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순이삼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순이 삼촌
1.1. 순이 삼촌 책 개요
1.2. 순이 삼촌 줄거리 소개
1.3.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과 느낀점
1.4. 작가가 전달하려는 메시지
1.5. 읽고나서 느낀점 (독후감)
2. 현기영의 순이 삼촌
2.1. 현기영의 생애
2.2. 제주 4.3사건의 개요
2.3. 작품해설
3. 순이 삼촌 독후감
3.1. 순이 삼촌 책 소개
3.2. 순이 삼촌 핵심 줄거리 요약
3.3.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
3.4. 느낀점 (독후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순이 삼촌
1.1. 순이 삼촌 책 개요
민족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되는 제주 출신의 소설가 현기영 작가가 1978년 9월 발표한 중편소설 "순이 삼촌"은 제주도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순이 삼촌은 지난 1980년대를 뜨겁게 달구었던 과거 탐구의 작업과 금기의 해체 작업을 앞서 이끄는 사상사적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2. 순이 삼촌 줄거리 소개
서울에서 사는 '나'가 8년만에 할아버지 제사에 가려고 제주도로 향했다. 그런데 그곳에 모인 친척 중에 순이삼촌이 보이지 않았다. 주변에 있는 친척들에게 물어보니 순이삼촌이 저번에 하늘나라로 가셨다는 말씀을 전해 들었다. 그리고 순이삼촌의 죽음이 제주도의 4.3 사건과 관련이 있었다고 밝혀졌다. 사위의 말에 의하면 순이삼촌은 1949년 군대가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아 학살을 하는 당시의 기억을 가지고 있었고, 그날 이후로 환청에 시달렸다고 한다. 순이삼촌은 이 사건을 겪은 후에 경찰들을 피하려고하는 기피증이 심화되었고, 그 이후 일어난 메주콩 사건으로 결벽증까지 가지게 되었다. 결국 평생동안 이러한 사건을 이겨내지 못하고 꿩약을 먹어서 자살을 하려고 마음먹었다. 이렇게 순이삼촌의 죽음은 결국 4.3 사건으로 인해 죽게 된 것이라고 말 할 수 있다.
1.3.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과 느낀점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을 뽑으라고 한다면 군인들이 마을 주민들을 초등학교 운동장으로 소집한 장면을 뽑을 것 같다.
마을 주민들이 모두 모이자 군인들은 군인과 직계인 가족들은 따로 분리하고, 남은 사람들의 집을 불태우며 처참하게 살해하기 시작한다. 특히, 초등학교 운동회 때 사용하던 긴 장대 2개를 이용해 마을 주민들을 끌어내고, 개머리판과 총구를 이용해 무참하게 남녀노소 관여하지 않고 죽인다.
이 장면에서 운동회 때 사용했던 긴 장대를 이용해 사람들을 끌어내는 과정에서 어린이들의 상징이었던 물건이 본래의 역할과 맞지 않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비참함이 더욱 강조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장면을 떠올리면서 그 당시 무척이나 비참했을 상황을 생각하니 제주 4.3사건의 아픔에 더욱 공감할 수 있었다."
1.4. 작가가 전달하려는 메시지
작가 현기영이 순이 삼촌을 통해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제주 4.3사건의 진실을 폭로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제주 4.3사건이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닌 민족 내부의 비극적 사건이며, 이러한 비극이 개인의 삶에 끼친 영향을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제주 4.3사건은 해방 공간에서 미군정의 부당한 조치와 이에 반발한 민중들의 항쟁이 유발한 사건으로, 수많은 무고한 제주도민들이 희생되었다. 작가는 당시의 비극적 상황을 순이 삼촌이라는 인물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그 참상을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순이 삼촌은 사건의 직접적인 피해자이자 그로 인한 심리적 후유증에 시달리다 결국 자살에 이르게 되는 인물이다. 작가는 이러한 순이 삼촌의 비극적 삶을 통해 제주 4.3사건이 개인의 삶에 끼친 심각한 영향을 고발하고자 했다.
또한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당시 사건의 진실이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순이 삼촌의 죽음과 관련된 정보가 제한적이고 구체적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것은, 제주 4.3사건의 실체가 여전히 은폐되어 있음을 상징한다. 작가는 이러한 사실을 독자들에게 알려 사건의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나아가 작가는 제주 4.3사건이 제주도민의 문제가 아니라 민족 전체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순이 삼촌이라는 인물은 제주도민을 대변하지만, 그의 비극은 전국적인 차원에서...
참고 자료
현기영 지음, 《순이 삼촌》, 창비, 2015.
안석재 외 엮음, 《문학선집》(소설2), 블랙박스, 2015.
박은봉 지음, 《한국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5.
통일인문학연구단 지음, 《기억과 기억들》, 씽크스마트, 2017.
김병택 지음, 《제주예술의 사회사》(하),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