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재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2년에는 노인 인구가 총인구의 11%대를 차지했고, 2017년에는 17%대로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앞으로 2026년에는 20%대로 초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 인구의 증가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2년 65세 이상 노인이 겪는 어려운 문제점으로 41.5%가 건강문제를 꼽았으며, 33.9%는 경제적 어려움, 8.5%는 소외감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노년기에는 신체적, 심리·사회적, 경제적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고령사회에서 노년기의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그중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되는 문제점 하나를 선택하여 현황 및 실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노년기의 문제점
2.1. 신체적 변화
노년기 신체적 변화는 생물학적 노화에 따른 쇠퇴가 특징이다. 노화에 따라 대동맥이 탄력성을 잃어 혈관이 딱딱해지고, 기억력 감퇴, 머리 색 변화, 주름살 증가, 피부 탄력 저하 등 신체 내·외부에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감각기능의 변화로 자극에 민첩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청각, 미각, 시각, 균형감각 등이 쇠퇴하게 된다. 이처럼 신체적 노화가 진행되면서 노인들은 질병에 더욱 취약해지고 일상적인 활동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신체적 변화는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적절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2. 인지
노년기에는 인지적 기능의 변화가 나타난다. 첫째, 지능 노년기가 되면서 기억력 감퇴, 감각능력과 반응시간이 쇠퇴하게 되어 문제해결에 느린 반응을 보이게 된다. 둘째, 치매의 경우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며, 알츠하이머병, 뇌혈관 질환(뇌출혈, 뇌경색, 고혈압 등) 등의 기질성 정신장애이다. 노인의 인지능력 저하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가족에게도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노년기 인지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3. 성격변화
노년기에는 성격적 변화가 나타나는데, 내향성이 증가하고 문제해결에 있어서 수동적으로 해결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