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체적 성장발달 사정
1.1. 가슴 사정
1.1.1. 골경계표 평가
골경계표 평가는 가슴의 크기, 모양, 대칭성, 운동, 유방 발달, 늑골 및 흉골 등을 관찰하여 아동의 신체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골경계표는 원통형에 가까운 모양을 띠며, 전후지름과 횡지름이 거의 같다. 하지만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전후지름이 횡지름보다 작아지는 형태로 변화한다.
가슴의 모양과 대칭성을 관찰할 때는 아동이 앉은 자세에서 흉곽 양쪽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정상적인 경우 양쪽이 대칭적이어야 한다. 가슴벽의 운동도 관찰해야 하는데, 숨을 들이쉴 때는 가슴이 올라가면서 확장되고 횡격막이 내려가며, 숨을 내쉴 때는 가슴이 내려가면서 줄어들고 횡격막이 올라간다.
유방 발달과 유두 위치도 함께 관찰한다. 사춘기 이전 아동의 경우 유두 주변에 짙은 유륜이 보여야 정상이다. 여아의 경우 10~14세에 유방 발달이 시작되며, 빠르거나 늦으면 다른 이차 성징 발달과 함께 관찰해야 한다. 남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유방 확대는 대부분 일시적인 변화로 간주된다.
골경계표 평가를 통해 아동의 신체 발달 상태를 포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1.1.2. 가슴 크기 측정
가슴 크기 측정은 아동의 성장 및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데 있어 중요한 방법이다. 가슴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부위에서 측정해야 한다. 측정 부위는 유두선에서 흉곽둘레로, 두 번 측정한 값의 평균을 기록한다. 측정 시 아동이 호흡을 최대한 깊게 하도록 격려하여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가슴 크기는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데, 영아기에는 가슴의 전후지름과 횡지름이 거의 비슷하나 아동기로 갈수록 전후지름이 작아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가슴 크기와 머리둘레를 비교하여 정상 발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가슴 크기는 심폐질환이나 대사이상 등의 신체적 문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측정과 관찰이 필요하다.
1.1.3. 가슴벽 운동 관찰
가슴벽의 운동은 호흡 시 가슴과 복부가 대칭적으로 움직이는지 관찰하여 사정한다"" 정상적인 호흡 시 가슴과 복부는 동시에 상하로 움직인다. 즉, 숨을 들이쉴 때 가슴은 위로 올라가며 확장되고 복부는 아래로 내려가며 함께 확장된다. 그리고 숨을 내쉴 때는 가슴이 내려가며 줄어들고 복부도 위로 올라가며 함께 줄어든다. 이러한 대칭적인 움직임을 관찰하여 정상적인 호흡 운동인지 확인할 수 있다""
1.1.4. 유방발달 및 유두 위치 관찰
가슴의 유방발달 및 유두 위치 관찰은 아동의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여아의 경우 사춘기 시작 시기인 10~14세에 유방발달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유방발달이 빠르거나 늦으면 다른 이차성징 소견과 함께 기록해야 한다. 이는 추후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두 위치는 보통 제4늑골과 제5늑골 사이에서 쇄골 중앙선보다 약간 바깥쪽에 위치해야 한다. 유두 위치의 대칭성과 사춘기 전 아동의 경우 유두 주위 짙은색 유륜 모양의 정상 여부도 관찰해야 한다.
남아의 경우에도 사춘기 초기에 유방확대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주로 비만에 의한 지방조직 침착이나 신체 변화로 인한 것으로,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는 않다. 다만 청소년기 여아의 경우 정기적인 유방 자가검진의 중요성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여아의 유방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덩어리는 양성이므로, 이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해줄 필요가 있다.
1.2. 폐 사정
1.2.1. 호흡운동 관찰
호흡운동 관찰은 아동의 호흡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사정 방법이다. 검사자는 아동이 앉은 자세에서 호흡운동을 관찰한다. 검사자의 엄지를 아동의 폐 아래쪽 늑골연을 따라 중앙에 놓고, 두 손을 각각 등과 가슴에 편평히 대고 아동의 호흡운동을 평가한다. 이 과정에서 아동은 앉아 있어야 하며, 협조가 가능한 경우 심호흡을 하게 한다. 호흡 동안 검사자의 손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관찰하여 호흡의 깊이, 속도, 그리고 운동의 비대칭성을 사정할 수 있다. 정상적인 아동의 호흡운동은 균형적이고 조화로우며, 숨을 들이쉴 때 가슴이 올라가면서 확장되고 횡격막이 내려가며, 숨을 내쉴 때는 가슴이 내려가면서 줄어든다. 또한 6-7세 이하의 아동들은 주로 배호흡 또는 횡격막호흡을 보이지만, 나이든 아동 특히 여아들은 가슴호흡이 더 두드러진다.
1.2.2. 폐 타진
폐 타진은 아동의 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이다. 아동이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진행하며, 앞쪽 폐와 뒤쪽 폐 부위를 순차적으로 타진한다. 타진 시 소리를 비교하여 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앞쪽 폐 타진은 아동이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다. 검사자의 손을 아동의 폐의 꼭대기부터 기저까지 가볍게 두드리며 타진해 나간다. 이때 소리를 비교하며 정상적인 소리인지 또는 이상 소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뒤쪽 폐 타진은 아동이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다. 앞쪽 폐 타진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자의 손을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