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고혈압
1.1. 정의 및 분류
일반적으로 혈압은 동맥의 벽에 대항하는 혈액의 압력이며,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내보낼 때 가장 높은 수축기혈압, 심장이 늘어나 혈액을 받아들일 때를 가장 낮은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경우 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20mmHg 미만, 이완기혈압이 80mmHg이나, 고혈압(hypertension)은 2주 동안 최소 2번 이상 다른 시간에 측정한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뜻한다. 고혈압은 일반적인 증상이 없어 혈압을 측정하기 전까지 진단은 어려우나, 뇌졸중이나 관상 동맥질환 등의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이다.
1.2. 원인과 증상
1.2.1. 본태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은 고혈압의 가장 흔한 형태로,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를 차지한다. 이는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일차성 고혈압으로,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가족력이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의 약 30-60%가 부모에게서 유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배경을 가진 개인은 신장, 교감신경계, 혈관 등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조절되지 않아 고혈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환경적 요인으로는 고염식, 비만,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이 있다. 특히 나트륨 섭취가 많은 고염식이 고혈압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염분은 혈액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데, 이는 신장의 나트륨 배출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 또한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고혈압을 유발한다. 스트레스 역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본태성 고혈압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발견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혈압이 높은 상태가 유지되면 장기적으로 뇌, 심장, 신장 등의 장기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1.2.2. 이차성 고혈압
이차성 고혈압은 특정한 원인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혈압을 말한다. 이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약 5%를 차지하며, 주요 원인은 신장질환, 내분비질환, 신경성 질환 등이다.
신장질환으로 인한 이차성 고혈압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급성 신염, 만성 신염, 신동맥 협착증 등이 대표적이다. 신장 질환은 레닌의 분비를 증가시켜 안지오텐신을 활성화시키고 알도스테론 분비를 자극하여 체내 나트륨과 수분 축적을 유발함으로써 고혈압이 발생한다.
내분비 질환으로 인한 이차성 고혈압에는 쿠싱증후군, 갈색세포종, 부신피질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등이 있다. 이들 질환은 부신피질 호르몬이나 갑상선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고혈압이 유발된다.
신경성 질환으로 인한 이차성 고혈압은 뇌종양, 뇌혈관질환, 척수손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관수축과 심박출량 증가로 인해 고혈압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대동맥 협착증, 임신중독증 등도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 질환의 치료를 통해 혈압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다.
1.3. 병태생리
1.3.1. 교감신경계
교감신경계는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장의 박동수와 수축력이 증가하고 말초 세동맥이 수축하게 된다""교감신경 말단에서 방출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 동방결절(SA node), 심근, 혈관의 평활근에 있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이러한 반응을 일으킨다""
교감신경계 활성화는 심박출량과 전신혈관저항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말초혈관계의 α-교감신경 수용체를 자극하면 혈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