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사회복지 실천 모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
1.1. 실천 모델의 개념과 의의 및 진전
1.2. 올더슨의 실천 모델
1.2.1. 전통적 임상 모델
1.2.2. 학교 변화 모델
1.2.3. 지역사회 학교 모델
1.2.4. 사회적 상호작용 모델
1.2.5. 평가
1.3. 코스틴의 실천 모델
1.3.1. 배경과 등장
1.3.2. 내용
1.3.3. 평가
1.4. 학교사회복지의 접근모델
1.4.1. 전통개입모델
1.4.2. 학교변화모델
1.4.3. 지역사회모델
1.4.4. 상호작용모델
1.4.5. 삼자관계모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
1.1. 실천 모델의 개념과 의의 및 진전
일반적으로 실천 모델(practice model)은 주어진 종류의 치료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알려주는 일련의 지시들을 말한다. 실천 모델에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실천가가 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나 실천가가 일반적으로 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실천 모델은 학교사회복지사가 활동하는 지침이 된다고 볼 수 있다.
학교사회복지가 발달함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의 실천 모델도 발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 영역에서는 그동안 여러 가지 실천 모델을 제시해 왔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실천 모델로 올더슨(Alderson)의 실천 모델과 코스틴(Costin)의 실천 모델이 있다. 또한 그 후에, 미국 학교사회복지협회는 실천 모델과 관련된 요소를 제시한 바 있다. 그리고 그 이후에 몇 가지 모델이 제시되어 왔는데,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모델이 '개입 반응 모델'이다.
1.2. 올더슨의 실천 모델
1.2.1. 전통적 임상 모델
전통적 임상 모델은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이다. 이 모델의 주요한 학문적 토대는 정신분석 심리학과 자아 심리학이다. 전통적 임상 모델에서는 사회적 문제나 정서적 문제를 겪는 학생을 변화시키는 데 주로 주목한다.
개인 아동이나 가족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거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통적 임상모델에 따를 경우,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 자체에 주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나 가족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통적 임상 모델에 따를 경우, 학교의 교직원은 아동의 행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의 역할만 한다.
이처럼 전통적 임상 모델은 개인 학생이나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역기능적이고 어려운 상황을 변화시키는 데 주력하며, 학교 자체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 모델의 관점에서 볼 때, 학생의 사회적, 정서적 문제는 주로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1.2.2. 학교 변화 모델
학교 변화 모델은 학생들의 문제가 학교제도에서 비롯되며 그 원인이 학교제도 및 환경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의 목표는 학생들의 학업수행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간주되는 학교정책, 즉 역기능적 학교 규범과 상황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주된 서비스 대상은 학교 환경으로, 특히 역기능적 학교 규범과 조건이 해당된다.
서비스 개입의 내용으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분위기 조성과 행복하고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한 분위기 조성, 민주적인 학교규칙의 제정, 학생복지 기능을 담당하는 학교조직의 생성, 학교교육의 기능이 원만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학생 자체조직의 지원 등이 있다.
이 모델의 개념과 이론적 기초는 사회과학 이론, 일탈 이론, 조직 이론 등이다. 학교변화모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교사회복지사가 학교 관계자와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즉, 학생과 교육환경에 대한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할 수 있도록 학교관계자와의 관계형성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1.2.3. 지역사회 학교 모델
지역사회-학교 모델은 1차적으로 학교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신뢰하지 못하는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모델에서 어려움이란 빈곤과 다른 사회적 상황, 학교교직원들의 문화적 차이와 빈곤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이 모델의 목표는 학교가 제공하는 것에 대해 지역사회에 교육시키고, 학교교직원에게 지역사회의 역동성과 작동하는 사회적 요인에 대해 설명하여 빈...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