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가. 힘의 개념과 단위를 정의하고, 힘의 합성대를 이용하여 몇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이해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원리
어떤 물체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지 않아서 원래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을 때, 그 물체는 평형상태(알짜힘이 0)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속도가 0이므로 물체는 정지 상태 또는 등속 직선 운동 상태에 있다. 힘은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데, 그 힘의 방향은 가속되는 방향과 같으며 벡터로 표시할 수 있다. 벡터로 표시하면 힘의 방향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나타내고 힘의 크기를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내어 다른 힘과의 합성 및 분해가 용이하다.
힘의 합성은 임의의 물체에 여러 개의 힘이 작용할 때 여러 개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하나의 힘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이고, 반면 힘의 분해란 물체에 하나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여러 개의 힘으로 나누어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여러 힘을 받고 있는 물체가 평형상태에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제1 평형조건은 정역학적(정적, 선형적) 평형상태, 정지 또는 등속 직선 운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외력의 합(벡터합)이 0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2 평형조건은 동역학적(동적, 회전적) 평형상태, 즉 정지 또는 등속 회전 운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축에 관한 모든 힘의 모멘트, 즉 토크의 합이 0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는 질량 중심의 평형 상태를 다루므로, 제1 평형조건만 만족하면 된다. 힘을 벡터로 표시하여 벡터합을 구하는 방법에는 기하학적 방법(도식법, 작도법)과 해석법이 있다. 기하학적 방법은 평행사변형을 그려서 힘의 벡터합을 구하는 것이고, 해석법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다.
1.3. 실험 기구 및 장치
실험 기구 및 장치는 다음과 같다.
실험 재료로는 합성대, 추, 수준기, 그래프 용지가 사용된다"" 합성대는 평형의 개념을 이용하여 벡터의 합성을 물리학적으로 증명하는 실험에 이용되는 장치이다"" 합성대에는 평형을 이루게 하는 3개의 도르래와 클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도르래에는 추를 매달아 힘의 평형을 실험할 수 있다"" 추는 무게로 인해 힘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