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예비교사로서 영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중 자신의 입장에서 가장 어려운 내용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아 수학교육의 의의와 중요성
2.1. 유아 수학교육의 의의
2.2. 유아 수학교육의 중요성
3. 유아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교사의 역할
3.1. 일상생활을 통한 수학 교육
3.2. 창의적 수업 방법 활용과 투철한 신념의 수학 교육
4. 유아의 수학 능력 향상을 위한 환경 구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수학이란 사물을 헤아리거나 측정하는 것에서 시작된 수와 양에 대한 학문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전부터 인류의 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며 지속적으로 발달해온 학문이며, 다른 학문의 기초가 되고 일상생활의 다방면에서 적용이 된다. 수학 교육은 교육기관에서 수학지도를 통하여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실천적인 사고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계속적인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급변하는 세계 정보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제4차 산업에서 가장 필요한 핵심 필수 배움의 과정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어린 영유아 시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수학 교육이 어느 때 보다 매우 중시되고 있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수학적 활동을 해야 하는 영유아 시기의 아동에게 수학적 능력을 일깨우고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이 시대의 소명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영유아를 교육하는 수학 교사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데, 무엇보다 수학은 어려운 것이 아닌 원리만 깨우치면 즐겁게 배울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일상생활과 앞으로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밑거름이 되는 인생 모토가 된다는 것을 알게 하도록 하는데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
2. 유아 수학교육의 의의와 중요성
2.1. 유아 수학교육의 의의
유아 수학교육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영유아기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상황에서 수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예를 들어 동생과 과자를 공평하게 나눠먹는 상황에서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아들은 갈등을 줄이고 화목한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번호, 은행 순서 번호 등 실생활에서 접하는 수학적 지식과 언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수학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공용어로서 의사소통의 도구가 된다. 수는 상징을 통해 표현되므로 수학적 지식은 언어와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셋째, 수학적 경험은 유아의 논리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을 키워준다. 일상생활에서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논리적 근거와 사고방식을 익히게 되며, 이는 타인을 설득하고 신뢰를 주는 기본적인 능력이 된다. 이러한 능력은 유아들이 앞으로 살아갈 삶의 토대가 된다.
종합하면, 유아 수학교육의 의의는 실생활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논리적 사고력 등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2.2. 유아 수학교육의 중요성
공식적 교육 기관에서의 배움이 시작되는 아동에게 있어 수학 교육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무엇보다 수학은 어려운 것이 아닌 쉽게 다가가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수학적 사고력이 생활 속에서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깨우쳐주어야 한다.
오늘날 수학적 능력은 인재 채용의 선발 도구로서 모든 사람에게 공감을 주고 있다. 수학 자체가 높은 변별력을 유지하고 있어, 수학적 능력이 있는 사람은 다른 데에서도 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믿음이 강하게 작용함으로써 선발 시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은 불변의 진리라 할 수 있다. 수학의 연구는 꼭 어떤 현실적이거나 수학 자체 내의 필요성 때문에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단순한 지적 호기심을 위해 수학을 연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다른 과목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가 역사적 사실을 단순히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기 위함이며, 음악이나 미술을 공부하는 것도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처럼,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도 수학적 안목을 가지고 주변의 현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세계에 자랑할 만한 우리의 고유한 문화유산이나 게임 프로그램 개발, '미적분의 기본 ...
참고 자료
유아수학교육/김현자외/창지사/2014
영유아 수학교육의 이해/서현아외/창지사/2014
2세 영아의 쌓기놀이에서 나타나는 비형식적 수학경험/임수빈/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2013
비형식적 수학적 지식과 형식적 수학적 지식의 결합에 관한 소고/김진호/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제4권제4호/2002pp.555-pp.563
"은물", 프뢰벨
https://total-system.co.kr/eunmul/
<유아수학교육 제2판>, 권민균, 공동체, 2020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안)개발 연구>,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2017
https://repo.kicce.re.kr/bitstream/2019.oak/927/2/3-5%EC%84%B8%20%EC%97%B0%EB%A0%B9%EB%B3%84%20%EB%88%84%EB%A6%AC%EA%B3%BC%EC%A0%95%20%EA%B0%9C%EC%A0%95%28%EC%95%88%29%20%EA%B0%9C%EB%B0%9C%20%EC%97%B0%EA%B5%AC.pdf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활동 분석>, 조부월, 한국아동학회, 2014
https://www.childstudies.org/upload/pdf/31202208.pdf
유아수학교육. 유은영, 홍혜경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2년 07월 25일
길효정, 이영주, 보육교사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교수 효능감에 대한 관련성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2013)
김세루, 홍지명, 김권일, 홍혜경,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08)
김소향,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김정은,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4)
김정주,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이현주.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2015)
장윤정, 황윤숙,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한국보육학회지, (2017)
한종화, 박찬옥,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04)
홍희주,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의 관련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13)
김민경, 홍혜경, 이지현, 이정욱, 유아수학교육의 탐구, 서울: 교우사. (2006)
김영선, 교실의 물리적 환경 구성이 유아의 분류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000)
김은정, 이정욱,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기하 활동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연구, (2009)
윤보경, 김수연, 또래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 장애 연구, (2011)
이민희, 유아의 공간능력과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