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매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바이오 매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바이오매스 에너지
1.1.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정의
1.2.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종류
1.2.1. 농산물과 그 부산물
1.2.2. 축산물과 그 부산물
1.2.3. 임산물과 그 부산물
1.2.4. 도시쓰레기 및 산업쓰레기

2.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원리 및 특징
2.1.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원리
2.1.1. 직접 연소
2.1.2. 가스화
2.1.3. 열분해
2.1.4. 생화학적 변환
2.2.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특징
2.2.1. 장점
2.2.2. 단점

3.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이용 분야
3.1. 제조분야
3.1.1. 녹색 화학물
3.1.2. 재생 프라스틱
3.1.3. 천연섬유
3.1.4. 천연 구조 물질
3.2. 환경 분야
3.3. 자원채취 분야
3.4. 에너지 분야

4.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발전과 전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바이오매스 에너지
1.1.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정의

바이오매스 에너지(Bio-mass Energy)란 "생물체 에너지"를 총칭하며 세균, 효모, 곰팡이 등을 발효시켜 에탄올, 알코올 등을 만들어 기초화학 원료로 이용하거나 나무, 풀, 가축, 분뇨, 음식 쓰레기 등을 이용하여 각종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1.2.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종류
1.2.1. 농산물과 그 부산물

곡식이나 과일, 채소 등을 지어서 먹거리를 마련하고 남는 것들로 볼짚, 보릿짚, 콩대, 옥수수대, 참깨줄기, 고추줄기 그리고 과수의 가지들은 훌륭한 연료가 된다. 또한, 왕겨 같은 것은 압축시켜 단단한 왕겨탄으로 만들면 음식점 같은 곳에서 갈비나 불고기를 구워 먹는데 쓰기도 한다. 몇 십년 전에는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등은 밤을 밝히는 등잔불의 연료로도 쓰였지만 이것은 조금만 바꾸어주면 트럭과 같은 디젤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디젤이 된다.


1.2.2. 축산물과 그 부산물

축산물과 그 부산물은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또 다른 중요한 원료이다. 소, 돼지, 염소, 닭, 오리 등의 가축들이 바이오매스에 해당하며, 이들은 우리에게 고기, 우유, 계란 등 다양한 식품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소기름(牛脂)과 돼지기름(豚脂)이 등잔불의 기름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재에는 대부분 튀김기름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축의 배설물도 바이오매스에 포함되며, 이를 공기가 없는 환경에서 발효시키면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메탄가스는 도시가스와 성분이 유사하므로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축의 배설물을 메탄가스로 전환 처리하면 환경오염을 막고 연료도 얻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처럼 축산물과 그 부산물은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중요한 원천이 되고 있다."


1.2.3. 임산물과 그 부산물

임산물과 그 부산물은 옛날 우리 선조들이 온돌방을 데울 때 사용했던 나무와 그 부산물들이 대표적이다. 장작은 불길이 세고 오래 타기 때문에 가장 최고의 땔감이었다. 또한 나뭇잎이나 잔가지도 물을 끓이거나 밥을 짓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참나무 숯은 고기를 맛있게 굽는데 사용되었고, 학교에는 톱밥을 때는 난로가 있었다. 이처럼 숲에서 나는 이러한 임산물들은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으로 활용되어 왔다.


1.2.4. 도시쓰레기 및 산업쓰레기

도시쓰레기 및 산업쓰레기는 쓰레기 속에 정말 여러 가지 물건이 있지만 우리가 남겨서 버린 음식쓰레기와 종이, 나무 같은 바이오매스가 많이 들어 있다. 공장에서도 콩기름을 만들고 난 찌꺼기와 같은 바이오매스가 그냥 버려진다. 이것들을 바이오매스 폐기물이라 한다. 이것들을 그냥 버리면 썩으면서 강과 우물 그리고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를 더럽힌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폐기물도 바이오매스 에너지로 변환시키면 환경도 보호하고 연료도 얻을 수 있다.


2.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원리 및 특징
2.1.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원리
2.1.1. 직접 연소

직접 연소는 땔감 나무들을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2700℃에 이르는 거대한 소각로 보내어 산소를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바이오매스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며, 배기 가스가 거의 나오지 않아 환경 영향이 적다. 또한 소각로에서 나오는 재는 조림 지대에 뿌려 비료로 사용되므로, 자원 고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 연소 방식은 다른 발전 시스템에 비해 발전 단가가 낮아 경제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직접 연소는 청정하고 효율적인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2.1.2. 가스화

바이오매스는 기화되어 일...


참고 자료

ㆍ에너지 관리공단. http://www.kemco.or.kr
ㆍ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ttp://www.kier.re.kr/index.htm
ㆍ환경공학 연구정보센터. http://www.dicer.org/

고한종 외 5인 공저, 「농축산환경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찬문화원 : 서울, 2020
바이오매스 에너지화추진전략 개발’, 농림축산식품부, 201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