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익스피어 시대적배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셰익스피어의 시대적 배경
1.1. 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 아래 영국의 부상
1.2. 중세에서 근대로의 변화와 인본주의 사상의 등장
1.3. 16세기 영국 사회의 특징: 불안정성과 갈등
2. 셰익스피어의 생애와 작품 활동
2.1. 스트랫포드에서의 어린 시절
2.2. 런던 행과 연극 활동의 시작
2.3. 다양한 극 장르 창작: 역사극, 희극, 비극
3. 셰익스피어 작품의 주요 특징
3.1. 시대착오적 요소와 복합적 관점
3.2. 풍부한 언어유희와 희극성
3.3. 인간과 세계에 대한 심도 깊은 통찰
4. 셰익스피어의 대표작
4.1. 4대 비극: 『햄릿』, 『오셀로』, 『리어왕』, 『맥베스』
4.2. 역사극: 『헨리 4세』 1, 2부와 『헨리 5세』
4.3. 대표적 희극: 『말괄량이 길들이기』, 『베니스의 상인』
5. 셰익스피어 연구의 동향과 평가
5.1. 셰익스피어 극작술의 독창성
5.2. 셰익스피어 작품의 보편성과 현대성
5.3. 셰익스피어 연구의 최근 동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셰익스피어의 시대적 배경
1.1. 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 아래 영국의 부상
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 아래 영국의 부상은 다음과 같다.
셰익스피어가 활동하던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에 영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전반적인 면에서 크게 부상하였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1558년 즉위하여 1603년까지 45년간 통치하였는데, 이 시기에 영국은 상업적 권력으로 크게 번영하였다. 엘리자베스 여왕 치하에서 영국은 아메리카와 그 외의 식민지를 점령하며 대영제국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 시대는 단순히 국운이 융성한 시기뿐만 아니라 문화면에서도 고도의 창조성이 요구되던 시기였다. 중세 이래의 토착적 전통이 고도로 세련되었고, 특히 그리스-로마의 고전인 르네상스 문화가 유입되면서 새로운 민족적 형식과 내용을 창출해 내려는 시기였다.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는 이처럼 신(新)사상과 구(舊)사상이 교차하는 전환기였다. 한편에서는 기존 질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고, 국왕의 특권에 대한 의회의 제동, 자본주의의 대두, 새로운 신대륙의 발견 등으로 사회적·경제적 질서가 크게 흔들리게 되었다.
이러한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의 격변과 사회변동 양상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세계에 선구적으로 투영되어 있다. 셰익스피어는 이 시기의 영국 사회를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반영하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이로 인해 위대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1.2. 중세에서 근대로의 변화와 인본주의 사상의 등장
중세 이래 천년 동안 지배했던 신 중심의 세계관은 16세기를 기점으로 점차 근대적 인간 중심의 사상으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전환기에 셰익스피어가 활동했던 엘리자베스 시대는 구 질서와 신 질서의 충돌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중세 사회에서는 신이 인간에 대해 절대적 권력과 지배력을 행사했다. 인간의 삶과 운명은 신이 정해놓은 모습대로 움직이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에 따라 인간 개인의 자유와 가치는 크게 중요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15세기에 시작된 르네상스 운동은 인간 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16세기 영국에서는 헨리 8세의 종교개혁으로 인해 로마 교회의 권위에 도전하는 개신교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세계관에 대한 회의와 함께 인간 개인의 가치와 자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셰익스피어는 자신의 작품에 인간 내면의 복잡성과 보편성을 담아내며, 근대적 개인주의 사상을 반영하고자 했다.
그의 비극작품 속 주인공들은 지배적이던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자신의 욕망과 양심 사이에서 고민하며, 결국 이 세계의 허망함과 무상함을 깨닫게 된다. 코델리어가 아버지 리어 왕에게 "nothing"이라 대답하는 것은 중세적 사고에서 벗어나 언어의 한계를 인식한 근대적 개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리어왕이 자신의 죄를 용서받지 못한 채 비극적 최후를 맞이하는 것은 중세의 신 중심 질서에서 벗어나지 못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셰익스피어는 자신의 작품 속에서 중세적 세계관과 근대적 세계관의 충돌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그의 작품들은 기존 질서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인간 개인의 가치와 자유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셰익스피어는 근대로 이행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인본주의 사상을 선도적으로 표현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1.3. 16세기 영국 사회의 특징: 불안정성과 갈등
16세기 영국 사회는 불안정성과 갈등이 팽배했다. 첫째,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기에 따른 사회구조의 변동으로 인한 불안정성이 존재했다. 종교개혁이 영국에 도입되면서 개신파와 가톨릭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때로는 무장봉기로 이어지기도 했다. 또한 봉건적 영국 사회가 자본주의 체제로 변화하면서 지주들과 상인들이 기존 질서를 깨뜨리려 노력했다. 둘째,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었다. 튜더 왕조의 시작 과정에서 백 년 전쟁과 장미 전쟁을 거치며 혼란이 지속되었고, 헨리 8세의 종교개혁과 제임스 1세의 즉위 과정에서도 갈등이 발생했다. 셋째, 사회 계층 간의 갈등이 존재했다.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도 청교도들과 귀족들의 대립이 지속되었고,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이처럼 16세기 영국 사회는 정치·종교·사회문화적으로 불안정하고 갈등이 팽배한 시기였다.
2. 셰익스피어의 생애와 작품 활동
2.1. 스트랫포드에서의 어린 시절
셰익스피어는 1564년에 워릭셔 주의 스트랫포드 어픈 에이본(Stratford-upon-Avon)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존 셰익스피어(John Shakespeare)는 장갑 제조업자이자 모피 상인으로, 스트랫포드에 집 두 채를 구입할 정도로 부유한 편이었다. 그의 어머니 메리 아든(Mary Arden)은 그녀에게 토지를 물려준 유복한 농부의 딸이었다. 셰익스피어는 스트랫포드 문법 학교(Stratford Grammar School)에 다녔는데, 이 학교는 당시 스트랫포드 시민들의 자녀들에게 개방되어 있었던 훌륭한 학교였다. 따라서 셰익스피어가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스트랫포드는 고립된 작은 마을이 아니었으며, 문법 학교에는 박식한 학자나 옥스퍼드 대학원 출신의 선생님들이 있었고, 주민들 중에도 학문이 깊고 장서를 갖고 있는 이들이 많았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어린 시절에 순회 연극 공연단이 거의 매년 이 마을을 찾아왔다고 한다. 이처럼 셰익스피어가 자란 스트랫포드는 당시로서는 비교적 교육과 문화적 기회가 풍부한 환경이었다고 볼 수 있다..
2.2. 런던 ...
...
참고 자료
이대석,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3
황계정, 『셰익스피어 길잡이』, 동인, 2000
오다시마 유시, 장보은·유가영, 『내게 셰익스피어가 찾아왔다』, 2014
션 매커보이, 이종인, 『셰익스피어 깊이 읽기』, 작은사람, 2015
Weil, Herbert (EDT), Weil, Judith (EDT), William Shakespeare, First Part of King Henry IV (United Kingdom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007)
김문기, 「셰익스피어와 놀이: 폴스타프를 통해 본 근대 초기 연극에 나타난 카니발적 전통과 변용」,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