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경화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경화증의 정의와 중요성
1.2.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
1.3. 간경화증의 유형 및 특성
2. 본론
2.1.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2.1.1. 간세포 손상 및 섬유화 과정
2.1.2. 문맥압 항진과 합병증
2.2. 간경화증의 증상 및 징후
2.2.1. 주요 증상
2.2.2. 검사 방법 및 진단
2.3. 간경화증의 치료
2.3.1. 약물 치료
2.3.2. 비약물적 치료
2.3.3. 간이식
2.4. 간경화증 환자의 간호
2.4.1. 체액 및 전해질 관리
2.4.2. 영양 관리
2.4.3. 피부 및 감염 관리
2.4.4. 투약 및 부작용 관리
3. 결론
3.1. 간경화증 관리의 중요성
3.2. 간호 실무에의 제언
3.3.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경화증의 정의와 중요성
간경화증이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간세포 괴사로 인해 간 실질의 섬유화와 소결절이 발생된 상태를 의미하며, 각종 간질환의 말기상태로서, 비가역적이고, 간세포의 기능장애, 문맥고혈압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장애와 결합조직의 증가에 의한 간세포의 경화 축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간 기능의 저하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을 동반하고 호전과 악화를 거듭하면서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예비능력이 감소되어 간 기능 저하가 심할 경우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간암 발생 위험이 높고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이다. 따라서 간경화증의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간염이 간경화증의 가장 큰 원인이다. 만성 B형 간염이 80%를 차지하고, 만성 C형 간염이 5~10%를 차지한다. 만성 간염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염 바이러스는 간세포 내에서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손상과 파괴를 유발시켜 간경변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증가한다. 전체적으로 만성 C형 간염에서 10~15%정도, 만성 B형 간염의 5~10%는 결국 간경변증으로 발전한다.""
둘째, 과도한 음주는 간경변증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적은 양의 알코올 섭취에도 간질환이 발생한다. 알코올은 간에서 아세트 알데하이드와 같은 독성물질로 변환되어 염증과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손상된 간은 지방을 형성하는 화합물인 지방산을 분해할 수 없어 간에 지방이 축적되고 결국에는 섬유화가 진행되어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셋째, 비알코올성 지방간도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과거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경과가 양호하다고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도 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넷째, 자가면역질환도 간경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가면역성 간염과 원발성 담관성 간경변증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질환은 손상된 면역계가 자신의 세포와 기관을 공격하여 발생한다.""
다섯째, 혈색소 침착증, 윌슨병 등의 유전성 질환과 기생충, 약물, 중금속 화학물질 등도 간경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3. 간경화증의 유형 및 특성
간경화증의 유형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간경화증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괴사 후 경변증"은 B형 간염이 주된 원인으로, 간세포의 괴사와 재생 과정에서 정상적인 간 조직이 결합 조직으로 대체되어 경변이 나타나는 유형이다. 이 경우 근육 소모는 덜하지만 황달은 더 심한 편이다.
다음으로 "담즙성 경변증"은 담즙이 간에 쌓이거나 호르몬계통의 이상, 바이러스 간염의 만성화, 유독성 물질의 중독, 담관수술 후 담도 협착이나 담석 등으로 인한 담도폐쇄가 원인이 되며, 중년기 여성에게 주로 나타난다. 이 유형은 초기에 소관 부위와 세포에 염증과 괴사가 있다가 말기에는 괴사 후 경변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울혈성 경변증"은 오랜 기간 정맥성 간성 울혈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해 발병하며, 방실판막의 질환이나 장기화된 유착성 심낭염 등이 원인이 된다. 초기에는 혈액과 부종액으로 인해 간이 검은 빛깔로 커지다가 말기에 피막이 두꺼워지고 결절 반흔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알코올성 경변증"은 만성적인 과다 음주가 주된 원인이며, 소결절성 경변증의 특징이 나타나는데 이는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다르다. 영양부족 상태라면 더욱 심각한 양상을 보인다.
이처럼 간경화증의 유형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각 유형마다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간경화증의 진행 단계와 심각도에 따라 치료 방법과 접근 전략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간경화증의 유형 및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본론
2.1.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2.1.1. 간세포 손상 및 섬유화 과정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 실질의 섬유화와 소결절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간세포 손상 및 섬유화 과정은 간경변증의 중요한 병태생리적 특징이다.
간세포 손상은 과도한 알코올 섭취,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약물 독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간세포가 지속적으로 손상되면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가 활성화되어 콜라겐 등 세포외기질을 과도하게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섬유화 과정이 진행되면 정상적인 간 구조가 변형되고 간 실질이 결절성 구조로 변형된다. 간 섬유화의 진행 단계에 따라 다양한 병리학적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초기 간 섬유화 단계에서는 콜라겐 섬유가 주로 중심정맥과 문맥주변에 축적된다. 이후 섬유화가 더 진행되면 섬유 격막이 형성되고 간 실질이 재생결절로 구획된다. 결국 간 실질의 대부분이 섬유화되어 간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간세포는 계속해서 손상되고 재생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불규칙한 결절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간의 혈류 유동이 방해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문맥압 항진은 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인 식도정맥류, 복수, 간성뇌증 등을 유발하는 핵심 기전이 된다.
따라서 간세포 손상과 이에 따른 섬유화 과정은 간경변증의 병태생리학적 특징으로, 이러한 기전이 질병의 진행과 다양한 임상증상 발현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2.1.2. 문맥압 항진과 합병증
간경화증 환자에서 문맥압 항진은 간질환의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문맥압 항진은 간문맥과 정맥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간경화증이 진행되면 간실질의 섬유화로 인해 간의 구조가 변형되면서 간내 혈관이 좁아지고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문맥압 항진은 복수, 식도/위 정맥류, 비장 비대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복수는 문맥압 항진으로 인해 장관에서 유출되는 삼출액이 복강에 고이면서 발생한다. 복수는 호흡곤란, 조기만복감, 체중증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감염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식도/위 정맥류는 문맥압 항진으로 인해 문맥 혈관이 확장되면서 발생한다. 정맥류는 파열되어 심각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비장 비대는 문맥압 항진으로 인해 비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증가하면서 나타난다. 비장 비대는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의 범혈구 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참고 자료
조동숙 외 공저(2021). 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조동숙 외 공저(2021).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윤미정(Yun Mi-Jeong).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관련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5.3 (2018): 165-175.
박선희,and 신미선. "간경변증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20 (1987): 39-46.
구재숙,전채옥,최정복,and 황선정. "간경변증 환자의 간호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9 (1975): 55-62.
정경선(Jung Kyong Sun),and 민혜숙(Min Hye Sook).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간호수행과 증상경험 및 질병상태와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19.2 (2007): 318-328.
이희진,김선옥,성화숙,김지선,서미화,이지영,류정화,박은희,전영임,and 손보경. "간경화 환자의 간호정보요구 분석을 통한 지참서 개발 및 만족도 증진." 가을학술대회 2009.2 (2009): 405-407.
라식스정 [Lasix Tab.] (의약품사전)
바라크루드정0.5mg [Baraclude Tab. 0.5mg] (의약품사전)
리박트과립 Livact Granule] (의약품사전)
리피토정10mg[Lipitor Tab. 10mg] (의약품사전)
알닥톤필름코팅정25mg Aldactone Film Coated Tab. 25mg] (의약품사전)
우루사정200mg [Ursa Tab. 200mg] (의약품사전)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성인간호학 상, 하(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편(2016)/ 메디캠퍼스/ 이 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