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초월주의와 Emerson
1.1. 초월주의의 등장
초월주의는 19세기에 미국의 사상가들이 주장한 이상주의적 관념론에 의한 사상개혁 운동의 입장으로, 초절주의라고도 한다. 1830년대부터 본격화된 산업혁명과 서진 운동을 배경으로 근대국가로 발돋움하는 미국의 전환기를 토양으로 해서 무한한 세계에의 동경을 웅변으로, 모든 피조물의 본질적 단일성, 사람이 선천적으로 선량함 및 가장 심오한 진리를 밝힘에 있어서, 논리나 경험에 대한 통찰력의 우월성에 대한 믿음에 기초한 관념론 사상체계를 고수했다.
유럽에서의 초월주의는 단지 철학으로 존재했을 뿐이었으나, 미국에서는 사회운동의 몇몇 특성까지도 띠게 되었다. 초월주의란, 직관적 지식과 인간과 자연에 내재하는 신성 및 인간이 양도할 수 없는 가치에 대한 믿음을 망라하는 관념주의의 한 형태다. 초월주의는 신, 인간, 자연을 우주영혼의 공유자로 보며 통일적 존재를 강조하는 바, Emerson은 이를 대령(The Over-Soul)이라 불렀다.
자기를 통해 흐르는 신성을 느끼기 위해 Emerson은 자연으로 눈을 돌렸으며, 홀로 외로이 이를 추구했다. 전통적 의미의 종교는 그에게 별 쓸모가 없었다. 그의 종교는 자연종교였으며, 스스로를 자신의 사제로 삼았다.(초월주의는 무종파적, 때로는 반기독교적 경향이 있었다.) Emerson은 자연의 가장 미소한 것조차도 그 자체의 존재법칙과 의미를 갖는 소우주로 보고 자연을 섬기었고 배웠다.
개인, 자연 그리고 고독을 강조함으로써 초월주의는 낭만주의의 한 중요한 분파가 되었다. 그 기원에서부터 절충주의적?세계 시민주의적인 뉴잉글랜드 초월주의는 낭만주의 운동의 일부로서, 매사추세츠 주 콩코드 지역에서 시작되어 1830-55년 신세대와 구세대의 갈등을 보여주었고, 토착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삼은 새로운 민족문화의 출현을 대변했다. 이 운동에 참여한 자들은 매우 다양하고 개인주의적인 인물들로서 랠프 월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마거릿 풀러, 오레스테스 브라운슨, 엘리자베스 파머 피보디, 제임스 프리먼 클라크, 조지 리플리, 브론슨 올컷, 채닝 형제 등을 꼽을 수 있다.
1.2. Ralph Waldo Emerson의 생애
Ralph Waldo Emerson(1803-1882)은 1803년 5월 25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상 중에는 뉴잉글랜드 지방 교회의 목사가 7인이나 있었을 정도로 저명한 종교적 가문에서 태어났다. 이러한 가정 환경이 결국 그를 미국 초절주의 사상의 원조가 되게 한 것이다.
하버드 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1829년 유니테리언파 보스턴 제2교회의 목사가 되었으나, 그의 자유스런 입장에 대해 교회가 반발해 1832년 사임했다. 그 후 유럽으로 건너가서 W. S. 랜더, W. 워즈워스, D.H.콜리지 등과 만나고, 특히 T. 칼라일과는 깊은 교우관계를 맺었는데, 그를 통해 배운 칸트철학 때문에 그의 사상이 선험철학주의라고 불리게 되었다.
1835년에 귀국한 후 (1836)을 공간하고, 개인의 진리탐구에 과거 문화의 권위를 거부할 것을 선언하였다. 아울러 자연과의 접촉에서 고독과 희열을 발견하고, 자연의 효용으로서 실리?미?언어?훈련의 4종을 제시하였다.
에머슨은 유럽여행의 귀로에 쓴 일기의 한 페이지에 "인간은 그 자신의 내부에 자기를 지배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것을 소장하고 있다… 자기 몸에 닥쳐오는 참된 행복, 참된 재난의 일체는 자신에게 연유한다… 인간의 심령과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 사이에는 대응이 있다."라고 적었는데, 이는 그가 평생 동안 변함없이 믿고 주장한 신념이며, 그의 초절론의 사상과 직관철학의 핵심을 암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