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2020 자율장학 지도안(임상장학)
1.1. 국어 단원(관련단원) 5. 바르게 대화해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소통의 중요성이 어떠한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은 어린 나이 때부터 비대면 소통에 능숙해지는 것이 중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대화 예절은 항상 중요한 것이지만, 비대면 소통에서는 실제로 만나 실물을 보면서 소통하는 것보다 오해가 생기거나 제대로 소통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 사회과학적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의 소통의 97%는 비언어적인 소통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대면 중에서도 얼굴을 마주 보지 않는 전화 상으로는 더더욱 바른 대화 예절이 중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학교 정규 교과시간에 전화할 때의 바른 대화 예절을 배우고 실습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의 목표는 단지 시험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실생활에서 학생들이 원활히 소통하고 비대면으로도 우정을 키워나가고, 협동해나갈 수 있는 토대를 기르는 것이 목적이다"이다.
1.2. 수업주제 및 목표
수업주제 및 목표는 "토의, 토론학습을 통한 전화할 때의 바른 대화 예절 익히기"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소통의 중요성이 어떠한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으며, 비대면 소통에 능숙해지는 것은 학생들이 꼭 길러야 할 역량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비대면 소통에 능숙해진다는 것은 비대면 소통 상황에서도 바른 대화 예절을 지킬 수 있으며 오해 없이 원하는 주제와 내용을 말하고 들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와 상황을 떠올리고 전화 대화를 토의를 통해 분석해보면서 전화할 때의 바른 대화 예절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 수업 연구의 방향
수업 연구의 방향은 국어 교과의 통합적 교육 방법으로서의 수업을 계획한다는 것을 전제로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학습자는 수업의 학습 활동을 통해 실제 언어 환경의 통합적인 의사소통을 알아 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협동 학습과 토의 학습을 위해 소집단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통합적으로 언어 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과제를 부여한다"" 학습자는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개별 학습 및 집단별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교사는 소집단 학습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언자,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듣기·말하기·읽기·쓰기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관되도록 하여 언어 기능의 통합적인 교육을 계획하되 국어 지식과 문학의 영역까지 포괄할 수 있는 수업이 되도록 한다""
1.4. 학생 실태 분석
본 교육과정 단원의 학생 실태 분석은 다음과 같다. 학급 구성은 남학생 14명, 여학생 15명, 총 29명으로 여학생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방역 조치로 모둠 활동은 지양되고 있으며, 교사가 학생의 자리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학습 수준은 대체로 고른 편이며 학습 참여도가 활발한 편이나, 발표 활동에는 소극적인 편이다. 발표를 잘하는 학생이 6명 정도 있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목소리가 작고 마스크로 인해 불편함을 토로하며 교사에게 대신 읽어달라고 부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업시간마다 간단한 OX퀴즈로 내용 이해도를 확인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
학생들은 활발하고 함께 놀고 싶어 하지만 거리두기를 잘 지키는 편이며, 과제 수행에 있어서 교사의 안내에 잘 따르는 편이다.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워 해결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태 조사 결과, 친구나 주변 사람과 전화 대화를 하다가 오해가 생긴 적이 있다는 학생이 약 86%로 매우 높은 편이며, 전화 예절을 잘 모르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도 71%였다. 즉 학생들에게 전화 예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