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달에 미치는요인 유전.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유전론적 입장
1.1.1. 젠센의 유전론
1.1.2. 쌍둥이 연구
1.1.3. 운동 연구
1.2. 환경론적 입장
1.2.1. 뇌의 가소성과 학습
1.2.2. 양육방식의 중요성
1.3. 유전 요인과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
2. 유아 발달에 대한 토론
2.1.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
2.1.1. 일란성 쌍둥이 사례
2.1.2. 늑대 소년 사례
2.1.3. 애완견 키우기 경험
2.2.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유전론적 입장
1.1.1. 젠센의 유전론
1969년 젠센은 '우리는 얼마나 IQ와 학업 성적을 더 북돋울 수 있는가?'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젠센은 지능을 정보를 저장하는 연합 능력(Associative Ability)과, 추상적 사고와 문제풀이 능력(Conceptual Ability)로 나누었다. 젠센에 따르면 연합 능력은 인종 간 차이가 없지만 개념 능력은 아시아인, 백인, 흑인 순으로 뛰어나다고 주장했다. 이는 유전과 환경 요인 논쟁을 일으켰고 '젠세니즘'으로 불리며 각 진영으로부터 지지와 공격을 받았다. 젠센은 격리 후 양육된 일란성 쌍둥이 간 지능지수 차이가 동일한 환경에서 자란 이란성 쌍둥이보다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능은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이 지배한다고 주장했다.
1.1.2. 쌍둥이 연구
쌍둥이 연구는 유전적 요인이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연구 방법이다. 젠센은 격리 후 양육된 일란성 쌍둥이 간 지능지수 차이가 동일한 환경에서 자란 이란성 쌍둥이보다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능은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이 지배한다고 주장하였다. 오스본과 그레고르는 13~18세 23쌍 일란성 쌍둥이와 12쌍의 이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심상화, 인식 속도, 공간 적응 등을 검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는데, 이를 통해 지능과 같은 심리적 특성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쌍둥이 연구는 실험 조건을 잘 통제할 수 있어 유전요인과 환경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1.1.3. 운동 연...
...
참고 자료
정봉영, 『뇌과학에 기반한 학생 창의․인성 함양 및 학습력 증진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영유아발달(2판) (제2판) 김승희 저 | 정민사 | 2021.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