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한국어시리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종한국어 시리즈
2.1. 세종학당의 교육과정 및 목표
2.2. 세종한국어 시리즈 개발 배경
2.3. 세종한국어 시리즈 구성 및 특징
3. 세종한국어 1 교재 분석
3.1. 교재 구성 및 단원 구조
3.2. 언어기술 및 문화 교육 내용
3.3. 교수요목 및 교육과정 연계성
4. 세종한국어 8(4B) 교재 분석
4.1. 교육과정 및 수준 정의
4.2. 교재 구성 및 교수요목
4.3. 교육 운영 사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교재란 교육 목표를 구현하고자 교육 과정 내용을 문서 등의 매체로 작성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데 쓰이는 교육적 도구이다. 교재는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킨 구현체이고 교사와 학습자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본 과제에서는 이처럼 한국어 수업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인 교재 중 대표적인 교재인 세종 한국어 시리즈 중 한 권의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세종한국어 시리즈
2.1. 세종학당의 교육과정 및 목표
세종학당의 교육과정은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을 따르며, 이는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다"" 세종학당의 기본 교육과정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것이며, 특별 교육과정은 현지 학습자의 요구에 맞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교육과정은 다시 일반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나뉘어지며 각 등급별로 교육내용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세종학당재단은 해외의 다양한 교육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지원하고 있다""
2.2. 세종한국어 시리즈 개발 배경
세종한국어 시리즈 개발 배경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만들어졌다"이다. 세종학당재단은 2007년에 처음 시작하여 2021년 6월을 기준으로 전 세계 82개국, 234개소까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세종학당의 수강생 수는 약 61,000명이 넘는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국어기본법」 제19조 2에 근거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보급 사업을 총괄하기 위해 공공기관인 세종학당재단을 설립하였다. 세종학당재단은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세종학당을 지정하고 운영을 지원하며, 세종학당의 표준 교육과정과 교재를 보급하고 있다. 이처럼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이다.
2.3. 세종한국어 시리즈 구성 및 특징
세종한국어 시리즈 구성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세종학당재단과 국립국어원이 국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하고자 하는 의도로 만들어진 통합 교재이다. 2013년에 처음 출판되어 지금까지 계속 수정, 보완되고 있으며 세종학당의 대표적인 통합 교육 목적의 교재이다.
세종한국어 시리즈는 총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교재는 한국어와 한글 자모, 기본 표현을 다루는 예비 단원과 기초 한국어 단원, 그리고 한국문화를 배울 수 있는 문화 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재의 단원은 학습 목표 제시, 대화, 어휘와 표현, 문법, 연습,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 등...
참고 자료
구민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강의 교안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1", 2013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운영지침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키워드로 보는 정책,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
세종한국어1, 국립국어원, 2021-01-07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김정숙, 고려대학교, 2003년 14권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