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 및 대응방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상세정보

소개글

"물류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 및 대응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ESG 경영과 물류 산업의 변화
1.1. ESG 경영이란?
1.2. 물류 산업에서의 ESG의 영향
1.3. 물류 산업의 변화
1.4. 국내외 물류의 변화
1.5. 대책 방안
1.5.1. 친환경 운송
1.5.2. 운송수단 전환
1.5.3. 자원 활용의 최적화
1.5.4. 친환경 포장, 유통가공 개선
1.5.5. 역물류 고려

2. 콜드체인물류의 혁신과 발전 동향
2.1. 콜드체인물류의 개요
2.1.1. 콜드체인물류의 정의와 개념
2.1.2. 콜드체인물류의 필요성과 중요성
2.2. 콜드체인물류의 전통적인 시스템과 한계
2.2.1. 콜드체인물류의 전통적인 시스템과 프로세스
2.2.2. 전통적인 콜드체인물류 시스템의 한계와 문제점
2.3. 기술혁신과 콜드체인물류의 발전
2.3.1. IoT (사물인터넷) 기술의 활용
2.3.2. 센서 기술의 발전과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2.3.3. 자동화 기술의 도입과 로봇화
2.3.4.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적 활용
2.4. 인공지능과 콜드체인물류
2.4.1. 머신러닝과 예측 분석
2.4.2. 인공지능을 활용한 재고 관리 및 최적화
2.4.3. AI 기술을 활용한 품질 관리 및 안전성 강화
2.5. 콜드체인물류의 미래 전망과 도전 과제
2.5.1. 미래 전망
2.5.2. 도전 과제

3. 생산관리
3.1. 최근 1년간의 신문기사에서 제조기업의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에 의한 피해 사례
3.1.1. 요소수 대란
3.1.2. 차량용 반도체 대란
3.1.3. 인도네시아 정부의 석탄 수출 통제
3.2. 공급망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ESG 경영과 물류 산업의 변화
1.1. ESG 경영이란?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이니셜을 딴 경영 방침이며, 'ESG 경영'이란 장기적인 관점에서 친환경 및 사회적 책임 경영과 투명 경영을 통해 기업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환경에 따른 친환경, 탈탄소 사회, 그린뉴딜, 탄소중립과 같은 키워드가 이슈가 되고 있는 현실에 기업에서도 그에 맞춰 변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업은 ESG 경영을 하지 않으면 금융, 정부, 수출, 소비자의 외면 등 많은 부작용이 따르므로 이러한 경영 추세를 따르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ESG란 단어가 처음 나온 것은 2006년 UN 주도하에 설립된 PRI(Principles for Resonsible Investment)이다. PRI는 지속가능성 투자 원칙을 준수하는 국제 투자 기관으로 환경은 몇몇 나라만 잘한다고 지킬 수 있는 문제가 아니란걸 인지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환경은 지구 인류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이므로 전세계 기업들이 친환경적으로 사업을 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기준을 만들게 되었다.


1.2. 물류 산업에서의 ESG의 영향

물류 산업에서의 ESG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현재 물류 현장은 '환경 경영', '지속 가능한 성장과 혁신', '스마트 물류', '공급망 리스크 관리', '고객 서비스 향상' 등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복합적인 변화에 대한 압력을 받고 있다. 탄소 중립과 지속 가능 경영을 지향하는 범세계적 합의가 이루어지며, 환경보호가 산업과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이에 따른 물류 변화도 불가피한 상태이다.

신기후체제 파리협정(Paris Agreement),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안, 미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전세계적으로 탄소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규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 등 여객 및 화물 운송수단에 대한 탄소 감축 규제가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해 환경 정책 및 규제에 대한 기업, 산업, 국가적 움직임이 매우 적극적이다.

UN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의제"는 모든 국가가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촉진하고 경제 성장과 환경 악화 사이의 연결 고리를 제거하고 2030년까지 재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관리와 천연자원의 효과적인 사용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하며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를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ESG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운송 및 물류 산업은 운송 중에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폐기물과 오염 물질이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를 끼치고 있다. 특히, 물류 운송은 전 세계의 CO2 배출량의 1/5을 차지하며 물류 운송 중 육상 운송이 45.1%, 항공 11.6%, 철도1%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친환경 물류 발전을 위해 탄소 감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한 코로나 팬데믹은 전례 없는 방식으로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렸으며 공급망 세계화로 인해 기업은 공급업체의 환경 영향과 노동 관행을 모니터링하기가 어려워진 상황이기에 물류 산업에 있어 ESG 경영은 매우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게 되었다.

탄소중립 등 친환경정책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부르는 현상인 그린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어 수익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으로서는 ESG 경영으로 인해 기업 존속에 빨간 불이 켜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보다 지속 가능한 운송 노력이 환경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운송 비용을 절감하고 운송 업체의 수익성을 높이며 친환경 운송에 대한 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몸소 느끼고 있는 추세이다.


