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무용의 개념과 종류
1.1. 무용의 정의
무용이란 "일정한 리듬과 의식적인 기교가 일치하여 미리 정해진 공간에서 움직이는, 몸의 예술적인 동작"이다. 춤과 무용은 영어로 모두 'dance'로 해석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무용과 춤이 서로 다른 뉘앙스와 개념으로 받아들여져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무용"이라는 단어는 고전적이고 격조 있는 감각을 담고 있는 반면, "춤"은 보다 일상적이고 오락적인 느낌을 준다. 또한 무용은 음악, 무대 장치, 의상, 조명 등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져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 종합 예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춤과 구분된다.
1.2. 무용의 종류
1.2.1. 순수무용
1.2.1.1. 한국무용
한국무용은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지고 전해져 오는 춤사위로, 국가적 의식 끝에 있는 축제(祝祭)의 흥이 어깨에서 구체화되어, 장단가락과 박자에 맞추어 온몸으로 퍼지는 춤사위를 한국적인 멋으로 승화한 것이 그 특징이다. 한국무용은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으로도 구분되는데, 궁중무용은 춤의 테마를 동작이 아니라 노래로써 설명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성이며, 제약을 많이 받아 단조로운 가락으로 고정된 궁정무용과는 달리 원초의 자연스런 가락이 잘 보전된 것이 민속무용이다. 한국무용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와 정서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미적 표현 방식과 특징이 다른 나라의 무용과는 구분되는 독특한 양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2.1.2. 외국무용
외국무용은 발레와 현대무용으로 구분된다."" 발레는 16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프랑스 궁정에서 발달한 춤으로 클래식 발레와 모던 발레 등으로 구분된다. 발레는 음악, 무대 장치, 의상, 팬터마임 등을 갖추어서 특정한 주제의 이야기를 종합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발레 안무가는 이야기를 구성하고 특별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일련의 춤을 서로 연결하거나 무용수들을 추상적인 모형 속에서 개체로 이용하기도 한다."" 한편 현대무용은 기본적인 형태는 발레에 기반하지만, 고전 발레의 유미주의에 반기를 들고 자유로운 개인의 정서적 경험을 표현하기 위하여, 모든 형식주의를 버리고 낭만적인 분위기나 감정이 아닌 그야말로 낭만주의의 본질인 정신을 구현하려는 무용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1.2.1.3. 다른 나라의 전통무용
다른 나라의 전통무용은 각국의 문화와 전통을 반영하여 다양한 특징을 지닌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밸리 댄스, 플라멩코, 폴카, 마오리 하카 등을 들 수 있다.
밸리 댄스는 상체의 복잡한 움직임을 강조하여 자유롭게 추는 춤이다. 중동 지역에서 기원한 밸리 댄스는 전통적으로 여성만이 추었으나 현대에는 남성도 참여하게 되었다. 예배나 의식에서 시작되었던 밸리 댄스는 점차 오락용으로 변화했으며, 팔과 허리의 격렬한 움직임이 특징이다.
플라멩코는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민속예술로, 노래(Cante), 기타(Guitarra), 춤(Baile)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열정적이고 격정적인 특징을 지니며, 남녀가 함께 추는 경우 상호 간 도전과 화답의 양상을 보인다. 팔과 발의 복잡한 리듬감, 원형 구조의 동작, 강렬한 감정 표현이 플라멩코의 주요 특징이다.
폴카는 서양의 춤이자 춤곡으로, 19세기 중반 체코와 슬로바키아 지역에서 유행했다. 빠른 4박자의 춤곡에 맞추어 추는 이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