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상담과정에서 가족상담자의 기본자세인 공감능력, 무조건적 존중과 수용, 진실성 등이 왜 중요한지를 토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상담의 필요성
2. 상담과정에서 가족상담자의 기본자세
2.1. 가족상담자의 자기성찰적 태도
2.2. 가족상담자의 체계적 관점
3. 공감능력, 무조건적 존중과 수용, 진실성의 중요성
3.1. 상담자로서의 역할
3.2. 가족에 대한 이해와 이해의 폭
3.3. 슈퍼비전과 전문성 발달
4. 다양한 가족 문화에 대한 이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상담의 필요성
가족은 사회를 이루는 일차적 집단이며, 사회구성원을 성장시키는 기초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의 가족은 더 많은 가족문제와 갈등에 노출되어 있고, 더 쉽게 해체되어 가족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가족문제는 개인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벗어났으며, 그 해결을 위해서는 많은 자원과 능력, 대처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과 교육수준이 향상되면서 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가족문제와 관련된 가족상담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가족이 위기에 직면했을 때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은 가족 관계를 향상시켜 건강한 가족으로 나아가기 위함이다. 가족상담은 가족의 역할, 가족 관계, 가족발달주기에 따른 전이, 가족기능의 변화, 의사소통과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가족상담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임상효과가 높다는 것이 증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호연결성에서도 재발견되었다. 그리고 가족상담은 개인이 속한 가족의 체계변화를 통하여 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예비적 치료혜택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하여 가족상담은 가족구성원의 관계와 기능이 변화하여 개인뿐만 아니라 관계적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어 지난 십 여 년 간 특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담분야이다.
2. 상담과정에서 가족상담자의 기본자세
2.1. 가족상담자의 자기성찰적 태도
가족상담자의 자기성찰적 태도는 상담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어려움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자기 이해와 탐구가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이다. 상담자가 성숙되어지는 과정 속에 있을 때, 조급한 종결, 침체, 가짜발달(pseudo-development)이라는 경로를 피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이것은 상담 세계의 복잡성과 도전, 어려움을 인식하고 자기성찰적 태도를 가짐으로써 가능하며, 상담자들이 자신의 고유한 가치와 상담분야에 입문하려는 동기에 대해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김창대(2008)는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연구에서 '지속적인 자기 성찰과 상담자 자기관리'가 상담전문가들의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참고 자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김영애 외(2009). 가족치료 : 개념과 방법. 시그마프레스.
김창대 외(2008).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김귀숙(2013). 상담자의 자기성찰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상담 및 심리치료의 기본기법 Jeanne Albronda Heaton 저 | 김창대 역 | 학지사 | 2006.01.31.
심리상담의 과정과 기법 Harold L Hackney 저 | 임성문 역 | 시그마프레스 | 201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