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사구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09.22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분사구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문법 이해
1.1. 영문장 구조
1.1.1. 간접의문문
1.1.2. 수일치
1.2. 동사 구조의 이해
1.2.1. 조동사
1.2.2. 시제
1.2.3. 가정법
1.3. 주어 구조의 이해
1.3.1. 분사
1.3.2. 관계사
1.4. 다기능 구조의 이해
1.4.1. to부정사와 동명사
1.4.2. 접속사와 전치사
1.4.3. 형용사와 부사의 차이
1.5. 숨은 구조의 이해
1.5.1. 생략 구문
1.5.2. 도치 구문
1.5.3. 부정 구문

본문내용

1. 영문법 이해
1.1. 영문장 구조
1.1.1. 간접의문문

간접의문문은 의문사(what, who, where, when, why, how 등)가 포함된 절이 주절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간접의문문은 주절의 동사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진다. 주절의 동사가 ask, wonder, know, tell, say, explain 등일 때는 선택사를 사용하여 간접의문문을 만든다. 이때 선택사로는 whether 또는 if가 쓰인다.

예를 들어 "Where is Tom?" 과 같은 직접의문문은 "I wonder where Tom is."와 같은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수 있다. 이처럼 주절의 동사가 wonder, ask 등일 때는 선택사 whether 또는 if를 사용한다.

한편, 주절의 동사가 know, tell, say 등일 때는 의문사 그대로를 사용하여 간접의문문을 만든다. 예를 들어 "What time is it?" 과 같은 직접의문문은 "I know what time it is."와 같은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간접의문문에서는 주절의 동사 시제와 간접의문문의 동사 시제가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I asked where Tom was." 와 같이 주절동사가 과거이면 간접의문문의 동사도 과거시제여야 한다.

이처럼 간접의문문은 주절의 동사에 따라 선택사의 사용 여부와 동사 시제의 일치 여부가 달라지는 중요한 영문법 개념이다.


1.1.2. 수일치

영어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Number Agreement)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영어의 문법적 구조에 따르면 주어와 동사는 반드시 수가 일치해야 한다. 즉, 단수 주어에는 단수 동사가, 복수 주어에는 복수 동사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문장의 문법성과 의미 전달을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다.

영어 문장의 수일치 규칙은 크게 9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주어가 명사구(Noun Phrase)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실질적인 명사와 동사가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The popul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dia, China and Korea is increasing."에서 "population"이 실질적인 주어이므로 단수 동사 "is"가 사용되어야 한다.

둘째, "people"이나 "family"와 같이 복수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단수로 취급되는 명사의 경우 단수와 복수 동사 모두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The family who live together depends on each other."와 "The family who live together depend on each other."가 모두 문법적으로 옳다.

셋째, "every", "each"와 같은 한정사가 포함된 주어의 경우 단수 동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Every student is beautiful."이 옳은 표현이며, "Every student are beautiful."은 잘못된 표현이다.

넷째, "the number of + 복수명사"는 단수 동사가 사용되지만, "a number of + 복수명사"는 복수 동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The number of students is decreasing."과 "A number of students are decreasing."이 각각 옳은 표현이다.

다섯째, 관계대명사 "which", "that"이 포함된 주어절의 경우, 관계대명사가 수식하는 선행사의 수에 따라 동사의 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The train, which is out of order, is frustrating."에서 "train"이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 "is"가 사용되었다.

여섯째, 분수나 백분율이 포함된 주어의 경우, 분자 또는 전체 표현이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동사의 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Three-fourths of the earth is water."에서 "three-fourths"가 단수 표현이므로 단수 동사 "is"가 사용되었다.

일곱째, 도치 구문에서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를 결정할 때는 도치된 주어를 찾아 그에 맞춰 동사의 수를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There is an apple."에서 실질적인 주어는 "an apple"이므로 단수 동사 "is"가 사용되었다.

여덟째, 구 또는 절 전체가 하나의 주어로 기능할 경우 단수 동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To study hard is important."에서 "To study hard"가 단수 주어이므로 단수 동사 "is"가 사용되었다.

아홉째, 복합 주어가 "as well as", "together with", "along with" 등의 표현으로 연결된 경우, 동사의 수는 가장 가까운 주어를 따른다. 예를 들어 "The teacher as well as the students is responsible for the mess."에서 동사 "is"는 가장 가까운 주어인 "the teacher"를 따랐다.

이와 같이 영어 문장의 수일치 규칙은 매우 다양하고 상황별로 구체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