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복지의 개념과 이념
1.1.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복지란 아동(child)과 복지(welfare)의 합성어로서, 아동의 권리를 신장시키고 아동의 건전한 성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활동을 의미한다. 협의의 아동복지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복지활동을 말하며, 주로 민간단체나 개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면 광의의 아동복지는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뿐만 아니라 모든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복지 주체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복지사업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여 아동과 가족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아동을 개인적인 관점에서 보면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고, 사회적인 관점에서는 미래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사회문제 예방의 차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1.2. 아동복지의 이념
1.2.1. 자유방임주의
자유방임주의는 국가의 최소한 역할을 핵심으로 하는 아동복지의 이념이다. 자유방임주의에서는 아동의 우선적 책임을 부모에게 두며, 자녀 양육의 책임자로서 부모의 권리를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아동 문제가 부모의 심리적 결함이나 경제적 어려움 등을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국가는 아동과 가족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발적인 참여와 시장 원리에 따른 해결을 강조한다. 이는 아동복지가 부모의 자율성과 책임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1.2.2. 가족중심주의
가족중심주의는 가족의 보호 및 유지에 초점을 둔다. 아동을 가족 및 부모와 분리해서 보지 않으며, 원 가정을 중요하다고 보고 아동과 부모의 혈통적 유대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과거의 대가족제도에서는 부모의 이혼이나, 사망, 실직, 질병 등 부모에게 문제가 발생하여서 친부모가 자녀를 돌볼 수 없는 상황이 왔을 때 다른 인, 친척이나 이웃이 그 역할을 대신하여 줄 수 있는 자연적인 보호망이 존재하여서 부모의 역할을 대리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핵가족제도에서는 부모를 대신할 사람이 부재하고, 이때 아동의 복지는 심각하게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가족중심주의에서는 부모의 복지보다 아동의 복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원가정의 기능을 유지하고 강화하고자 한다."
1.2.3. 국가부권주의
국가부권주의는 아동복지란 아동의 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의 복지보다 아동의 보호를 중시하며 아동의 양육과 보호에 대한 아동 권리를 강조한다"" 국가부권주의는 아동에게도 시민의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아동이 성인으로부터 독립하도록 국가가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입장에서는 입양이나 위탁 등 대리적 서비스를 강조하며, 입양은 아동보호를 위한 최선의 해결책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1.2.4. 아동권리주의
아동권리주의는 아동에게도 시민의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아동이 성인으로부터 독립하도록 국가가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에서는 아동의 복지는 부모의 복지보다 우선되며, 아동의 양육과 보호에 대한 아동 권리를 강조한다. 또한 입양이나 위탁 등 대리적 서비스를 강조하며, 입양은 아동보호를 위한 최선의 해결책으로 본다. 즉, 아동권리주의는 아동에게 시민의 권리를 부여하여 아동이 성인으로부터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성장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아동복지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2. 아동복지의 전제조건과 원칙
2.1. 건강한 가정과 부모
건강한 가정과 부모는 아동복지를 구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아동은 일차적으로 부모와 가족으로부터 생존에 필요한 생리적 욕구를 충족하며, 정서적인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사회화의 기초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즉, 아동의 복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동이 살고 있는 가족생활을 보장하고 가족 구성원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족 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가족 문제에 대한 치료적 차원보다는 예방적 차원에서의 가족복지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가족상담, 가족치료, 가족보존서비스 등의 특수한 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