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버스 장단점 비교해줘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지하철, 버스 장단점 비교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울 시내버스 시스템의 우수성과 한계
1.1. 서울 시내버스 시스템의 우수성
1.1.1. 잘 체계화된 시스템
1.1.2. 환승 할인 제도
1.1.3. 서울버스정보시스템
1.2. 서울 시내버스 시스템의 한계와 해결 방안

2.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와 인권
2.1. 소수자로서의 장애인
2.2. 장애인의 이동권 문제와 전장연의 시위
2.3. 한국 사회의 인권 증진을 위한 노력

3. 관광객을 위한 교통정책 비교
3.1. 영국, 미국, 네덜란드, 핀란드의 관광정책 비교
3.1.1. 일일패스 제공
3.1.2. 저렴한 숙박시설 운영
3.1.3. 다국어 지원 및 여행편의 서비스
3.2. 관광정책의 공통적인 장단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울 시내버스 시스템의 우수성과 한계
1.1. 서울 시내버스 시스템의 우수성
1.1.1. 잘 체계화된 시스템

서울 시내버스 체계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잘 체계화되었다. 먼저 시내버스 노선을 간선, 지선, 광역, 순환의 4가지로 분류하고 각 노선에 특정 색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8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에 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바탕으로 버스 노선 번호를 규칙적으로 부여하였다. 이에 따라 노선 번호만 보아도 어느 지역에서 어느 지역으로 운행하는 버스인지 쉽게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주요 간선도로 중앙에 버스전용차선을 도입하여 일반 차량의 이용을 통제함으로써 버스의 통행 속도가 최대 2배 가량 빨라졌다. 이러한 개편으로 출근 시간대 버스 운행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시내버스 이용 승객 수도 9% 가량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서울 시내버스 체계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체계적으로 개편되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1.1.2. 환승 할인 제도

서울 시내버스의 다음 장점으로는 환승 할인 제도를 들 수 있다. 대중교통 환승 할인 제도는 2001년 처음 시작되었으나 이 제도도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로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했다.

환승 할인이란 두 가지 이상의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운임을 할인해 주는 것을 말한다. 서울시의 경우 통합거리비례제라는 제도를 도입하여 어떤 교통 수단을 이용했는지 상관없이 총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을 내게 되었다. 이는 사람들의 환승 저항을 극복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환승 저항이란 환승할 때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으로 인해 사람들이 환승을 기피하는 현상이다. 환승 할인 제도가 없었을 때는 두 가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생기는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서 자가용을 이용하거나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다른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환승 할인 제도의 도입으로 시간적 문제는 아니지만 경제적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되어 사람들의 환승 저항 극복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처음에는 환승 할인 제도가 각 도시 별로 이루어져서 서울에서 인접 도시로 이동할 때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2009년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수도권 내의 모든 교통 수단에 대해 환승 할인 제도가 통합적으로 적용되었다. 따라서 수도권 지역으로의 이동에 경제적 부담이 많이 완화되었다. 실제 통계 자료에 의하면 승용차에서 광역버스로 교통 수단을 변경한 사람이 7.5%로 증가하였고 교통카드 이용 내역도 약 6만명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승 할인 제도가 큰 의미를 갖는 것은 출발지에서 지하철 역까지 버스로 이동하고 지하철을 이용한 뒤 역에서 목적지까지 버스로 이동하는 것의 경제적 부담이 많이 완화됨에 따라 서울 전 지역을 최대 1800원 정도면 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긴 거리를 이동하는 간선버스뿐만 아니라 지하철역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지선버스의 역할도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이는 서울 전 지역을 대중교통만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1.3. 서울버스정보시스템

서울버스정보시스템은 버스 도착 정보 및 버스 혼잡도를 쉽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면서 고객들에게 실시간으로 버스의 위치와 도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구축되었다. 처음에는 ARS 서비스만 있었지만 점차 스마트폰 앱으로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버스 정류장에 버스정보안내단말기가 설치되어 버스 도착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다. 2017년부터는 버스 내부의 혼잡도 안내 서비스까지 시행되어 승객들이 혼잡하지 않은 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신속함을 중요시하는 사회에서 버스 도착 정보와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울버스정보시스템...


참고 자료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Wikipedia.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s://ko.wikipedia.org/wiki/서울특별시의_시내버스
서울 시내버스 연도별 수송분담율 및 시내버스 1일평균 수송인원.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www.sbus.or.kr/intro/5/02.htm
서울특별시의 버스 개편. Wikipedia.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s://ko.wikipedia.org/wiki/2004년_서울특별시_버스_개편
서울 시내버스 최고 2배 빨라졌다..대중교통 체계 개편이후 (June 23, 2005). 한국경제.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5&aid=0000813202
수도권 통합요금제. Wikipedia.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s://ko.wikipedia.org/wiki/수도권_통합요금제
서울시, 국내최초 버스혼잡도 안내 서비스 개시 (May 22, 2017). 중앙일보.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news.joins.com/article/21595101
서울 시내버스 만족도 역대 최고 안전성 편리성 (December 14, 2016). 연합뉴스.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14/0200000000AKR20161214058500004.HTML
서울 시내버스 불편민원 1위는? ‘승하차 전 출발 무정차 통과’ (April 10, 2015). 뉴스1.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news1.kr/articles/?2180581
외국인 관광객, 가장 불편한 교통수단 ‘버스’..”노선 어려워” (March 13, 2017). BreakNews. Retrieved December 16, 2017, from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497685
한국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지하철 운행방해 사태]. 나무위키. 2022.05.26.
다르게 사는 사람들: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이야기. 이학사. 윤수종. 2002
[전장연 시위 재개... 3, 4호선 열차 운행 지연 우려]. 매일경제. 고독관. 2022.05.03.
[이달의 해외여행]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유럽여행 1번지 ‘영국 런던’ -충남일보-
여름방학 유럽여행의 첫 번째, 영국여행 코스와 여행지 정보 알아보기 -fam time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