수축력 그리고 전도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말초혈관계에 있는 α-교감신경 수용체를 자극하면 혈관이 수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심박출량과 전신혈관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교감신경말단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심장의 박동수와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전신혈관저항을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는 신장에서 레닌 분비를 자극하여 안지오텐신-II를 생성하게 하고, 부신에서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체내 나트륨 및 수분 저류를 유발하여 혈압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
2.2.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는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닌은 신장에서 분비되는 효소로, 안지오텐시노겐에 작용하여 안지오텐신 I을 생성한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에 의해 안지오텐신 I은 안지오텐신 II로 전환되는데, 안지오텐신 II는 강력한 혈관수축제로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안지오텐신 II는 부신피질의 알도스테론 분비를 자극하여 신장에서의 나트륨 재흡수를 촉진하고 혈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는 복잡한 과정을 통해 혈압 조절에 관여하며, 이 체계의 항진은 고혈압을 유발하는 중요한 기전이 된다""
2.3. 체액량 조절
체액량 조절은 신장이 혈압을 조절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내에 나트륨과 수분이 정체되면 정맥 귀환량이 증가하고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신장은 이뇨를 통해 혈압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이뇨가 원활하지 않아 체액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신장 내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RAAS)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