1.3. 물류 산업의 변화

물류 산업의 변화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기술 간의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큰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기존 에너지 관련 분야의 기술과 빅데이터, AI 등 기술의 융합으로 인해 "에너지 4.0"이 주목받고 있다. 이로써 공급망 관리시스템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요예측, 자동화 기반의 공급망 리스크 대응, 지능적인 유지보수와 같은 스마트 기능이 추가되면서 친환경적인 공급망 관리가 가능해진 상태이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 기간 급속도로 성장한 e커머스 시장의 영향으로 물류 시장 전반에 탄소 배출 저감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물류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친환경 전환에 힘쓰고 있다.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운송 차량 전환을 확대하는 동시에 친환경 파렛트를 도입해 자원 선순환에도 앞장서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소 설치, 친환경 플랫폼 구축 등 타 업종과 협업 사례도 점차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물류 산업은 환경친화적 경영을 위한 첨단기술의 도입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나가고 있다.


1.4. 국내외 물류의 변화

물류 산업의 국내외 변화는 ESG 경영의 확산과 맞물려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국내 물류기업들은 친환경 전기화물차 도입, 육상전원공급설비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을 펼치며 "탈탄소화"에 힘쓰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국내 최초로 콜드체인 전기화물차 배송에 정식 투입하는 등 친환경 차량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충전 인프라 구축, 친환경 윤활유 사용 확대, 일회용품 재자원화 등 환경 보호 활동도 펼치고 있다. CJ대한통운과 현대글로비스 등 다른 국내 물류기업들도 전기차 도입, 수소화물차 운영, 친환경 포장재 개선 등의 친환경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해운업계에서도 IMO의 탄소배출 규제에 대응하여 HMM, 현대글로비스, 팬오션, SM상선 등이 스크러버 설치, 저유황유 사용, LNG연료추진선 신조발주 등 대기오염 감축과 탈탄소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UPS와 같은 글로벌 물류기업들이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연료 절감과 탄소 저감에 힘쓰고 있다. UPS의 배송 알고리즘은 좌회전 최소화를 통해 연료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 물류기업들은 ESG 경영을 실천하며 친환경 전환과 탈탄소화에 힘쓰고 있다. 물류 산업의 환경 부문에서 뚜렷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대책 방안
1.5.1. 친환경 운송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온실가스 감축, 탄소 중립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업 부문은 바로 운송이다. 운송 부문에서 환경 경영의 핵심 키워드는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효율개선, 대기오염, 유해물질 관리 등이며 이에 대한 기업의 추진 활동으로 저탄소 친환경 운송수단으로의 전환과 자원 활용을 최적화하는 방안이 두드러진다.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온실가스 감축, 탄소 중립을 위해 운송 부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친환경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이다. 기업들은 차량 중심의 도로 화물 수배송 수단을 수소, 전기, 액화천연가스 등을 사용하는 친환경 차량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해상운송 분야에서도 탄소 배출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메탄올, 액화천연가스, 암모니아, 전기 등으로 운행하는 친환경 선박을 개발하고 운행을 증대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탈황 장비 장착, 이중연료추진 엔진 탑재 등 당장 실현 가능한 방법으로 탄소배출규제에 대응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냉장·냉동 전기화물차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국내 최초로 콜드체인 전기화물차 배송에...


참고 자료

Lotis : https://www.lotis.or.kr/trends/4449
ESG 경영은 물류산업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까?
: https://www.cello-square.com/kr-ko/blog/view-335.do
물류신문 : 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4285
Loggin : https://www.logi-in.co.kr/web/view?table_id=VEJIX0NPTlRFTlRTX05FV1M=&cont_id=MzQ4MzI=&v_gubun=N
Kintex : https://www.kintex.com/web/ko/html/company/esg_overview.do#:~:text='ESG'%EB%9E%80%20%EA%B8%B0%EC%97%85%EC%9D%98%20%EB%B9%84%EC%9E%AC%EB%AC%B4,%ED%95%98%EB%8A%94%20%EA%B2%83%EC%9D%B4%EB%9D%BC%EA%B3%A0%20%ED%95%A0%20%EC%88%98%20%EC%9E%88%EC%8A%B5%EB%8B%88%EB%8B%A4.
Iammom: https://iammom.co.kr/esg-%EA%B2%BD%EC%98%81/
김영래, 식품물류, 대한상공회의소, 2019.
김정환, "콜드체인물류 기업의 기술 동향 및 혁신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2.
박성진, "인공지능과 콜드체인물류의 융합 기술 동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6권, 제11호, 2021.
서은경,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식품 유통 네트워크의 효율성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지, 제34권, 제1호, 2021.
이준호, "IoT 기반의 콜드체인물류 시스템 도입 사례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9권, 제5호, 2014.
장유진, "콜드체인물류에서의 머신러닝 기법의 활용 및 도입 전략,"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4권, 제9호, 2019.
최상철, "식품물류에서의 자동화 기술 도입과 고려사항,"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9권, 제4호, 2015.
하영규, & 우수한. (2020). 코로나 19 로 인한 자동차 산업 영향과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에 대한 효과 분석. 국제상학, 35(3), 149-169.
이상열. (2022).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재편과 장단기 대응전략. 전기저널, 29-3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