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수막염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기간 및 방법
1.3. 문헌고찰
1.3.1. 정의
1.3.2. 정상 해부 및 생리
1.3.3. 병태생리
1.3.4. 원인
1.3.5. 증상 및 징후
1.3.6. 진단 검사
1.3.7. 치료
1.3.8. 간호
1.3.9. 경과 및 합병증
1.3.10. 예방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뇌수막염(meningitis)은 주로 초여름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에게 발병하는 질환이다. 크게 세균성 뇌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뇌막염, 진균성 뇌막염으로 나뉘며 예방주사로는 세균성 meningitis 밖에 예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발병되게 되면 빠른 시일 내에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뇌수막염에 대해 자세히 알고, 관련된 간호를 적절히 제공하여 질병의 악화를 막고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11월 27일부터 11월 30일까지 보훈 병원 91병동에 입원중인 8세 이OO님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meningitis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그 기초 지식에 근거하여 대상자를 관찰하고, 의료진으로부터 얻은 정보와 EMR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1.3. 문헌고찰
1.3.1. 정의
뇌수막이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을 의미한다. 해부학적으로 뇌수막은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으로 구성된다. 뇌수막은 척수로 연장되므로, 보다 정확하게는 뇌척수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질환을 의미한다. 염증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거미막밑공간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수막염이지만, 특정 화학 물질에 의한 염증, 암세포의 뇌척수액공간으로의 파종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등이 있을 수 있다."
1.3.2. 정상 해부 및 생리
뇌수막(meninges)은 뇌를 둘러싼 3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바깥층은 뇌경질막(dura mater), 가운데층은 거미막(arachnoid mater), 가장 안쪽층은 연질막(pia mater)이다. 뇌경질막은 두개골과 척추관 내에서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하여 뇌와 척수를 보호한다. 거미막은 뇌와 척수를 부드럽게 감싸고 있으며 거미막밑 공간(subarachnoid space)이 그 사이에 존재한다. 연질막은 뇌와 척수의 표면을 직접 덮고 있으며 혈관을 포함하고 있다. 거미막밑 공간에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이 흐르며 이 액체는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뇌척수액은 뇌실계(ventricular system)에서 생성되어 거미막밑 공간을 통해 척수 쪽으로 순환하며, 척수천자를 통해 직접 채취할 수 있다."
1.3.3. 병태생리
'1.3.3.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뇌수막염의 병태생리는 주로 원인균의 혈액 내 전파로 인해 이루어진다. 폐렴구균이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수막구균 등의 세균이 혈액 내로 유입되면 이들이 뇌막에 국소화되어 화농성 삼출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농성 삼출물은 기저 부위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지주막하 공간으로 퍼져나간다.
비록 세균이 직접적으로 뇌 조직을 침범하지는 않지만, 뇌수막염이 발생하면 뇌가 충혈되고 부종이 생기며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세균성 뇌막염, 결핵성 뇌막염, 무균성 뇌막염 등 다양한 형태의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과거에는 소아, 특히 2개월~7세 사이의 어린 연령층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5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수막구균 감염에 의한 수막염은 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 발생하며, 50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1.3.4. 원인
뇌수막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세균성 수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진균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균성 수막염은 가장 흔한 형태의 뇌수막염으로, 뇌척수액 공간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는 폐렴구균, 수막구균, 그리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이 있다. 이 세균들은 호흡기를 통해 침입하거나 혈류를 통해 퍼져나가 뇌척수액 공간에 도달하여 수막염을 유발한다. 특히 폐렴...
참고 자료
SNUH 서울대학교 병원 http://cancer.snuh.org/
성인간호학 상권 전시자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전시자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1, 손정태 외 7명, 현문사
기본간호학 2, 손정태 외 7명, 현문사
간호과정, 현문사, 최순희 외
제 6회 임상사례 연구발표책자, 남부대 간호학과
아동간호학 총론 / 각론 김영혜 외, 현문사
아동간호학 각론 / 각론 김영혜 외, 현문사
김희순 외(2019) 아동청소년간호학 Ⅱ, 수문사
박호란 외(2019), 아동간호학 하, 현문사
이수연 외(2019), 아동간호학, 수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